괜찮아 3반
오토다케 히로타다 지음, 전경빈 옮김 / 창해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토다케 히로타다의 장편소설 괜찬아 3반을 읽으면서 가장먼저든 생각은 실화가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음 역시 본인이 경험했던 일을 바탕으로 쓰여진 이야기란다. 책 표지를 보면 알수 있듯이 오체불만족의 작가다. 그의 신체는 괜찬아 3반의 담임인 아카오선생님과 같다 아마도 작가는 자신이 하고싶었던일 그리고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는 할수 없는일을 말하고 싶었을 것이다.




새학년이 되었다. 교장 선생님은 새로운 반에 담임선생님을 소개하신다. 5학년 3반 선생님차례다 선생님은 이상한 기계를 타고오셨다. 아카오선생님은 쾌활하게 학생들에게 인사를 하신다. 그순간 내가 든 생각은 솔찍히 어떻게 아이들을 인솔할까 하는 걱정이었다. 이때 교장선생님이 또한분의 교사를 소개 하신다 보조교사 시라이시다. 아하 이런 방법이 있구나 물론 모든 학교에적용되는 건 아니였다. 시장의 특별권한으로 채용할수 있었다. 아카오선생님과 시라이시다는 초등학때부터 친구였고 아카오의 성격을 알고 있던 시라이시다의 추천으로 이루어진 일이다. 시라이시가 생각하는 아카오는 모든일에 적극적인 성격이다. 좌절이란 없는 그가 평소꿈이 교사였기 때문에 추천을 할수 있었다.




나의 생각보다 아이들은 고정관념은 없다. 선생님의 신체조건과 보조교사를 별 스스럼없이 받아 들인다. 어느날 실내화가 사라진 사건이 발생된다. 아카오는 자신의 능력만으로 문제를 풀수 없었다고 판단하고 동료선생님에게 조언을 구한다. 이일은 아카오스스로 풀어야만 하는 문제다. 왜냐면 어떤 면에서 아이들이 선생님의 능력을 시험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라진 실내화를 선생님이 어떻게 해결할지 지켜보고 있기 때문이다. 아카오는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지 못해 고민하던중 아이들의 감정에 호소한다. 다행이 진심은 통했고 실내화를 숨긴 아이의 상처까지 치료할수 있었다.




아카오와 3반 아이들은 이렇게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이속에서 성장해간다. 이글의 장점은 장애인에대한 편견이 없다는 것이다. 물론 아주 없지는 않지만 내가 알고있는 여기서 말하는 일반적인 편견이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인에대한 많은 생각을 하게되었다. 우리는 설명하기 어려운일을 말할 때 일반적인이란 말을 자주 쓰는데 다수의 의견이 꼭 맞는건 아닌데 일반적인 이라는 말로 소수의 의견을 무시하게된다. 아카오와 3반의 아이들을 통해 나는 이래서 못해가 아니라 나는 할수있다는 용기와 우정을 배울수 있는 글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