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태 망태 부리붕태 - 전성태가 주운 이야기
전성태 지음 / 좋은생각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에는 전성태의 이야기게 즐거웠다 글을 읽으면 읽을수록 옛날 어릴때 동심으로 돌아가는 것 같았다. 그가 어릴쩍에 있었던 일들은 나또한 한번쯤은 해봤던 일들이다 그래서 더욱 정겹고 푸근하다. 전라도 구수한 사투리를 읽다보면 나도 모르게 웃음이 절로난다. 성태 망태 부리붕태란 별병에대한 이야기 성태가 사는 마을 아이들은 이 별명을 서로 받고싶어한다. 아마도 내가 그 동네에 살았으면 그 할아버지에게 나도 지어 달라고 싶다 별명같지 않는 음률이 느껴지는 멋들어진 별명 부리붕태란 말이 더욱 그렇다.
이야기는 총 4부로 나뉘어 있다. 세상의 큰형들, 아이들의 집, 풍경의 안팍, 마음 얻으러 가는길 첫번째 이야기는 주로 어린시절에 있었던 이야기며 뒤로 갈수록 그의 현재의 모습을 엿볼수 있다. 어머니가 잡아준 새의 사연은 나의 부모님도 가을이 되면 산으로 낙엽을 긁으러 다녔던 기억이 떠오던중 새를 주면 자지 물어갈 새라는 말에 푸하하 웃음이 뻥 터져 버렸다. 아정말 오랜만에 들어본 그말 자지 어릴때 남자에들 놀릴때 많이 하던 그말 성태는 왜 새가 순해졌다고 바지춤을 끌렀을까 새는 정말로 성태의 자지를 꽉 물어 부렀다. 울먹이는 성태를 등짝을 맵게 때리던 엄마는 워매, 썩을 놈! 뭔 지랄한다고 고걸 새한테 내보이냐는 말 지금은 사투리를 많이 쓰지 않는다. 그래서 더욱 정겹다. 정말 우리 엄마도 딱 이렇게 나한테 하셨다. 요즘은 표준말을 쓰려고 하다보니 이런 사투리를 책속에서 만나면 너무나도 반갑다. 가끔 방송에서 나오는 사투리는 인위적인 냄새가 많이나 아쉽기 때문일 것이다.
저자 성태는 얼추 나와 비슷한 연배인것 같다. 그가 말하는 것들이 어쩜그렇게 내가 겪은 것들로 가득차 있는지 정겹다못해 나의 이야기를 보는것 같은 착각이 드니 말이다. 어릴적 사연은 물로 어머니를 돌보는 형에대한 아픈 어머니에 대한 가족들의 마음은 나또한 가지는 마음이기 때문이다. 과거와 현재를 책한권으로 시간여행을 하고 돌아온 느낌이다. 예전에 어른들이 말하던 나 어릴때를 벌써 내가 하게되다니 세월의 무상함을 오늘또 느끼게된다. 그가 어른이되어 돌아온 고향에서 느끼는 그런 감정들 예전의 그모습이 아닌 것은 자신이 변해버린건 아닌지 오히려 간혹 고향을 떠났다 오는 친구들이 이곳은 예전이나 하나도 변함이 없는 것 같다고 할때는 왠지 미안한 마음이 들곤했는데 이것이 남은자와 떠난자의 차이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