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수학
야무챠 지음, 김은진 옮김 / Gbrain(지브레인)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철학수학을 읽기전에는 수학책이 재미있으면 얼마나 재미있을까 또 딱딱한 수학 이야기만 잔뜩 늘어놓는건 아닌지 걱정스러웠다. 이런 첫장을 읽기 시작하면서부터 책의 수학이야기에 푸욱 빠져 버렸다. 너무 재미있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대한 수학자들의 노력들을 듣다보니 책한권을 훌쩍 읽어 버렸다. 뭐 그렇다고 내가 수학이란 학문에 흥미가 생겼다거나 수학을 하고 싶다거나 수학 그래 잘할수 있어라는 말은 저얼대 아니다. 책속의 페르마의 정리는 너무 어렵다 저자인 아무챠가 많이 풀어 놓았는데도 솔찍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 또다시 나의 부족한 수학실력을 절감할 뿐이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n≥3일 때, xⁿ+yⁿ=zⁿ을 만족하는 자연수 x, y, z는 존재하지 않는다.]




페르마는 수학자는 아니였다. 아마추어로 재판소에 근무하는 지방공무원이었다. 그는 워낙 수학을 좋아해다고 한다. 취미가 수학이었다고 한다. 그는 자신이 증명한 것들을 기록으로 남기지 않았다고한다. 다만 그때그때 생각나는 곳에 낙서같이 기록했고 영국의 유명한 수학자들에게 자신이 증명한 문제를 던져줬다고 한다. 수학자들은 자존심이 상하지만 그가 던져눈 문제들을 풀지 못해 포기할즈음 페르마는 단서 하나를 선심쓰듯이 던져주곤 했다고한다. 그러고 보면 페르마는 수학의 천재였다. 그런 그가 단지 여가시간을 때우는 것으로 수학을 했다고하니 참 불공평한 것 같다. 누구는 평생을 수학에 받치는데 말이다. 페르마의 사후에 그의 아들이 낙서들을 모아 책을 출간했는데 수만은 수학자들이 그의 문제를 풀지 못했닥 한다. 특히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풀리기 까지는 삼백년이라는 세월이 걸렸다고 한다.




이책은 그 페르만의 마지막 정리에 도전한 수만은 수학자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책에 나오는 수많은 수학자들은 페르마의 마지막정리 하나를 풀기위해 평생을 바치다 시피하는데도 그걸 풀지 못했다. 그들은 나름 수학의 천재들이였다 그런데도 쉽게 풀리지 않는 다는게 수학의 문외한인 나에게 정말 신기할 따름이다. 그토록 유명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에따른 수많은 일화들은 책을 읽다보면 그가 위대한 수학자요 천재였다는걸 다시한번 깨닫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