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눈에 펼쳐보는 신기한 크로스 섹션 - 지구의 신기한 사물과 장소를 본다 한눈에 펼쳐보는 크로스 섹션
리처드 플라트 지음, 스티븐 비스티 그림, 권루시안(권국성) 옮김 / 진선아이 / 2011년 3월
구판절판


옛말에 백문불여일견 [百聞不如一見] 이란 말의 의미를 이책을보고 확실하게 알게되었다.

사람의 말로는 표현하수 없는책이 한눈에 펼쳐보는 신기한 크로스 섹션이란 책이다.

스트븐 비스티의 그림이 없었다면 이책이 세상에 나올수 있을까 하는 의문마저든다.

스티븐 비스티는 영국의 대뵤적인 역사.과학 그림책의 작가로 다방면에 관심을갖고 공부를한것 같다. 일러스트레이션과 건축학적인 단면 그림을 전공했고 일러스트레이터가되고 어른과 어린이가 함께볼수있는 책을 내고 있다고 한다. 크로스 섹션시리즈가 그의 장점을 잘 보여주고있는 작품이 아닐까한다. 글은 리쳐드 플라트가썼다. 그또한 작가,편집인,사진작가로 어린이를위한 다양한 책을 쓰고있다고 한다.


그럼 내가 왜이렇게 호들갑을 떠는지 책을 보지 못한 분들은 의문을 갖을지 모르겠다.

나또한 이책을 보기전까지는 사람들이 하는말을 과장된 이야기라고 치부했던 사람이다.

지금은 책을보는순간 정말 이게 사람의 손으로 그린걸까 혹시 컴퓨터작업을 하지는 않았을까하는 생각이 먼저들었기 때문이다.


12개의 그림이나온다. 그림 한장속에 한가지 주제에대한 모든것이 눈앞에 펼쳐진다.

첫번째가 증기 견인차 아마도 증기 견인차라는 단어조차 들어본 적이 없는 사람이 많을듯하다. 나또한 증기 기관차는 들어봤지만 견인차는 처음이다. 물론 보는건 당연히 처음이다1860년대 처음 등장했고, 이삭이난 낟알을 떨어내는 탈곡기같은 고정된 농기계를 구동했단다. 나중에는 다른 것들도 움직였다고한다. 이후 20세기초에 전기 모터와 내연기관이 등장하면서 점점 사양길로 접어들어 사라졌다고한다.

증기 견인차바퀴아 작은 나사못 하나까지 그림으로 분해해 펼쳐보인다. 이것을 시작으로 불이야는 고층건물의 불을끄는 소방관들의 모습과 우주 정거장그런데 우주 정거장에 사람이 이렇게 많이 있는줄을 몰랐다. 지금껏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거대하다. 공황과 남극기지 풍차 방앗간, 베네치아,도시, 영화 촬영장, 타워 브리지, 그랜드 캐이언, 인체가나온다. 뭐니뭐니해도 최고의 크로스 섹션인 인체다. 너무섬세한 표현에 소름이 돋을지경이다. 인간의 몸을 그림으로 해부도 대단하지만 핏줄의 꼭 전기배선같이 눈앞에 보이는건 거의 경이적이라는 표현이 맞을듯하다. 이책은 과학을 총체저으로 이해할수있다. 생물, 지리, 등등말이다. 도시에서는 지층의 단면을 대폭발부터 섬캄브리아시대 고대의 바다, 공룡 시대별로 나열되어있어 공부가아니라 놀이같이 쉽게 접근할수있다.




눈으로보고 글로이해할수잇는 책이라는 장점은 온가족이 둘러앉아 즐겁게 대화하면서 볼수있는 책이바로 신기한 크로스 섹션의 가창큰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가정에 이책을 꼭 권하고싶다. 가족과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쉽게 대화를 열수있는 비밀을 담고있 책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