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 Zone
차동엽 지음 / 여백(여백미디어)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너무 똑똑한 사람이 많아서 문제가 되는세상에 행복하려면 바보가 되라고 말하는 책이 바보Zone이다. 차동엽의 저서 무지개 원리는 읽어보지 못했다. 무지개 원리는 5개국에 번역되어 수출되었단다. 바보 존을 읽어보니 무지개 원리도 챙겨서 꼭 읽어봐야겠다.




왜 바보인가?에서 바보 소리 듣지 않으려고 용 썼다고 말한다. 나또한 그랬다 나아닌 누군가에게 바보라는 단어를 듣지 않기위해 부단히 노력했다. 작가의 말마따난 용을 썼다. 그래도 나는 안다 내가 똑똑한 사람이 아니라는걸 그래서 더 노력한만큼 나는 불행했다. 능력도 안돼는 날 다그치며 산다는건 정말 힘들다 그래서 이글을 읽으면서 행복했다. 그럼 지금부터 바보같이 살아도 되는거지 라는 희망이 생기네요




바보존의 의미는 평범함이 아니 특별함에 주목한 것 같다. 바보라는 말의 의미를 독특함이라고 생각한다. 의미를 뒤집어라 그들은 바보가 아니다. 다만 평범하지 않을 뿐이다.




바보 소리를 들으면 성공한 거야 인생철학이 담겨있다고 말한다. 나는 바보Zone을 읽으며 계속 생각한다. 바보 소리를 들어도 아무렇지 않는 사람은 그만큼 자신의 능력에 자신있기 때문이라고 나는 거렇지 못하다. 그래서 저자가 주장하는 말이 신기하다. 바보기질또한 그렇다 나쁜 습관을 뒤집어라 그속에 블루칩이 있다. 일예로 몰상식하다의 표현을 뒤집으면 상식을 의심하라 쪼다와 쫀쫀하다를 뒤집으면 작은 일을 크게 여기라 미쳤다는 손가락질을 긍정적으로 미쳐라 등의 바보를 뒤집는 단어가 바보철학 12훈으로 탄생했다 그러고보면 이런 나쁜 말들을 긍정적인 말로 나에게 약이되는 말로 받아들이라는 뜻인 듯 싶다.




바보철학은 역발상이 대세가 되는 세상 나같이 평범한 사람도 21세기형 인간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희망을 주는 책이다. 21세기는 고지식한 사람이 아닌 기발한 생각 평범하지 않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한 세상이기 때문이다. 취직때문에 고민하는 우리 젊은 백수들이 차동엽님의 긍정의 바보Zone을 읽고 남에게 보이기위한 삶이아닌 내가 행복할수 있는 일을 찾는 또한 절망에서 희망을 찾을수 있는 영혼이 자유로운 젊은이가 되었으면 하는 기대를 하게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