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허에 바라다 - 제142회 나오키상 수상작
사사키 조 지음, 이기웅 옮김 / 북홀릭(bookholic)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폐어에 바라다는 단편집이다. 그러나 각각의 사건들을 센도 타카시라는 휴직중인 형사가 풀어가는 형식을띄고 있다. 센토 타카시는 수사중 입은 외상 후유증으로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던중 그의 휴식을 알고있는 지인들의 부탁으로 비공식적인 수사를 진행한다.




첫 번째 이야기는 오지가 좋아하는 마을 예전에 한가롭던 마을이 오지라는 호주인들의 투자로 외부의 사람과 돈이 유입된마을이다. 일본인들의 가치관과 기준에 비해 자유로운 오지인들은 음주운전을 일삼고 마을주민들의 트러블을 일으키지만 경찰은 속수무책이다. 우선 이들과 언어적인 장벽에 부딪치고 문화적인 트러블이 그들사이에 암묵적으로 두고 보자는 인식이 형성된다. 이 무렵 일본인 여자가 오지가 관리하는 별장에서 살해되고 형사들은 때는 이때라고 그를 용의선상에 올리고 범인이라고 단정하는 수사를 한다. 그와 같은 업종에 종사하는 사실 오지인의 애인이다. 센도와 인연으로 수사를 부탁하고 센도는 오지인과 일본인사이에 오해와 질시에 관련된 일을 알게된다. 형사들에게 그에따른 이야기를 들려주고 그곳을 떠난다.




두 번째는 책의 제목이기도한 폐허에 바라다. 센도는 의사의 권유로 직업과 연결되지 않는 온천으로 휴양을 떠나지만 마지막날 선배로부터 예전에 센도가 수사한 사건과 비슷한 사건에대한 이야기를 전해듣는다 결국 센도는 집으로 가던중 그곳으로 향한다. 소년의 비참한 어린시절을 트라우마로 갖고 있고 결국 살인까지 하지만 그의 불우한 어린시절 때문에 가벼운 형량을 받고 풀려나지만 또다른 사건을 일으킨다.




마지막 이야기는 복귀하는 아침으로 의사로부터 세 번의 요양치료를 명령받은 센도는 이제는 더 이상 치료가 필요없다고 복귀를 생각할즈음 또다시 도움 요청이온다. 이번에는 여동생의 살인 혐으를 풀어날라는 부탁 거절 하지만 센도는 결국 삿포로로 달려간다.




수사관이 아닌 휴직중인 신분으로하는 수사는 한계가 있다 센도는 그런 한계에서 수사에대한 압박은 줄었을 것이다. 자신의 수사방식대로 수사를 하는 센도의 모습은 정형화된 형사보다 훨씬 빠르게 범인을 찾아낸다. 그런면에서 그의 위치가 수사에 썩 좋은건 아니지만 오히려 센도에게는 마음편하게 수사할수 있는 환경이 되었을것이고 생각된다.




의문하나 센도는 빨리 복귀하고 싶어하는 마음과 수사와 관련된 일을 잊지 못하는 마음사이에 고민하다 결국 일을 맞게되고 결국 그 일이 치료를 더디게 만들고 있는데도 자신의 일을 손을 놓치 못한다. 독특한 방식의 이야기 전개로 색다른 재미를 느끼게 만드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