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크:하다 - 이기적이어서 행복한 프랑스 소확행 인문학 관찰 에세이
조승연 지음 / 와이즈베리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외국에서 한국에 온 친구들은 한국인이 왜 그렇게 스스로를 불행하다고 생각하는지 의아해한다. 사실 돌아보면 한국만큼 살기 편리한 곳도 세계에 드물다. 낙서 하나 없고 시간 잘 지키는 쾌적한 지하철,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와이파이와 LTE가 있고, 배가 출출할 때 주문만 하면 24시간 내내 치킨을 집까지 배달해주는 나라에 살면서 왜 그렇게 화가 나 있는지 모르겠다. 실제로 뉴욕의 지하철역에는 에어컨도 없고, 여기저기에 녹물이 죽죽 떨어진다. 파리에서는 계획대로 돌아다닐 수가 없다. 걸핏하면 철도, 항공사가 파업을 한다. 어디 그뿐인가. 대부분의 시민은 임금의 절반을 월세로 지출하며 자기 집을 살 생각은 아예 못 한다. 비싼 집이어도 세탁기나 텔레비전 등을 놓을 공간도 없는 곳이 많다. 대기업 임원도 자전거나 스쿠터를 타고 출퇴근한다. - '서문' 중에서

 

 

프랑스 소확행을 관찰하다

 

책의 저자 조승연은 세계문화전문가로, tvN <어쩌다 어른>, <비밀 독서단>, JTBC <비정상회담>, <말하는 대로>, MBC <라디오스타>, <마이리틀텔레비전>, KBS <배틀트립> 등을 두루 거치며 TV 프로그램에서 외국 언어와 역사, 문화, 예술을 쉽고 재미있게 전파했다. 현재 KBS COOL FM 라디오 <굿모닝 팝스> 진행자로 활동 중이다.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에 능통하고 독일어, 라틴어는 독해가 가능하다. 아울러 한문과 중국어를 배우며 동양 언어 공부에 매진하는 동시에 영국 노팅햄 대학 영어언어학 석사 과정을 원격으로 수학하며 언어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있다. 뉴욕대 경영학교(NYU STERN SCHOOL)를 졸업했으며 프랑스어를 독학으로 공부하여 프랑스 최고 미술사 학교인 에꼴드루브르에 합격해 2년간 수학했다. 주요 저서로는 <플루언트>, <공부기술>, <이야기 인문학>, <비즈니스 인문학> 등이 있다.

 

행복에 관한 태도나 관점에 있어서 프랑스인들은 우리 한국인과는 크게 다르다. 그들은 타인이 자기 인생을 '성공'이나 '실패'로 정의 내리도록 허용하지 않는다. 소위 '나는 나'라는 식의 이기주의자이다. 그들의 모든 삶은 성공이나 성취가 아닌 행복 추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렇기에 심지어 '먹기 위해 산다'고 할 정도로 맛있는 음식을 찾아서 온 세상을 뒤지거나 연애에 기꺼이 목숨을 건다. 반면에 자신을 구속하는 것이라면 결혼이든 가족이든 그 무엇도 쿨하게 거부할 줄 안다.

 

이 책 <시크: 하다>는 저자가 6년간 프랑스에서 살았을 적에 직접 경험했던 내용을 바탕으로 프랑스인들의 삶의 태도를 우리들에게 소개한다. 총 8개 파트로 구성되어 편안함, 삶과 죽음, 음식, 우정, 가족, 육아, 성공, 연애 등에 대한 프랑스인의 시각을 잘 정리, 한국인들과 비교함으로써 '소확행小確幸''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해석한다. 

 

 

 

 

예측가능한 편안한 삶

 

사람은 누구나 편안함을 추구하고 이를 좋아한다. 저자의 경험으로는 파리에 살면 살수록 무언가 할아버지 시대의 자명시계처럼 구닥다리 톱니바퀴가 고장이 날 듯하면서도 용케도 잘 돌아가는 것 같은 포근함을 느끼고 그에 동화되었다. 그 편안함의 정체는 바로 삶이 예측 가능하다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프랑스식 편안한 삶의 정체다.


다른 예를 들면, 프랑스의 많은 가정은 일요일에 식구들이 모여 앉아 다음 주의 식단을 짜고 장을 봐온 후에 냉장고에 날짜별로 질서정연하게 식재료를 정리해 놓는다. 이렇게 하면 1주일 동안 '오늘 뭐 먹지?'라는 고민을 안 해도 된다. 또 프랑스의 회사에서는 직원들에게 한 달 업무 계획을 미리 부여하며, 직원들은 그 계획에 변동이 생기는 것을 끔찍하게 싫어한다. 매일 업무량이 예측 가능하기 때문에 친구들과의 약속을 잡기가 쉽다. 레스토랑을 예약하거나 공연 티켓을 미리 구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갑자기 발생하는 야근이 흔해서 그런지 몰라도 예약 취소, 심지어 '노쇼'까지 흔한 우리와는 다른 모습임에 분명하다.

 

 

파리의 첫인상, "죽은 고래의 뼈 같다"

 

“프랑스 사람들은 왜 그렇게 죽은 사람들을 위해서만 큰 건물을 만들었죠?”

 

저자가 파리에서 미술사를 공부할 때 어머니 친구의 딸이 처음 프랑스에 와서 꺼낸 말이었다. 평소 그런 생각은 해본 적이 없었던 그는 문득 그 말이 맞다는 생각이 들었다. 즉 몽마르트 언덕에서 파리를 내려다보면 가장 크고 아름다운 건물이 무덤 건물이다. 프랑스 의회 건물 뒤로 우뚝 솟은 '레장발리드'의 황금 돔 아래에는 나폴레옹이 잠들어 있다. 소르본대학(파리1대학)을 내려다보고 있는 판테온은 국가가 관리하는, 프랑스를 빛낸 영웅들의 국립묘지다.

 

이 두 건물은 파리 도시 전경의 양대 축이다. 런던이나 뉴욕에서는 은행, 우체국, 사무실 등 산 사람을 위한 건물이 도시의 중심이라면, 프랑스는 거대한 무덤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파리의 유명한 관광지인 카타콤베는 흑사병 유행기에 죽은 파리 시민의 뼛더미가 묻힌 곳이다. 그리고 프랑스의 아름다운 성당들은 성인과 왕들의 관과 신체의 일부를 성물聖物로 모시고 있다.

 

카타콤베

 

 

요리 조기교육

 

프랑스를 좋아하는 사람은 대부분 옷이나 음식을 매우 중시한다. 실제로 프랑스 유치원과 초등학교에서는 지금도 미각味覺을 교육한다. 이는 우리나라 EBS에서 소개한 적도 있다. 그 프로그램에서 소개한 프랑스의 미각 교육은 선생님이 어린 학생들에게 사과, 오렌지 등 과일을 손으로 천천히 만져보고 입으로도 천천히 깨물어보게 한 다음 그 느낌을 말로 설명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세상의 거의 모든 언어에는 색깔을 표현하는 단어는 많지만 맛을 직접 표현하는 단어는 부족하다. 예를 들어서 어떤 드레스를 보여주면서  "무슨 색이야?"라고 물어보면, "빨간색"같이 색에 대해 직접 이야기할 수 있다. 하지만 "살구가 무슨 맛이야?"라고 물어보면 대부분의 사람은 "살구 맛"이라고밖에 설명할 수 없다.

 

그래서 맛을 묘사하려면 비유법을 동원해야 한다. 이때 대부분 시적 묘사가 동원된다. 프랑스 아이들은 이 수업을 통해서 오이의 맛을 '마치 시골의 숲 공기를 이빨로 굴리는 것 같다'라든지, 토마토의 맛을 '태양과 대지의 맛을 믹서기에 갈아 넣은 것 같다'라는 식으로 표현하는 방법을 배운다. 한마디로 설명되지 않는 냄새, 맛 등에 대한 감각을 말로 표현하는 것 역시 요리를 통해 배우는 프랑스식 감성 교육의 장점이다.

 

 

 

프랑스인의 인간관계, 원근으로 나눈다

한국인은 사회에서의 인간관계를 상하上下로 나누는 데 비해 프랑스인은 원근遠近으로 나눈다. 한국인은 윗사람에게 존댓말을 쓰고 아랫사람에게 반말을 쓴다면, 프랑스인은 가족과 친구에게는 상하 관계없이 반말을 쓰고 사회적인 관계에서는 모두 존댓말을 쓴다. 중학교 선생님이 모든 학생 이름 앞에 깍듯이 '므슈'나 '마드모아젤'을 붙이는 전통은 점점 사회가 캐주얼 해지면서 많이 사라졌지만, 프랑스인이 다른 사람을 어떻게 대하는지 잘 보여주는 사례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첫 만남에서 어색함을 벗으면 생년월일부터 물어보는 것은, 그 사람이 손위냐 손아래냐에 따라 언어, 태도, 매너를 결정하기 위해서이고, 그렇게 하는 것이 한국 사회생활의 기본 태도로 보기 때문이다. 반면에 프랑스인은 원근으로 사람을 구분하고 상대편이 원하는 거리 이상으로 다가가지 않는 것을 가장 중요한 예의로 본다. 이것은 프랑스 사람들이 좋아하는 '고슴도치' 비유법으로 아이들에게 전수된다. 고슴도치가 멀리 같이 가려면 서로 찔리지 않을 정도의 간격, 서로 잊히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지키면서 함께 가야 한다는 것이다. 

 

 

가족관과 결혼관

 

한국도 지금 전통적인 가족관이 심하게 흔들리고 있다. 젊은이들은 점차 개인의 소소한 행복을 중요시하고, 미래를 위해 현재를 희생하려 하지 않는다. 이리 보면 이제 이런 가치관에 입각한 새로운 가족관이 필요한 때라고 할 수 있다. 아직도 우리는 '가족'이라고 하면 두 이성 커플이 결혼해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 전념하는, 할아버지 세대의 사고방식을 그대로 따른다.

 

새로운 실험이 없기 때문에 새로운 형태의 가족도 만들어지지 않는 것 같다. 현 세대가 행복을 찾을 수 있는 새로운 가족관이 없기에 그들은 아예 가족 만들기를 포기한다. 가치관은 변하는데 출산율 저하 문제를 전통 가족 형성에 필요한 아파트 임대 자금을 저리로 빌려 주거나 공익 광고로 해결하려고 한다. 새로운 세대가 자기의 가치관에 맞추어 나름의 새로운 가족관을 형성할 자유와 용기, 그리고 그들의 실험을 존중해주는 기성세대 없이는 우리나라의 고질적 문제인 가족 없이 혼자 늙어가는 외로움과, 아이가 없는 나라의 절망은 절대로 해소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런 문제에 직면한 우리로서는 프랑스가 여러 어려운 실험 끝에, 결혼은 가장 적게 하지만 유럽에서 가장 건강한 출산율을 가진 나라가 되었다는 사실을 참고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어른이 된다는 것

 

우리나라 부모들은 어린 자녀가 재미없는 이야기를 해도 재미있는 척하고 열심히 들어주고, 아이에 입맛에 맞추어 식사 메뉴를 바꾸며, 아이의 눈높이에 맞추어 이야기를 한다. 아이는 그렇게 모든 것을 어른들이 받아주는 환경에서 자란다. 그러다가 자신이 성인이 되어 보니 사회는 자신의 꿈이나 감정, 취향 따위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그때 느끼는 좌절감은 얼마나 폭력적일까?

 

어쩌면 한국 젊은이들의 고통과 고뇌는 여기서 시작되는 것이 아닐까? 그러다 보니 우리나라 아이들은 자랄수록 인생의 하향곡선을 그리게 되는 것 같다. 유아기 시절 마음껏 누리던 자유와 권한을 평생 다시는 누릴 수 없다는 사실을 실감하며 살아야 하는 인생이 과연 행복할 수 있을까?

 

그런 면에서 프랑스인의 인생은 다르다. 지식과 경험, 사회적 우아함이 쌓이면서 어린아이가 작은 아기 방에서 거실로, 거실에서 어른의 식탁으로, 어른이 식탁에서 회사의 임원 회의실로 점점 강한 발언권을 획득하는 과정을 밟아가게 되므로 어른이 아이보다 얼굴이 밝은 것 같다. 프랑스 아이들에게 어른이 되어가는 것은 괴로운 인생의 무게를 짊어지는 여정이 아니라 인생을 자신이 원하는 대로 살 수 있는 자유가 주어지는 기대되는 일이 되는 것이다.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의 실험

 

모든 실험 끝에 프랑스 사람이 알게 된 것은 '인생에서 성공이라는 것은 없다'이다. 성공이란 내 인생의 목표가 해소되는 시점을 말한다. 만약 자신의 인생에 굳건한 목표가 있다면 그 목표는 절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야 한다. 목표가 실현되면 그 이후에 무엇을 할 것인가? 꿈은 꿈일 때 멋지지 막상 현실이 되면 허망하다. 성공의 순간 인생의 방향을 잃어버리고 오히려 전보다 불행해진 사람의 예는 수도 없이 많다. 꿈을 꿈으로 남겨둘 용기가 없는 사회는 자꾸 사람에게 '꿈을 이루어라'라고 말하고 그것을 행복이라고 가르친다.

 

어떤 목표를 이루는 것으로 인생의 성패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간에 먹고 놀면서 느끼는 '즐거움'만이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면 어떨까? 어쩌면 프랑스인은 진짜 성공한 인생이란 성공하려고 발버둥치지 않아도 되는 인생이고, 진짜 행복한 인생은 행복이란 것을 믿지 않고 주어진 순간에 충실한 인생일 수 있다는 결론을 오랜 시행 착오 끝에 얻은 것은 아닐까?

 

 

매력은 곧 국력

 

아무리 돈이 많거나 힘이 세도 아무도 좋아하지 않는 사람은 사회에서 힘을 쓰지 못한다. 나라도 마찬가지다. 프랑스는 이 사실을 잘안다. 강대국이 되려면 우수한 경제력과 기술력, 강력한 군사력도 있어야 하지만 그보다 쉬운 방법은 최대한 많은 사람이 프랑스를 사랑하게 만드는 것이다. 프랑스인은 전 세계인이 프랑스를 사랑하게 만들려고 갖은 애를 쓴다. 2016년 파리 관광청에서 만든 광고에도 젊은 커플 관광객이 파리 거리를 손잡고 누비며 거침없이 키스하는 모습을 콜라주했다. '파리에 함께 방문한 커플은 다른 커플보다 네 배 오래 사귄다'라는 근거 없는 통계를 배포하기도 한다.

 

심지어 <외교>라는 영화에서는 나치가 파리를 폭파하려고 하자, 프랑스 사람도 아닌, 파리를 너무나 사랑하는 북유럽 출신 외교관이 나치 장교를 설득해 폭파를 막는 장면이 나온다. 이처럼 파리를 사랑하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 곧 프랑스의 힘이다. 우리가 '체력은 국력'이라고 배웠다면 프랑스인에게 '매력은 곧 국력'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