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비즈니스에 철학이 필요한가 - 최고의 리더를 위한 경영 혁신의 인사이트
앤더스 인셋 지음, 이시은 옮김 / 책세상 / 2019년 4월
평점 :
절판


오늘날 우리가 사는 세상에는 과거 어느 때보다 철학자들이 필요하다. 우리는 믿기 힘들 만큼 아름다운 시대에 살고 있다. 아마 지금이 인류의 유구한 역사에서 가장 흥분되는 시대가 아닐까. 이런 시대에 우리는 목표를 추구하며 분주히 살아가면서 '삶의 기술'을 깨닫고 정의하려 애쓰는 한편, '생각의 기술'을 이해하고 체득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서문' 중에서

 

 

급변하는 시대에 요구되는 생각의 기술

 

이 책의 저자 앤더스 인셋노르웨이 태생으로,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활동하는 비즈니스 철학가, 작가 겸 투자자다. 그는 유명한 국제 비즈니스 스쿨에서 객원 교수로 강의를 하며, 프랑크푸르트국제연합의 창립 파트너, 독일기술창업센터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데, 리더십과 변화, 기술, 브랜딩, 창의성 등의 주제로 강연하며 국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또 전 세계 리더들에게 신뢰받는 자문가로서 '생각나는 대로 말하기' 기법으로 일대일 코칭을 진행하며 새로운 질문을 찾는 CEO들의 인식을 전환시키고 있다.

 

또 미래 트렌드와 리더들이 현재 변화의 속도에 대처하는 방법을 깊이 이해하고 있는 그는 10년간 컨설턴트와 벤처 기업가로 일하며 다양한 업종에서 비즈니스 경험을 쌓았고, 창의적인 광고 마케팅 대행사를 공동 창업하여 수많은 독일 DAX 상장기업과 숨은 강소기업들과 함께 일하며 전문성을 키웠다. 큰 성공을 거둔 후에 광고 마케팅 대행사를 떠나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전자상거래 앱, '온라인 인쇄소' 등의 스타트업을 창업 및 투자하는 벤처 사업에 몸담고 있다.

 

총 5장으로 구성된 책은 사고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미래의 삶과 비즈니스의 문제에 지금까지의 방법과는 다르게 접근하는 법을 알려준다. 즉 창의와 혁신의 정의를 분명하게 제시하고, 생각의 기술을 활용하는 법을 알려준다. 기존에 있던 지식에 개인의 경험과 생각을 얹어나가면 새로운 생각이 탄생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변화의 시대에는 완벽한 상태가 존재하지 않음을 강조하며, 생각한 것을 지금 바로 실행에 옮기기를 권한다. 행동하며 조금씩 수정해 나가는 것이 변화의 속도에 적응하는 방법이다.

 

 

"오늘날 리더에게는 과거의 철학과 미래의 과학 지식 및 기술이 함께 필요하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대화 이전에도 '변화'는 중요한 주제였다. 그리스 철학자 파르메니데스는 아무것도 변화시킬 수 없고 변화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한 반면,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는 변화가 우주의 근본 원칙으로 세상에 영원한 것은 변화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누구도 같은 강물에 두 번 발을 담글 수 없다. 강물이 같은 강물이 아니고 사람도 같은 사람이 아니기 때문이다"라는 3500년 전에 남긴 그의 말이 이를 대변한다.

 

그래서, 변화는 모든 CEO들에게 골칫거리다. '2.0, 3.0, 4.0'.... 이런 것들은 그저 말장난에 지나지 않는 유행어일 뿐이다. 변화는 일상이다. 모든 것이 변하고 있고, 이것이 우리들이 직면한 현실이다. IT, 기술 등 우리 삶의 모든 분야에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처럼 변화는 항상 진행형이다. 하지만, 우리들은 이런 변화를 앞질러서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생각하는 능력, 이는 우리들이 가진 고귀한 재산이다.

 

지난 수천 년간 사상가들은 지식의 의미와 정의를 찾으려는 철학적 논제에 매달려왔다. 하지만 어느 한 가지의 정의로는 모아지지 않았다. 왜 그럴까? 나에게 있어서의 지식은 '알고 있는 것', 즉 주관적인 관점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인간은 자신의 삶에 도움되는 더 많은 정보와 설명을 추구하면서 이 지구상에서 살고 있다. 지금껏 인간은 사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면 '모든 것을 알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우리의 역사는 지식을 계속 모아 '빅데이터'를 만들고 있다. 또한 야생적 지식은 숨겨진 채 발견되길 기다리고 있다.

 

사람들은 자신이 아는 것을 대단한 것으로 여긴다. 그런데, 이런 관점이 문제인 것이다. 스스로 현명하고 똑똑하다고 자부하는 사람들의 지혜는 그래서 위험하다. 셰이스피어는 "바보는 자신이 현명하다고 생각하지 않지만, 현자는 자신의 어리석음을 안다"라고 말했다. 그렇다. 지혜는 이미 갖고 있는 게 아니라 아프로도 계속 추구해야 할 대상이다. 자신을 파멸로 몰고갈 위험한 지혜로 만들어선 안 된다. 야생적 지식은 늘 초심자처럼 생각하며 새로운 해결책과 아이디어를 추구하는 장난기를 가진 사람에게 보인다.

 

"진정한 지혜는 길들여진 지식의 무의식적인 상태와 실질적 경험의 의식적인 상태 사이에

뻔히 눈앞에 있지만 보이지 않는 최적 지점에서 발견된다"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나올까? 과연 혁신적 인재들만이 가지는 특별한 재능일까? 비즈니스는 진보를 원하기에 아이디어나 창의성을 얻고자 부단히 노력한다. 그런데, 이는 바로 야생적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디에서 어떻게 야생적 지식을 얻을 수 있을까? 지난 역사를 돌이켜볼 때 창조와 발전은 행동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아인슈타인도, 피카소도, 스티브 잡스도 모두 이미 있던 것에서 창조적 모방을 통해 새로운 것을 발명 또는 발견했다.

 

그런데, 이런 위대한 아이디어는 성공과 실패가 함께 공존한다. 실패 없이 성공만 하는 사람은 없다. 주식 투자를 통해 수익률 몇 배를 달성했다고 자랑하는 전문가 또한 벌기만 했을까? 아니다. 단지 상대를 현혹시키기 위해 성공 사례만 내세울 뿐이다. 바꾸어 말하면, 실패가 없다면 성공도 없으며 창조나 근본적인 발전이 없다. 즉 '유레카!'란 거듭된 실패 뒤에 따르는 감격의 환희인 것이다. 

 

21세기를 살고 있는 현대인들은 외부 요인에 훨씬 더 많이 휘둘린다. 항상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뭔가 새로운 것을 놓치지 않을까 노심초사한다. 그런데, 로그오프 상태라고 해서 중요한 일이 없어지는 것은 결코 아니다. 단지 자기 자신의 마음일 뿐이다. 그래서, 불가佛家의 수행자들은 이런 현상에 관해 '일체유심조一切幼唯心造'라는 깨달음에 도달한다.

 

"인생은 매우 단순하지만, 우리가 자꾸 복잡하게 만든다"

- 공자

 

우리들은 과거에 연연하지 말고 지금 현재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를 신경 써야 한다. 항상 더 나은 삶을 꿈꾸고 바랄 수는 있지만, 실제로 우리들이 바꿀 수 있는 것은 현재의 의식뿐임을 이해해야 한다. 우리가 가진 것은 현재뿐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책의 저자는 우리들에게 교육에 힘쓰라고 충고한다. 이럴 때 우리는 비로소 '나우이즘'에 몰두, 일상적인 일을 즐길 수 있고, 야생적 지식을 이용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나아가 야생성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환경, 분위기, 문화를 조성할 수 있다. 이를테면, 교육을 통해 EQ를 지향해야 한다. 

 

핵심 3요소

 

공감능력

겸손함

정직성

 

모든 기업의 심장은 문화다. 사이먼 사이넥의 저서 <나는 왜 이 일을 하는가?>에서는 '사람들은 리더가 무슨 일을 하는지를 믿지 않고 왜 그 일을 하는지를 믿는다'고 말한다. 리더의 큰뜻을 믿는 사기충천한 직원들과 소비자들은 기업에 있어서 가장 강력한 자원이다. 더구나 이런 문화는 뚝딱하고 만들어낼 수 있는 게 아니고 쉽게 바꿀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즉, 기업 자체가 문화이다.

 

2060년에 이르면 오늘날 존재하는 직업 중 절반이 사라진다고 예상한다. 이와함께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수많은 기업들이 등장할 것이다. 자본주의 시스템도 계속 변화해갈 것이다. 앞으론 현금 거레도 사라질 것이므로 은행과 금융서비스 분야에서도 거대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어쩌면 사람이 손으로 처리하는 일상 업무는 기계로 대체될 수 있기에 은행업은 상상보다 더 빨리 타격을 입을 것이다. 미래는 전혀 새로운 방식으로 우리의 삶을 바꿀 것이다.

 

 

철학이 필요하다

 

진화학자 찰스 다윈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잘 대처하는 생물이 끝까지 살아남는다"라고 강조했다. 사실상 인간도 비즈니스도 마찬가지다. 우리들을 둘러싸고 있는 거대한 생태계에서 최후까지 살아남으려면 적응력은 필수이다. 갈수록 복잡다단해 지는 현대 사회에서 생존하려면 야생적 지식을 한껏 섭취할 줄 아는 그런 철학적 소양이 필요하다. 즉, 지난 과거의 생각이 옿은지를 따지기보다 21세기에 과거의 생각을 어떻게 적용해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를 성찰해야 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철학이 필요한 이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