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공포는 없으신가요?”
“자신은 없네.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라는 사람은 최초로 죽음학을 했고 죽음에 대한 강의를 그렇게 많이 했는데도, 정작 자기가
암에 걸리고는 감당을 못 했어. 그것을 본 한 기자가 물었지.
‘당신은 임종하는 사람을 지켜보며 그렇게 많은 희망을
줬는데 왜 정작 당신의 죽음 앞에서 화를 내고
있느냐?’
로스가 이렇게 답했다네.
‘지금까지 내가 말한 것은 타인의 죽음이었어. 동물원 철창 속에 있는 호랑이였지. 지금은 아니야. 철창을 나온 호랑이가 나한테 덤벼들어. 바깥에 있던 죽음이 내 살갗을
뚫고 오지. 전혀 다른 거야.’
전두엽으로 생각하는 죽음과 척추 신경으로 감각하는 죽음은 이토록 거리가 멀다네.”
(44-45)
“인터뷰가 뭔가?
Inter. 사이에서 보는 거야. 우리말로 대담이라고도 번역하는데, 대담은 대립이라는 뜻이야. 대결하는 거지. 그런데 말 그대로 서로 과시하고 떠보고 찌르면 거기서 무슨 진실한 말이 나오겠나. 위장술밖에 더 나오겠어? 군인들이 전투할 때 왜 위장복을 입겠어? 살기 위해서 감추고 색을 바꾸는 거지. 인터뷰는 그래선 안 되네. 인터뷰는 대담(對談)이 아니라 상담(相談)이야. 대립이 아니라 상생이지. 정확한
맥을 잡아 우물이 샘솟게 하는 거지. 그게 나 혼자 할 수 없는
inter의 신비라네. 자네가 나의 마지막 시간과 공간으로 들어왔으니, 이어령과 김수지의 틈새에서 자네의 눈으로 보며 독창적으로 쓰게나.”
(55-56)
“내가 그 사람에게 물었지.
‘자네가 가장 잘 아는 게 뭔가?’
‘꿀벌입니다.’
‘그래? 그렇다면
꿀벌을 잘 봐. 꿀벌처럼만 하면 좋은 문학이 돼.’
영국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이 그랬지. 인간은 세
가지 부류가 있다네. 개미처럼 땅만 보고 달리는 부류. 거미처럼
시스템을 만들어놓고 사는 부류. 개미 부류는 땅만 보고 가면서 눈앞의 먹이를 주워먹는 현실적인 사람들이야. 거미 부류는 허공에 거미줄을 치고 재수 없는 놈이 걸려들기를 기다리지. 뜬구름
잡고 추상적인 이야기를 하는 학자들이 대표적이야.
마지막이 꿀벌이네. 개미는 있는 것 먹고, 거미는 얻어걸린 것만 먹지만, 꿀벌은 화분으로 꽃가루를 옮기고 스스로의
힘으로 꿀을 만들어. 개미와 거미는 있는 걸 gathering 하지만, 벌은 화분을 transfer하는 거야. 그게 창조야.
여기저기 비정형으로 날아다니며 매일매일 꿀을 따는 벌! 꿀벌에
문학의 메타포가 있어. 작가는 벌처럼 현실의 먹이를 찾아다니는 사람이야. 밥 뻗는 순간 그게 꽃가루인 줄 아는 게 꿀벌이고 곧 작가라네.”
(74-75)
“차이는 있어. 남자들만
느낄 수 있는 고독의 신호가 있다네. 파이브 어 클락 새도(five
o’clock shadow)라고 들어봤나? 샐러리맨들이 오후 다섯시가 되면, 깨끗했던 턱 밑이 파래져. 퇴근 무렵, 면도 자국에서 수염이 자라 그림자가 생기네. 그게 오후 다섯시의
그림자야. 매일 쳇바퀴 돌 듯 회사에 나와 하루를 보낸다. 문득
정식 차리면 오후 다섯시. 수염 자국 그림자가 얼굴에 드리워지면 우수가 차오른다네. 오늘 뭘 했지? 내일도 또 이렇겠지. 다시 전철을 타고, 술집에 가고,
이윽고 집에 돌아가 아내를 만나고….. 그게 샐러리맨의 고독이지.”
“오후 다섯시. 남자의
얼굴에 수염 그림자가 생길 때, 여자는 립스틱 자국이 지워진답니다.”
(125-126)
“그렇게 하지 않으면 그건 “떼’로 사는 거라네. 떼
지어 몰려다니는 거지. 그게 어떻게 인간인가? 그냥 무리
지어 사는 거지. 인간이면 언어를 가졌고, 이름을 가졌고, 지문을 가졌어. 그게 바로
only one이야. 무리 중의 ‘그놈이 그놈’이 아니라 유일한 한 놈이라는 거지. 그렇게 내가 유일한 존재가 되었을
때 비로소 남을 사랑하고 끌어안고 눈물도 흘릴 줄 아는 거야. 내가 없는데 어떻게 남을 끌어안겠나? 내가 없는데 우리가 있어? 그런데 ‘나 없는 우리?’ 아니 될 말씀이야.
큰일 날 소리지. 그래서 내가 사이를 강조했잖아. 나와
너 사이. 그 사이에 나도 있고 너도 있다는 거지. 자네와
나 사이에 interview가 있는 것처럼.”
(144)
“밤사이 내린 눈은 왜 그렇게 경이로울까요?”
“변화잖아. 하룻밤
사이에 돌연 풍경이 바뀌어버린 거야. 우리가 외국 갔을 때 왜 가슴이 뛰지? 비행기 타고 몇 시간 날아왔더니 다른 세상이 된 거야. 하루하루
똑같던 날들에서, 갑자기 커튼콜 하듯 커튼이 내려왔다 싹 올라가니까 장면이 바뀌어버린 거야. 막이 내렸다 올라가는 건 일생 중에 그렇게 많지 않거든. 외국 여행을
한다든지, 수술했다 마취에서 깨어난다든지…… 그런데 일상에서
유일하게 겪을 수 있는 게 간밤에 내린 눈이라네. 잠자는 사이 세상이 바뀐 거지. 보통 쿠데타가 밤에 일어나잖아. 자고 일어났는데 탱크가 한강은 넘어
세상이 싹 달라진 거야. 밤에 내린 첫눈이 그래. 쿠데타야. 오래 권력을 누리지 않고 바로 사라지는 쿠데타. 오래 있어 봐. 눈 녹으면 지옥이지. 곧 사라지니까 그만큼 좋은 거야. 아름다운 쿠데타.”
(168)
“길 잃은 양은 자기 자신을 보았고 구름을 보았고
지평선을 보았네. 목자의 엉덩이만 쫓아다닌 게 아니라, 멀리
떨어져 목자를 바라본 거지. 그러다 길을 잃어버린 거야. 남의
뒤통수만 쫓아다니면서 길 잃지 않은 사람과 혼자 길을 찾다 헤매본 사람 중 누가 진짜 자기 인생을 살았다고 할 수 있겠나. 길 잃은 양은 그런 존재라네. 그런 의미에서 나한테는 종교조차 문학이었다네. 신학에서 ‘ㄴ’자를 빼면
시학이잖아. 보들레르도 니체도 나는 성경을 읽는 마음으로 읽었지.”
(171)
천재가 있으면 특별 교육시켜야 해요. 특권이 아니에요. 오히려 불쌍한 애들이지. 하나님이 인간들 만들어 세상에 내보내기
전에, 쓸모를 못 찾은 놈에게 눈곱 하나 떼서 붙여주면 그 아이가 화가가 되고, 귀지 좀 후벼서 넣어주면 그 아이가 음악가가 되는 거예요.
‘너 세상 나가면 쓸모없다 조롱받을 테니, 내 눈곱으로 미술 해먹어라. 너 세상 나가면 이상한 놈이라고 왕따
당할 테니 내 귀지로 음악 해먹어라.’
그게 예술가예요. 예수가들은 그 재능 빼면 세상
못 살아요. 아무것도 못해서 범죄자 돼요. 그러니 자비를
베풀라는 말이에요. 학교 만들어주는 게 자비에요.’
그 얘기 듣고 사람들이 ‘와’ 웃고 잠시 침묵했어. 총리가 ‘그럼, 통과된 걸로 알겠습니다’하고 땅땅땅 때린 거야. 그 순간 한국예술종합학교가 생겨났다네. 한예종 아이들이 세계적인
콩쿠르에서 우승하고 오면 내가 그래.
‘너희들은
five minute kids, 5분 동안 태어난 아이들이야.’
(191)
“나에게 행복은 완벽한 글 하나를 쓰는 거야. 그런데 그게 안 되는 거지. 그러니까 계속 쓰는 것이고. 그런데 알고 보면 이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글은 실패한 글이라네. 지금까지
완성된 성인들 중에 글을 쓴 사람은 없어. 예수님이 글을 썼나? 공자가
글을 썼나? 다 그 제자들이 쓴 거지. 역설적으로 말하면
쓰여진 글은 완성되지 못한 글이야. 성경도 하나님의 계시를 받아 인간이 쓴 글이고 세상의 모든 경전, 문자로 쓰여진 것은 결국 완성되지 못한 그림자의 흔적일 뿐이네. 나
또한 완성할 수 없으니 행복에 닿을 수 없어. 그저 끝없이 쓰는 것이 행복인 동시에 갈증이고 쾌락이고
고통이야. 어찌 보면 고통이 목적이 돼버린 셈이지.”
(225)
“그렇지. 갑작스럽게. 물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해. 영적 판, 인화지가 있어야 셔터를 눌렀을 때 빛이 담기지. 종이 넣고 아무리
셔터 눌러봐야 거기에 뭐가 나와. 0.001초의 셔터를 끊어주는 그 짧은 순간에 감광지에 비치는 모습, 그게 영의 세계야. 순식간에 다른 세상을 보는 거지. 그런데 내 딸 민아처럼 하나님을 진실로 믿으면 영성의 세계에 들어가 거기서 머무는데, 나는 미끄러져서 계속 땅에 떨어져. 그래서 영성이 아니라 땅 지(地)자 지성이 되는 거야. 땅의
성이지.”
(245-246)
“제 기억으로는
88올림픽 때 굴렁쇠 소년이 반바지를 입고 굴렁쇠를 굴리며 갈 때, 사이렌이 울렸던 것
같습니다.”
“그 제목이
silence였지. 내가 올림픽에서 수십 억 지구인들에게 들려준 것도 바로 그 침묵의 소리야. 꽹과리 치고 수천 명이 돌아다니던 운동장에 모든 소리가 딱 끊어지고 어린애 하나가 나올 때, 사람들은 듣고 본 거야. 귀가 멍멍한 침묵과 휑뎅그레한 빈 광장을…… 그게 얼마나 강력한 이미지였으면, 그 많은 돈 들여서 한 공연은
하나도 기억이 안 나고 시끄럽던 운동장이 조용해지고 소년이 굴리던 굴렁쇠만 기억들을 하겠나. 그게 어린
시절 미나리꽝에서 돌 던지며 정적에서 나온 이미지라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