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쪽)

언제부터 한국인은 정의와 진리를 수호하는 데 비겁하고 옹졸한 인간들로 되어버렸을까.

나는 자책감을 느꼈다.

"한국의 노동운동은 아래의 근로자들로부터 위로 솟구쳐 올라가는 

노동운동이 아니라,

편의에 의해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고 있는 듯한 노동운동이 되고 있어요.

이래서는 되지 않습니다. 

근로자들이 밑에서부터 자기 권익을 수호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서야 하며,

그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면 학생들이 근로자들의 권익을 옹호하는 운동을 일으켜야 합니다.

하여튼 전태일 씨의 분신자살은 획기적인 살신성인의 의거입니다."




(163쪽)

이 글은 평범한 사람들이 바라는 조그마한 행복이 무엇보다도 소중하다는 믿음에서 출발한다.

인간은 누구를 막론하고 자신의 행복한 삶을 추구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

또한 그러한 삶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제약이 부당하게 가해져서도 안 되며,

그것을 파괴하는 어떤 행위도 정당화 될 수 없다.

그러나 오늘날 고도로 분화된 산업사회 속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러한 과심을 자기 자신의 문제,

즉 개인의 문제로만 수렴시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울타리를 정해 놓고 그 속에서 안주하며 

이웃들에게 눈 돌릴 겨일도 없이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이와 같은 굴레의 연속에서 우리는 우리의 이웃이 누구이며,

그들이 무엇을 생각하고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소홀하기 쉽다.

현대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들은 전달매체의 다양한 분화와 발달로 인해 

다른 사람들의 삶의 모습과 생각들을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현 매체로부터 소외된 사람들의 생각은 접하기가 쉽지 않다.

혹 그것들이 표현된다 하더라도 보이지 않는 제약이나 전달자들의 의도에 가려

참모습이 드러나지 못하는 경우 또한 없지 않다.

개개인의 삶의 과정들이 한데 모여 드러나는 총체적 현상을 우리는 문화라고 이름 짓는다.

나날의 삶이 시간 속에 무르녹아 역사의 부분을 이루는 이 문화엔,

그 가운데 사실의 기록으로 드러나 있는 부분과 드러나 있지 않는 부분이 공존한다.

실제로 드러나 있지 않은 부분 속에 더 많은 삶의 애환들이 담겨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153쪽)

우리는 작가입니다.

우리는 각자의 말을 합니다.

우리는 각자의 글을 씁니다.

우리는 각자의 나라를 가졌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겐 공통점이 있습니다.

우리가 쓰는 글의 바탕에 언제나 인간이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념이 아니라 사람의 편에 섭니다.


우리는 모였습니다.

참혹한 오늘을 불러온 것도 우리이지만

참다운 내일을 만드는 이도 우리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정권의 야만에 분노합니다.

사람의 설 자리가 사라진 현실에 분노합니다.

우리는 보고 싶습니다.

이견을 두려워하지 않고 국민과 소통할 줄 아는 정치가의 얼굴을.

우리는 듣고 싶습니다.

아첨과 왜곡의 목소리가 아니라 공정하고 진실된 언론의 발언을.

우리는 느끼고 싶습니다.

이 땅의 주인은 국민이며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확신과 자부를.

우리는 되찾고 싶습니다.

본래 우리 것인 광장과 집과 대지, 스스로 흘러 생명일 수 있는 강물을.

우리는 꿈꾸고 싶습니다.

그 어떤 권력에 의해서도 사람이 죽어나가지 않는 사회,

양심과 이성이 죄가 되지 않는 세상,

자유와 평등은 원래 사람의 것이라 믿고 자라날 수 있는 아이들의 미래를.


우리는 입을 엽니다.

이것은 사람의 말입니다.


- 2009년 6월 9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16-03-19 15: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공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