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는 그대 신을 벗어라
임광명 지음 / 클리어마인드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임광명은 건축학자도 아니오 그렇다고 종교인도 아니다. 다만 종교를 통해 깨달음이나 영성을 바라는 평범한 사람이다. 그래서 이글은 어는 특정 종교를 선전하는 것이 아니었다 다만 임광명의 눈에비친 종교속의 건축물을 바라보는 시각과 마음이 담겨있을 뿐이다.

 

   나는 성당이나 교회건물에 거부감을 같은 사람중 하나다. 내가 어릴때 포교활동을 하는 이들의 맹목적인 포교의 모습은 정신적 안정을 찾기보다는 광신적인 느낌이었다. 길을 가다가도 예수믿으세요 하고 외치는 아주머니의 모습은 나를 더욱더 그들과 격리시키는 부작용만 생길뿐이었다. 불교는 생활속에 자연스럽게 다가왔다. 절을 찾아가면 대웅전을 굳이 보지 않아도 숲속에 자리한 그 자체만으로도  마음의 평안을 얻을수 있었다. 

 

  지금은 아직도 온전이 느끼지는 못하지만 종교와 별개로 건축물 그 자체만으로 눈길을 사로잡는 교회들이 많이 생긴것 같아 부담감이 덜하다. 가장 앞편을 장식한 부산의 구덕교회 종교 건물이라고 믿기지 않을만큼 건축물이 모던한것 같다. 안국선원은 절이란 이래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파괴한 건축물이다. 위에 돔형식은 언듯보면 국회의사당이 연상된다. 제주의 종교 건물은 제주만이 갖는 자연환경과 융화되는 건축물이 단연 돋보인다. 제주 지니어스 로사이의 명상의 공간 바람이 많은 제주에 어울리는 공간들 그리과 푸른 바다와 바다보다 더 푸른른 잔디와 건축의 조화로운 모습은 딱히 믿음이 아니어도 그곳에 있음으로 나를 돌아볼수 있는 그런 공간들의 잘 창출한것 같다. 관광도시라 그곳만의 공간을 발견하기 보다는 관광에 치우치게 되는데 잠시나마 들뜬 마음을 추수릴수 있는 공간의 발견은 새롭게 다가온다.

 

  종교건축물이 갖는 경건함과 숭고함에 더불어 예술적인 아름다움과 그 곳에서 발산되는 사람을 보듬어 않는 아우름에 감동받았다. 그리고 내 주변에 이렇게 역사적으로 뜻깊은 건축물이 존재했고 그곳을 내가 무심하게 지나치고 있었다는 반성을 같이 해보는 좋은 시간을 갖었다. 종교가 우리곁으로 좀더 쉽게 다가올수 잇도록 더 아름단운 건축물이 많이 생겼으면 좋겠다. 다음에는 책이아닌 그곳에서 직접 느끼고 보고싶다. 이번기회가 나에게는 고정관념을 깰수 있는 너무도 좋은 시간들이 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