철학의 역사 : 소크라테스부터 피터 싱어까지 - 삶과 죽음을 이야기하다
나이절 워버턴 지음, 정미화 옮김 / 소소의책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 나이절 워버턴은 영국의 철학자이자 저술가로, 브리스틀 대학교를 졸업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다윈 칼리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우리 시대 최고의 대중 철학자' 중 한 명인 그는 프리랜서로 활동하면서 철학 입문서를 여러 권 쓴 베스트셀러 작가로 널리 알려졌다. 또한 인기 팟캐스트 '철학 한입(PHILOSOPHY BITES)'의 공동 운영자로 참여해 여러 철학자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이 책은 고대부터 오늘날까지 서구 사상을 이끌어온 주요 사상가들의 견해를 40개 챕터로 나누어 살펴보면서, 지난 시간 동안 인류가 탐구한 방대한 영역의 정곡이 되는 주제를 다양한 사례 속에서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벌어질 수 있는 상황을 예로 들어 독자와 편안하게 대화하듯이 서술하고 있다.

 

 

 

 

신의 존재를 믿는 종교에 대한 철학자들의 논증 또한 철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5세기부터 15세기에 해당하는 서양의 중세 시대에는 철학과 종교가 아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중세 철학자들은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의 사상을 배웠다. 하지만 그들의 사상을 수정해서 자신들의 종교에 적용했다. 이런 철학자들 대다수는 기독교도였다.

 

신의 존재 증명은 철학자들이 끊임없는 과제였다. 선하고 전지전능한 신이 어떻게 고통을 허용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고 변호하려 한 아우구스티누스, 신에 대한 믿음에 중점을 두고 종교적인 삶의 방식에 전념한 안셀무스아퀴나스, 신의 존재를 논리로 증명할 수 있다고 믿은 데카르트, 신에 대한 믿음을 마음과 신앙의 문제로 본 파스칼, 종교 신자들이 사용한 설계논증을 원인과 결과로 반박한 , 그리고 신의 죽음을 의도적으로 이용한 니체와 종교에 대해 거침없고 도발적이었던 러셀 등 신의 존재를 증명하기 위한 시도는 철학의 역사에서 또 하나의 큰 줄기를 이루어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질문하는 남자

 

고대 그리스의 아테네에선 한 남자가 너무나도 질문을 많이 한다는 이유로 사형에 처해졌다. 그는 바로 철학자 소크라테스이다. 넓적코에 땅딸막한 체형의 이 남자는 옷차림조차 추레한 것이 이상하게 보일 정도로 당시 사회의 분위기와는 어울리지 않았다. 이처럼 외모는 볼품 없었지만 엄청난 카리스마를 풍기는 뛰어난 지성의 소유자였다.

 

이런 일화가 있다. 그는 소피스트 에우튀데모스와 대화를 나누었다. 그는 에우튀데모스에게 남을 속이는 것을 비도덕이라고 할 수 있느냐고 묻자, 에우튀데모스는 "당연히 그렇다"라고 답했다. 그러자 다른 질문을 이어서 했다. "당신의 친구가 매우 우울해서 자살할 조짐이 보이다면, 당신은 친구의 칼을 훔치지 않겠는가? 하지만 그런 행위는 비도덕적이라기보다 오히려 도덕적이지 않은가? 비록 남을 속이는 행위이지만, 그것은 나쁜게 아니라 좋은 것이다" 이말을 수긍한 에우튀데모스는 혼돈에 빠지고 만다.

 

소크라테스가 지혜로운 인물이 된 이유는 이처럼 끊임없이 질문하고 항상 자신의 생각을 반박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삶이란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할 때에만 살 만한 가치가 있다고 단언했다. 즉 반성하지 않는 삶은 가축에게나 어울리지 인간에겐 어울리지 않는다. 그런데, 특이하게도 그는 글을 쓰려고 하지 않았다. 서로 얼굴을 맞대고 대화하는 편이 낫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우리들은 그가 무엇을 논쟁했는지를 그의 제자인 플라톤의 글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이다. 바로 '플라톤의 대화편'이다.

 

아테네 사람들은 소크라테스를 높이 평가하지 않았다. 오히려 국가 조직을 위태롭게 하는 위험한 인물이라고 생각했다. 기원전 399년, 멜레투스라는 사람이 70세의 소크라테스를 법정에 세웠다. 소크라테스가 아테네의 신들을 무시하고 대신에 새로운 신을 내세웠다는 죄목을 주장했했다. 마침내 아테네 시만들은 소크레테스의 유죄 여부를 투표했다. 배심원단의 과반을 조금 넘는 수가 유죄라고 생각하므로써 사형이 선고되었다. 소크라테스는 기꺼이 독약을 마셨다.

 

 

누가 우리를 조종하는가?

 

아우구스티누스는 현재의 알제리에 해당하는 당시의 로마제국의 땅이었던 북아프리카의 소도시 타가스테에서 출생했다. 본명은 정말 길다.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이다. 그의 어머니는 기독교도였지만, 그의 아버지는 일종의 지역 종교를 믿었다. 후대에 성인으로 추앙받았던 그였지만, 아이로니하게도 그의 젊은 시절은 방탕 그 자체다. 성년의 초기에 정부情婦와의 사이에 아이까지 낳았던 그는 30대에 기독교로 개종해 마침내 히포의 주교가 되었다. 그는 세속적 쾌락을 지나치게 즐기고 있다면서 성적 욕망을 제지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을 호소한 유명한 일화가 있다. 만년에 그는 <고백론>을 집필했다.

 

대부분의 기독교도는 신에게 특별한 힘이 있다고 생각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도덕적 해악에 초점을 맞추었다. 즉 도덕적 해악이 일어날 것임을 알고도 그것을 막기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는 선한 신이라는 관념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라고 신은 인간이 이할 수 없는 신비로운 방식으로 움직인다는 견해도 납득되지 않았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답을 원했다. 

 

 

우리는 꿈을 꾸고 있었을까?

 

알람소리가 들려 알람을 끄고 침대밖으로 나와 옷을 입고 아침을 먹고는 하루의 시작을 준비한다. 하지만 여기서 예기치 못한 일이 벌어진다. 정신을 차려보니 이 모든 게 꿈이었음을 깨달았다. 현실에선 여전히 이불 속에서 코를 골고 있었다. 이는 '거짓 깨어남'이라는 현상이다. 프랑스 철학자 르네 데카르트는 이를 경험한 뒤 생각에 잠기었다. 어떻게 스스로 꿈을 꾸고 있지 않다고 확신할 수 있었을까?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질문하지 않는 남자

 

미국으로 망명한 독일계 유대인 철학자 한나 이렌트는 주간지 <뉴요커>의 특파원 자격으로 아이히만의 재판을 취재했다. 그녀는 전체주의 국가인 나치 독일이 스스로 생각할 자유가 거의 없던 사회를 만들었던 결과물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 그래서 그녀는 이 남자를 알고 싶엇다. 어떤 사람이기에 그렇게 끔찍힌 일들을 자행할 수 잇엇는지를 말이다. 물론 아이히만은 그녀가 처음 만난 나치가 아니었다. 그녀는 나치를 피해 독일을 떠나 프랑스로 갔고, 이후 미국 시민이 된 처지였다.

 

아렌트의 저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은 그녀가 한 남자를 관찰한 일과 아이히만의 자기 정당성과 사용한 언어 들을 바탕으로 쓴 내용이다. 여기에서 아렌트는 전체주의 국가의 악과 그 악이 전체주의식 사고방식에 저항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 설명을 전개해나갓다. 그 시대의 많은 나치와 마찬가지로 아이히만은 타인의 관점에서 사물을 보지 못했다. 자신에게 주어진 규칙에 의문을 제기할 만큼 용감하지 못했다. 그렇기에 나치의 사악한 행위에 동참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대의 등에

 

오스트레일리아의 철학자 피터 싱어는 당신 앞에서 물에 빠져 죽어가는 아이와 아프리카에서 굶어 죽어가는 아이는 그리 다르지 않다고 주장해왔다. 우리는 전 세계에서 우리가 구ㅜ할 수 잇/는 사람들에 대해 지금보다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다른 상황이라면 살았을 수도 잇을 아이들이 우리가 뭔가를 하지 않는다면 분명 일찍 죽고 말 것이다.

 

매년 수천 명의 아이들이 빈곤 때문에 죽는다. 어던 사람들이 굶어 죽는 동안 선진국에서는 미처 먹지 못해서 냉장고에서 썩어가는 음식을 내다버리고 잇다. 도 깨긋한 식수조차 얻지 못하는 사람들이 잇다. 우리들이 이런 사람들을 도우려면 우리들이 실제로 필요치 않은 사치품 한두 개를 포기해야 한다. 하지만 이는 실행하기 어려운 인생철학이다. 

 

 

이 책을 통해 자유와 정신에 대해 논쟁을 벌였던 고대의 사상가들로부터 우리 시대의 문제를 냉철하게 짚어내는 현대의 철학자까지, 주요 철학자들을 만나면서 우리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 그리고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는 문제들을 지혜롭게 해결해나갈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다른 사람들과 토론하는 계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