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살의 흔적 - 죽음과 의혹에 현직 법의학자들의 현장 리포트
국립과학수사연구소의 법의관들.강신몽 지음 / 시공사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흔히 죽은자는 말이 없다고들 한다. 그런데 지금은 그말이 바뀌어서 죽은자는 하고 싶은 말이 많다고 해야 한단다. 그말이 맞은 다는건 타살의 흔적뿐 아니라 지금 우리나라 안방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있는 CSI라는 미드만 봐도 그렇다 죽은 사람은 자신의 억울한 죽음을 자신의 몸으로 말해준다. 다만 살아 있는 사람이 그들의 말을 어느만큼 잘 알아봐 주냐에 그들의 억울함이 풀리느냐 못풀리느냐 기로에 섰다고 할수 있다.
 

  우선 타살의 흔적은 우리나라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법의관으로 계시는 강신몽님이 자신과 동료들과 기타 언론에 나오는 죽음에대한 의견과 뒷이야기들을 알려주고있다. 아쉽게도 우리나라는 검시관들의 활동범위와 그들에게 주어지는 여건이 열악하다. 일선에서 과학수사를 외치짐나 현장에서 특히 검시관과 수사관 사이에 갭이 상당히 있는것 같다. 검시관은 수사권이 없다 다만 죽은자들을 검시하고 최대한 그들의 상황을 알릴뿐이다. 사건의 전말이나 관련된 일들을 알지 못한 검시에따를 오류도 나올수 밖에 없는 것이다.

 

  피한방울 없는 추락사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잘못알고 있는 추락사에대한 이야기가 현대정몽헌회장의 사건을 비추어 설명하고 있다. 12층에서 추락했는데 어떻게 피한방울 없을수 있느냐에 많은 국민들이 타살에대한 의혹을 가졌다.  출혈이라는게 피부가 찢겨져야 나오는건데 그렇지 않음 겉으로 보기는 깨끗한 죽음이 된다. 그렇다고 죽음이 깨끗하냐 그렇지 않다 내장과 뼈는 온전한 곳이 없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내가 가장 많은 은문을 갖고 있던 죽은 앉아서도 목을매 죽을수 있느냐 이건 왜 이렇게 궁금증을 갖게되었냐 하면 김진명의 천년의 금서에 첫장에 김미진교가 책장의 책에 목을매고 자살하는 장면이 나온다 타살의 흔적은 저혀없고 검시관도 자살이라고 하지만 형사는 뭔가 미심적어한다. 어떻게 앉은 자세에 그것도 책에 목을 매고 죽을수 있느냐에 의문을 갖고 타살에 심중을 두고 수사를 하는 장면에서 많은 의문을 갖고 있었다. 그런데 가능하단다. 누워서도 가능하다고 하니 이책을 통해 의문의 많은 부분이 해소 되었다.

 

  타살의 흔적속에는 우리 주변 그리고 이슈와 되었던 사건 대구지하철사고때 사라진 시체들에대한 이야기 같은 많은 의문들에대한 궁금증을 해솔수있다. 죽음은 두렵지만 그렇다고 외면할수 없다면 맏닥트리는것도 두려움을 이기는 방법이 될수 있기때문에 나같은 일반 사람이 읽기에도 무리가 없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