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립 而立 - 실천편 - 술술술 풀리는 남자 서른의 인문학
심상훈 지음 / 왕의서재 / 201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립(而立)은 논어에 나오는 공자님말씀이란다. 이립 서른의 나이는 요즘 한창의 나이다 아타깝게도 나는 이립을 넘어 불혹을 의 중반 지천명이 가까운나이다. 이나가 되도록 일구어 놓은것도 없고 인생 무상을 한탄하던중 이책 이립을 만났다. 뭐 이제와 이립을 읽는다고 가는 세월이 다시 돌아올리도 만무하지만 그래도 아직 살날에대한 불안감과 좀더 나은 내일을 만들고 싶다는 욕구마저 시들한건 아니다. 그럼으로 나는 아직도 사람들이 말하듯 몸은 늙은이오 마음은 청춘인 셈이다. 혹시나 하고 읽었는데 뜻밖의 이야기들이 들어있다. 내가 놓친 술술술에 대한이야기 나는 술자리 특히 회식자리에서의 술에관한 이야기기 너무 싫었다. 아마도 몸을 사리기 급급했다고 해야 맞을 것이다. 은연중에 나는 여자니 하는 생각도 있고 특히 남자들의 술 사고를 보면서 절대 내 모습이 저런 모습이 되지 않도록 해야겠다는 생각이 머리깊숙이 각이되어 나를 놓는일을 피하다 보니 더 그랬을수도 있다. 그럼 저자인 심상훈님의 술술술에대한 생각을 잠깐 언급하자면 이렇다.




술의 종류는 세가지다. 그중 첫 번째 이약기 술(酒)에대한 이야기다. 술을 마시면 취하게 되는데 취醉를 살펴보면 술을 뜻하는 유자와 마침을 의미하는 卒졸이 합해 잘 마시는 것을 말한다고 한자의 뜻을 풀어놓의 이렇게 오묘한 말이 탄생한다. 술이란 잘 마셔야한다는말에 완벽하게 긍정한다. 사람들은 술(酒)을 잘 마셔야 한다는 것 기분좋게 취醉해서 득得을 얻어야 하는데 실失을 더 많이 취하게 마련이다. 취 醉의 진정한 뜻일 이해한 사람이라면 술자리에서 나를 잊는 행위는 하지 않았을 것이다.




두 번째 이야기는 또다른 술(述) 술술술 나의 또다른 취약점 메모습관 기록하는자가 역사에서 승리한다. 어쩜 그렇게 옳은말만 하는걸까 진리는 시공간을 막론하고 부정할수 없는 것 기록하는 자는 인류역사에 살아남아있다. 그걸 실생활에 접목한다면 실패란 있을수 없는일 얼마전에 경주 박물관을 다녀왔다. 박물관에 남겨진 벽화오늘날의 우리에게 그들의 생활을 짐작할수 있는 기록이다. 마침 메모에대한 이야기를 읽는동안 기록의 중요성을 눈으로 보고나니 더욱 마음에 와 닫는다.




마지막 술(術) 우리 속담에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고 했다 앞의 두술을 마지막 술이 완성한다는 의미일 것이다.




한세상 살아감에 있어 술술술(酒述術) 이세가지만 제대로 실천한다면 성공에 목말라하지 않는 인생이 될 수 있는데 이게또 말같이 쉽지 않다. 결국 사람의 의지가 수반되어야 하는 것 인생 별거 없다고생각 하지 않는다면 술술술(酒述術)을 꼭 잊지 말아야겠다.




권주勸酒




                                                  우무릉




그대에게 이 금빛 나는 술잔을 권하노니

잔에 가득 찬 이 술을 사양하지 말아 다오

꽃이 피면 비바람도 많은 것처럼

우리네 인생도 언제나 이별이 기다린다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