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함수, 통계, 기하에 관한 최소한의 수학지식 ㅣ 처음 시작하는 교양 수학
EBS MATH 제작팀 지음, 염지현 글, 최수일 감수 / 가나출판사 / 2017년 1월
평점 :

사랑하는 딸과
아들에게 보내는 독서편지
0.
오늘 이야기할 책은 <함수, 통계, 기하에
관한 최소한의 수학지식>이라는 긴 제목의 책이란다. 책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수학에 관한 책이란다. 책 제목부터 머리 아프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겠지만, 이 책에는 수학에 관한 재미있는 상식들도 많이 들어 있어 재미있었단다. EBS에서
출간된 교양 서적들은 대부분 읽기 편한데, 이 책도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었어 좋았어.
이 책은 사실 Jiny가 학교에서 이 책을 읽고 퀴즈 대회를 한다고 하길래, 궁금해서
아빠도 읽어 본 것이란다. 그리고 아빠도 이 책을 읽으면서 퀴즈를 한 번 뽑아볼까? 하면서 예상 문제를 뽑아봤단다. 아빠의 게으름으로 인해 뒷부분은
일부 문제를 뽑지 않았는데, 오늘 독서 편지는 이 책을 읽고 뽑은 문제로 대신하련다.
1.
<문제들>
1)
x, y축 좌표를 처음으로 고안하여
사용한 사람은?
2) 그는 x, y축
좌표는 어떤 동물을 보고 힌트를 얻었나?
3) 그는 x, y축
좌표는 어떤 책에 처음 실었나?
4) 목성의 위성 4개를
발견한 사람은?
5) 사람이나 동물의 몸에 센서를 달아 그 움직임 정보를 컴퓨터로
인식해 영상으로 재현하는 기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6) 많은 초소형 카메라로 배우의 표정과 감정까지 가상 캐릭터의
표정과 감정으로 바꾸는 기술은 무엇인가?
7)
MRI로 뇌 구조를 알아내는 것은
무엇인가?
8) 범죄지도를 만들어 범죄 발생 장소를 지도에 표시하여 범죄가
많은 곳에 가로등 추가 설치, 순찰차 자주 돌아서 범죄 발생을 줄인 도시는?
9) 범죄지도에 이용한 기술은 무엇인가?
10) 일종의 냄새 분자로 개미의 의사 소통 수단은 무엇인가?
11) 고대 바빌로니아 사람들의 새해의 시작은 언제인가?
12) 조선 태조 4년(1395) 달의 주기를 기준으로 다양한 정보를 담은 별자리 지도는?
13) 저녁에는 쌍둥이자리, 새벽에는
전갈자리가 별이 뜬다는 뜻의 말은 무엇인가?
14) 최초로 함수를 수학적으로 정의한 사람은?(함수를 function으로 최초로 부름)
15)
y=f(x) 라는 식을 정리한 사람은
누구인가?
16) 오일러가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를 한번에 모두 건널 수 없다고
증명할 때 이용한 개념은?
17)
2011년에 갔다가 2012년에 돌아온 화성탐사로봇 이름은?
18) 소리의 속도는?
19) 번개가 치고 천둥 소리가
4초 뒤에 들렸다면 번개가 친 곳의 거리는?
20) 농구 선수가 공이 그런 포물선은 어떤 그래프?
21) 포물선(이차함수
그래프)의 모양에 따라 최댓값과 최소값을 갖는데, 그 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22) 전파를 탐지하는 안테나는 무엇인가?
23) 표면이 포물선 모양인 오목렌즈를 이용해 거대한 거울을 만들어
무기로 이용한 사람?
24) 톱니가 5개, 높낮이가 5단계로 조절된 열쇠의 경우의 수는?
25) 확률의 기초가 된 주사위 게임의 법칙을 발견한 16세기 이탈리아 수학자는?
26) 조합(서로 다른 n개에서 순서를 생각하지 않고 r개를 택하는 것)이라는 개념을 공식으로 정리한 사람은?
27) 던지는 횟수가 무척 커지면 앞면이 나올 확률이 수학적 확률에
가까워진다는 법칙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28) 근대 확률론의 창시자는 누구인가?
29) 원래는 실패할 경우를 미리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뜻으로 쓰였으나, 훗날 사람들은 일이 잘 풀리지 않고 계속 꼬이는 일이 생길 때 쓰는 말(법칙)은?
30) 자신만의 이익만을 생각하다 결국 자신도 상대방도 좋지 않은
결과를 얻는 상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31) 크림전쟁에 참여해서 병원의 위생 상태가 나빠서 생긴 질병이
전염병으로 퍼져 죽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깨닫게 사망한 군인들의 사망 원인을 통계로 분류하여 전염병으로 죽은 군인의 수를 크게 줄이는데 기여한
사람?
32) 인구조사가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중국 한나라의 책은?
33)
17세기 전염병과 사망의 관계를 최초로
통계로 분석한 사람은?
34) 통계에서 줄줄이 나열된 자료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35) 흩어져 있는 변량을 일정한 구간으로 나눠서 정리한 표?
36) 비교하려는 자료의 합계가 서로 다를 때 계급의 도수의 총합을
나누어 구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37) 상대도수분포표의 합계는 얼마인가?
38) 자료 중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을 대표값으로 하는 것은?
39) 각각의 흩어진 정보를 하나의 숫자로 나타낸 것은 무엇인가?
40) 어떤 문제를 알 수 있는 기초적인 지식과 논리적 추론만으로
대략적인 근사치를 추정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41)
6명을 거치면 세상 모든 사람과 연결된다는
법칙은?
41) 기하학의 시작은 고대 어느 나라부터인가?
42) 기하학의 영어 단어
'geometry'는 그리스어로 무슨 뜻?
2.
<정답들>
1)
x, y축 좌표를 처음으로 고안하여
사용한 사람은? (데카르트)
2) 그는 x, y축
좌표는 어떤 동물을 보고 힌트를 얻었나? (파리)
3) 그는 x, y축
좌표는 어떤 책에 처음 실었나? (기하학)
4) 목성의 위성 4개를
발견한 사람은? (갈릴레이)
5) 사람이나 동물의 몸에 센서를 달아 그 움직임 정보를 컴퓨터로
인식해 영상으로 재현하는 기술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모션 캡쳐)
6) 많은 초소형 카메라로 배우의 표정과 감정까지 가상 캐릭터의
표정과 감정으로 바꾸는 기술은 무엇인가? (이모션 캡쳐)
7)
MRI로 뇌 구조를 알아내는 것은
무엇인가? (뇌지도)
8) 범죄지도를 만들어 범죄 발생 장소를 지도에 표시하여 범죄가
많은 곳에 가로등 추가 설치, 순찰차 자주 돌아서 범죄 발생을 줄인 도시는? 뉴욕
9) 범죄지도에 이용한 기술은 무엇인가? (GIS(지리 정보 시스템))
10) 일종의 냄새 분자로 개미의 의사 소통 수단은 무엇인가? (페르몬)
11) 고대 바빌로니아 사람들의 새해의 시작은 언제인가?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날)
12) 조선 태조 4년(1395) 달의 주기를 기준으로 다양한 정보를 담은 별자리 지도는? (천상열차분야지도)
13) 저녁에는 쌍둥이자리, 새벽에는
전갈자리가 별이 뜬다는 뜻의 말은 무엇인가? (혼정효미중)
14) 최초로 함수를 수학적으로 정의한 사람은?(함수를 function으로 최초로 부름) (라이프니츠)
15)
y=f(x) 라는 식을 정리한 사람은
누구인가? (오일러)
16) 오일러가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를 한번에 모두 건널 수 없다고
증명할 때 이용한 개념은? (한붓그리기)
17)
2011년에 갔다가 2012년에 돌아온 화성탐사로봇 이름은? (쿠리오시티)
18) 소리의 속도는? (340m/s)
19) 번개가 치고 천둥 소리가
4초 뒤에 들렸다면 번개가 친 곳의 거리는? (1360m)
20) 농구 선수가 공이 그런 포물선은 어떤 그래프? (이차함수 그래프)
21) 포물선(이차함수
그래프)의 모양에 따라 최댓값과 최소값을 갖는데, 그 점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이차함수 그래프의 꼭짓점)
22) 전파를 탐지하는 안테나는 무엇인가? (포물선 안테나 또는 파라볼라 안테나)
23) 표면이 포물선 모양인 오목렌즈를 이용해 거대한 거울을 만들어
무기로 이용한 사람? (아르키메데스)
24) 톱니가 5개, 높낮이가 5단계로 조절된 열쇠의 경우의 수는? (5x5x5x5x5=3125개)
25) 확률의 기초가 된 주사위 게임의 법칙을 발견한 16세기 이탈리아 수학자는? (지롤라모 카르다노)
26) 조합(서로 다른 n개에서 순서를 생각하지 않고 r개를 택하는 것)이라는 개념을 공식으로 정리한 사람은? (자코브 베르누이)
27) 던지는 횟수가 무척 커지면 앞면이 나올 확률이 수학적 확률에
가까워진다는 법칙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베르누이의 큰 수의 법칙)
28) 근대 확률론의 창시자는 누구인가? (피에르 라플라스)
29) 원래는 실패할 경우를 미리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뜻으로 쓰였으나, 훗날 사람들은 일이 잘 풀리지 않고 계속 꼬이는 일이 생길 때 쓰는 말(법칙)은? (머피의 법칙)
30) 자신만의 이익만을 생각하다 결국 자신도 상대방도 좋지 않은
결과를 얻는 상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죄수의 딜레마)
31) 크림전쟁에 참여해서 병원의 위생 상태가 나빠서 생긴 질병이
전염병으로 퍼져 죽는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깨닫게 사망한 군인들의 사망 원인을 통계로 분류하여 전염병으로 죽은 군인의 수를 크게 줄이는데 기여한
사람? (나이팅게일)
32) 인구조사가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중국 한나라의 책은? (한서지리지)
33)
17세기 전염병과 사망의 관계를 최초로
통계로 분석한 사람은? (존 그랜트)
34) 통계에서 줄줄이 나열된 자료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변량)
35) 흩어져 있는 변량을 일정한 구간으로 나눠서 정리한 표? (도수분포도)
36) 비교하려는 자료의 합계가 서로 다를 때 계급의 도수의 총합을
나누어 구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상대도수)
37) 상대도수분포표의 합계는 얼마인가? (1)
38) 자료 중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을 대표값으로 하는 것은? (최빈값)
39) 각각의 흩어진 정보를 하나의 숫자로 나타낸 것은 무엇인가? (표준편차)
40) 어떤 문제를 알 수 있는 기초적인 지식과 논리적 추론만으로
대략적인 근사치를 추정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페르미 추정)
41)
6명을 거치면 세상 모든 사람과 연결된다는
법칙은? (케빈 베이컨의 6단계 법칙)
41) 기하학의 시작은 고대 어느 나라부터인가? (이집트)
42) 기하학의 영어 단어
'geometry'는 그리스어로 무슨 뜻? (땅을 재는 것)
PS,
책의 첫 문장: 내비게이션은 정말 신기하고 편리한 도구예요.
책의 끝 문장: 완벽하지 않을 수 있음을 알게 된 덕분에 새로운 이론이
탄생한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