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사 교유서가 첫단추 시리즈 17
로버트 C. 앨런 지음, 이강국 옮김 / 교유서가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제사는 사회과학의 여왕이다. 경제사의 주제는 애덤 스미스의 위대한 저작의 제목인 '국부의 본질과 요인(국부론)'이다. 국부의 요인을 경제학자들은 시간을 초월하는 경제 발전 이론들에서 찾지만, 경제사가들은 역사적 변화의 동적인 과정에서 찾는다. 경제사가 던지는 근본적 질문- 왜 어떤 나라는 부자이고 다른 나라는 가난한가?-이 다루는 범위가 전 세계로 확장된 이래 경제사는 특히 흥미로워졌다. 50년 전 그 질문은 '산업혁명은 왜 프랑스가 아니라 영국에서 일어났는가?'였다. 그러나 중국, 인도, 중동에 관한 연구는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문명들의 내재적인 동학을 강조해왔다. 따라서 오늘날 우리는 경제 성장이 아시아나 아프리카가 아니라 왜 유렵에서 시작되었는지 물어보아야만 한다. - '대분기' 중에서

 

 

왜 어떤 나라는 부자이고 다른 나라는 가난한가?

 

이 책의 저자 로버트 C. 앨런은 1947년생으로 하버드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옥스퍼드 대학교 경제사 교수로 재직중이다. 영국왕립학술원 회원. 2012~13년 미국경제사학회 회장 역임했다. 저서로 <세계적 시야에서 본 영국 산업혁명THE BRITISH INDUSTRIAL REVOLUTION IN GLOBAL PERSPECTIVE>(2009) 등이 있다.

 

우리는 과거 500년을 세 개의 시기時期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1500년에서 1800년 사이의 중상주의 시대(mercantilist era)이다. 이 시대는 통합된 세계 경제를 만들어낸 콜럼버스다 가마의 항해로 시작되어 산업혁명으로 끝이 났다. 유럽인들은 아메리카 대륙에 정착하여 은, 설탕, 담배를 수출했다. 아프리카인들은 노예가 되어 아메리카로 끌려가 이 상품들을 생산했다. 아시아는 향료, 옷감, 도자기를 유럽에 수출했다. 유럽 강대국들은 식민지를 획득하고, 유럽의 제조업은 식민지의 희생을 대가로 발전했지만, 경제 발전 그 자체가 목표가 아니었다.

 

두 번째는 19세기 추격(catch-up)의 시대이다. 1815년 나폴레옹이 워털루 전투에서 패했을 즈음, 영국이 산업을 선도했고 다른 국가들을 경제에서 압도했다. 서유럽과 미국은 경제 성장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고 4가지 표준적인 정책 묶음으로 이를 이룩하고자 했다. 즉 국내의 관세 철폐와 교통 인프라 건설로 전국적인 통합 시장 창출, 영국으로부터 자국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외국에 대한 관세 적용, 통화 안정과 국내 산업의 투자재원 확충을 위한 은행 면허 부여, 노동력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대중교육 확립 등이 바로 이것이다. 서유럽과 북아메리카는 성공적이었기에 영국과 함께 선진국 클럽이 되었다.

 

세 번째는 20세기 빅푸시(Big Push)이다. 이전의 서유럽, 특히 독일과 미국에서 성공적이었던 정책들이 20세기엔 아직도 발전되지 못한 국가들에겐 덜 효과적이었다. 대부분의 기술은 선진국에서 발명되는데, 더욱 더 비싸지는 노동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자본을 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이 신기술은 저임금 국가에서는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않지만, 선진국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필요한 것이었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이 기술을 어느 정도 도입했지만, 선진국들을 따라잡을 만큼 급속하게 도입하지는 않았다. 

 

 

   

 

 

산업혁명

 

산업혁명(대략 1760년부터 1850년까지)은 세계사의 전환점이었다. 경제 성장이 지속되는 새로운 시대를 열었기 때문이다. 산업혁명은 이름에서 느껴지는 급격한 단절이 아니라 초기 근대 경제 전환의 결과였다. GDP가 8~10퍼센트씩이나 성장했던 최근의 성장 기적을 기준으로 보면, 1760년 이후 100년간의 경제 성장률(연 1.5퍼센트)은 매우 낮은 것이었다. 그러나 영국은 선도자로서 세계의 첨단기술을 계속 확장해나가고 있었다. 경제가 계속 성장하여 소득이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이것이 오늘날 대중의 번영을 가져왔던 것이다.

 

기술 변화가 바로 산업혁명의 동력이었다. 증기기관, 면방적기와 면방직기, 그리고 석탄을 사용해 철강을 제련하는 발명들이 나타났다. 또 모자, 핀, 못 등처럼 노동생산성을 상승시킨 여러 가지 단순한 기계들도 등장했다. 19세기의 기술자들은 18세기의 기계 발명을 전반적으로 더욱 확장했다. 증기기관은 철도, 선박에 의해 운송 분야에, 동력에 의해 움직이는 기계류도 초기의 방적기를 넘어 산업 전반에 적용되었다. 

 

과학의 발견들은 유럽 전역에 알려졌고, 자연철학에 대한 상류층의 관심은 보편적인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화적 발전으로는 왜 영국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났는지 설명할 수 없다. 대신 산업혁명에 대한 설명은 영국의 독특한 임금과 가격 구조에서 찾아야 한다. 고임금과 값싼 에너지에 기초한 영국 경제에서는 기업들이 산업혁명을 일으킨 혁신적인 기술을 발명하고 사용하는 것이 이익이 되었다.

 

 

기술 진보의 거시경제적 특징

 

당시의 연구개발은 대부분 오늘날 선진국인 국가들에서 행해졌다. 이들 국가는 수익성이 있다고 예상되는 기술을 발전시켰다. 따라서 이 국가들이 선도적으로 도입한 새로운 제품과 과정은 자신들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한 것이었다. 특히 선진국의 높은 임금은 자본의 사용을 증가시켜 노동을 절약하는 제품을 개발하도록 유도했다. 이는 진보를 촉진하는 연쇄 순환을 낳았다. 높은 임금이 더욱 자본집약적인 생산을 촉진했고, 이는 또한 더 높은 임금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선순환이 선진국에서 소득이 증가한 기초가 되었다.

 

서구 선진국들은 더 높은 임금이 노동절약적인 기술의 개발로 이어지고 이 기술을 사용하면 노동생산성과 임금이 상승하는 발전의 궤적을 경험해왔다. 이러한 사이클은 반복된다. 오늘날 가난한 국가들은 엘리베이터를 놓쳐버렸다. 이들 국가에서는 임금이 낮고 자본비용이 높아서, 낡은 기술로 생산을 해야 하고, 따라서 소득이 낮다. 산업의 역사는 이러한 법칙의 사례들을 제공한다.

 

 

왜 미국 경제가 멕시코 경제보다 훨씬 더 빠르게 성장했을까?

 

이에 대한 유력한 해석은 미국의 제도가 '질이 좋았던' 반면, 멕시코의 실패는 멕시코의 제도가 '질이 나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떤 제도가 문제였을까? 미국은 영국식 재산권 제도, 삼권분립 및 견제, 평등주의, 민주주의, 자유방임정책 등으로 멕시코에 비해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 반면 멕시코는 토착민들의 토지 공동 소유, 극심한 사회적/인종적 불평등, 식민지 유산의 특징을 영속화하는 정치 체제 등이 불리한 점이었다.

 

미국과 멕시코는 왜 이렇게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되었을까? 읽고 쓰는 능력과 계산 능력에 대한 수요가 식민지 시기 멕시코에 비해 식민지 시기 미국에서 훨씬 더 컸기 때문이다. 이는 북아메리카의 식민지가 고유 산품 경제였고, 그곳의 정착민들은 그들의 생산품 중 많은 부분을 판매하여 영국의 소비재를 구입하고 유럽의 생활수준을 달성하고자 기대했기 때문이다. 읽고 쓰는 능력은 상업 활동을 촉진했다. 반대로 멕시코의 토착 인구는 상업적으로 훨씬 덜 적극적이었고 따라서 이러한 능력의 쓸모가 덜했다.

 

 

무엇이 경제 성장을 결정할까?

 

책의 저자는 영국, 서유럽, 미국,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 일본, 소련, 중국 등 전 세계 경제성장의 역사를 추적하면서 이에 대한 답을 제시하려고 한다. 그는 지리, 제도, 문화 등의 근본적인 요인들이 마땅히 경제 성장의 배경이지만 기술의 진보, 세계화, 경제 정책 등이 더욱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경제 성장을 제대로 알려면 세계사라는 역사를 먼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는 개인적인 판단을 내리고 싶다. 세계경제사가 궁금한 모든 이에게 책의 필독을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