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익문사 1 - 대한제국 첩보기관
강동수 지음 / 실천문학사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대한제국 고종황제가 세계열강 특히 일본과 청 그리고 러시아의 호시탐탐 우리나라를 넘보는 시기에 자신의 안전을 생각하고  비밀첩보기관으로 제국익문사를 만들었단다. 그 제국익문사에 있었던 이인경이란 인물을 중심으로 혼란했던 대한제국의 실태를 소설로 쓴 작품이다. 그런데 우리는 아니 나는 제국익문사란 기관의 존재조차 알지 못했다. 이렇게 역사속에 뭍혀버릴 이야기를 발견한것은 우연한 기회였다 중국 연변의 대학의 문서보관소에 폐기문서에서 발견된 비망록알게되고 역사적인 근건자료 부족으로 방치되었다가 비망록을 분실되고 비망록의 내용을 적어둔 참고자료를 소설로 엮었다고 서문에 써있다. 이로인해 글의 신빙성이 떨어지게되고 말았다. 소중한 자료를 허술하게 보관함으로 역사적인 기록이 사라져 버린 사실은 너무도 안타깝다.

 

이야기는 여순 관동도독부 산하 특무헌병사령부 정보국에 테러리스트가 도착한다. 이토히로부미가 안중근의 저격으로 사망 자국의 이미지에 손상을 받은 일본은 또한번  차기 총리 후보가 호텔 마당에서 조선 자객에게 저격을 당한것이다. 저격수는 이인경으로 그는 자신의 자백을 문서로 작성해 줄것을 요구하면서 과거의 회상으로 넘어간다. 이인경의 아버지는 명성황후 시해사건의 인물로 역적의 자식으로 아버지와 친분이 있던 장동화의 보살핌으로 제국익문사첩보요원이 될수 있었다. “범궐해 국모를 시해한 자의 자식”이란 낙인으로 그의 영혼은 깊은 상처를 받았지만 장동익의 도움으로 첩보원으로 활동할수 있었다. 제물포 살인사건을 수사하던 이인경은 시신에서 수표를 발견하고 추적하던중 명성황후가 시해되던날 사라진 어음의 일부중에서 발행된 수표라는걸 알게되고 이 수표가 일본과 연관되고 또다른 음모가 진행중이란 사실을 포착하게된다. 이인경은 일본으로 그들의 음모를 저지하기위해 떠나게되고 대한제국을 구하기위해 고군분투 하게된다.

 

구한말의 격동기에 벌어진 많은 사건들과 경술국치로 상처받은 우리국민들은 해방을 우리손으로 이루지 못해 과거를 청산하지 못하고 당장 먹고 살기위해 과거청산을 돌아볼 겨를이 없었다 그로인해 매국노를 처단하지 못했고 그들의 자손은들은 조상들의 조를 뉘우칠줄 모르고 오히려 조상의 땅을 돌려달라는 소송을 하는 작태를 보인다. 조국의 해방을 기뻐하기보다 과거청산을 제대로 했다면 오늘날에 독립투사의 자손들의 억울함은 없었을 것이다. 아직도 많은 자료들의 어딘가에 잠들어 있을것이다. 후세인 우리들이 할일이 바로 이러한 일들이 아닐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