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사화 조선 핏빛 4대 사화 2
한국인물사연구원 지음 / 타오름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의 4대사화중 하나인 갑자사화(甲子士禍) 그런데 지금까지 사화란 단어의 뜻에 생각을 해본적이 없다. 너무나 자연스럽게 보고 들어왔던 단어라 따로 생각을 하지 못했든데 사화(士禍)란 士林의 禍 의 준말이란다. 처음부터 하나하나 새로 배워간다는 생각으로 읽었다. 예전에 학교에서 국사시간에 배울때는 시험에 출제될 문제만을 생각했다면 지금은 역사의 한자락에 피비린내나는 정쟁 당쟁 그리고 임금의 개인적인 복수와 욕망, 방종에 대하여 짚어보고 싶었다. 갑자사화는 정치적인 관점에 보면 궁중세력과 훈구파의 세력다툼이라고 할수 있다.




갑자사화가 다른 여타의 사화와 구분되는건 연산군의 개인적인 한마디로 사사로운 임금의 원한풀이에서 발생된 사건이라는 것이다. 연산군개인적인 원한을 임사홍은 충신이라는 가면을쓰고 충동질한다. 그리고 폐비윤씨의 원한을 풀고자 한다는 미명하래 연산군의 외할머니인 부부인신씨의 고자질로 폐륜을 불러온다.




불행이도 연산군은 사람을 볼줄 몰랐다. 충신을 죽이고 군신의 도리를 다하지 못한 간신을 총애하였다. 인륜을 배반하고 방종에 빠져 주색잡기에 빠져 사대부와 여염의 아녀자를 겁탈희롱하는 군주로 남게된다. 패륜아 연산군 자신의 아버지 성종의 비를 죽이고 할머니인 인수대비를 죽게한다.




중종반정은 예견된 일이었다. 연산군의 폭정에 시달리는 백성들이 반기를 들 수밖에 없다. 다만 아쉬운건 정쟁은 멈추지 않았다는 것이다. 새로운 세상을 열때는 백성을 긍휼이 여긴다는 명분을 내세운다. 하지만 정치가들의 속내는 자신들의 정치적인 이익만을 염두에 두기 마련이다. 연산군이라는 공적이 있을때는 정쟁을 멈추었지만 중종이 왕위에 오른뒤에 훈구파와 사림파의 대립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결국 정권은 바뀌었지만 여전히 백성의 고달픔은 뒷전이다.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는 목적은 역사를통해 잘못을 반복해서는 안된다는 교훈을 배우고자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실은 전혀 그렇지 못하다. 역사는 반복된다. 그것도 잘못된 역사가 그렇지 않고서야 조선창업500년이라는 세월동안 4대사화가 끊임없이 반복된다.또한 역사의 잘못을 말하는 지금의 우리 정치가 역사앞에 떳떳하다고 그누가 단언할수 있는가 지금의 정치는 역사를통해 당쟁의 피폐함을 배우기보다 그들의 독선만을 배우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 배움을통해 미래를 바꿀수 있는 그런정치인을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