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끝의 온실
김초엽 지음 / 자이언트북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하는 딸과 아들에게 보내는 독서편지

 

0.

최근 몇 년 사이에 가장 빠르게 알려진 한국 작가를 한 명 뽑으라고 하면 단연 김초엽 님이 아닐까 싶구나. 데뷔작부터 나오는 책마다 베스트셀러를 기록하며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 받고 있는 작가 김초엽 님의 첫 장편소설 <지구 끝의 온실>을 읽었단다. 아빠는 제2회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을 통해서 처음 김초엽 님을 알게 되었고, 그 책에 실린 단편 소설들을 읽어보았단다. 2회 한국과학문학상 대상을 차지했던 <관내분실>과 가작을 받은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이 제2회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에 실려 있었지. 그리고 2020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에서 만난 <인지 공간>까지 이렇게 총 세 편의 김초엽님의 단편 소설을 읽었단다. 솔직히 이야기하면 아주 확 와 닿지는 않았단다. 사람마다 자신들과 맞는 작가들이 있으니까 말이야. 어쩌면 아빠가 장편 소설보다 단편 소설에 흥미가 좀 적은 이유도 있을 수 있었고

그런 김초엽 님께서 처음으로 장편 소설을 출간했다는 소식을 들었어. 앞서 읽었던 세 편의 작품들이 아빠에게는 크게 감동을 주지 못해서 출간 소식은 들었지만, 쉽게 손은 가지 않았단다. 그런데 먼저 읽은 사람들의 평들이 너무들 좋았단다. 아빠가 귀가 얇아서 그런 것에 잘 흔들리잖니. 소재도 환경에 관한 소설이라고 하더구나. 어떻게 이야기를 끌어갈까 궁금했단다. 그래서 읽었단다. 오호, 김초엽 님의 단편을 읽을 때랑은 느낌이 전혀 달랐어. 장편 소설이 처음에도 불구하고 군더더기가 없는 이야기의 전개, 짜임새 있는 스토리 라인한 마디로 아주 깔끔한 소설이었단다. 앞서 김초엽 님이 소설이 아빠한테 잘 안 맞는다고 했던 말은 취소. 예전에는 우리나라 SF 소설이 좀 취약하다는 생각을 아빠가 갖고 있었는데, 최근에 읽은 우리나라 SF 소설들은 모두 기대를 웃도는 재미를 보여서 이제는 그런 생각을 갖지 않게 되었단다. K-SF라는 말이 나오길


1.              

지금으로부터 약 100여 년 후의 우리나라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단다. 2058년 한 연구소에서 실수로 자가 증식하는 먼지가 만들어졌단다. 그 자가 증식하는 먼지는 더스트라고 불렀어. 그 더스트는 빠른 속도로 온 지구를 휩쓸었고, 그 더스트는 생명체들을 죽이고 위협이 되었어. 그래서 인간들은 더스트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돔을 건설하였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돔시티라고 곳에서 생활하게 되었단다. 사람들도 더스트에 노출되면 생명을 잃었거든. 물론 더스트에 내성을 가진 사람들도 있었어. 사람들은 그들을 내성종이라고 불렀어. 이 더스트을 없애기 많은 과학자들이 노력을 하였고, 디스어셈블러라는 것을 개발하여 더스트를 없앴다고 하는구나. 2064년에 디스어셈블러를 개발했는데, 더스트를 모두 없앤 것은 2070년이었대. 사람들은 그 시절을 더스트 시대라고 불렀단다.

그리고 또 60년이 흐른 시점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단다. 아영은 더스트 생태 연구 센터에서 일했는데, 강원도 해월에 모스바나가 증식했다는 소식을 듣고 조사하러 갔단다. 모스바나는 피부에 닿으면 그 독성으로 피부에 상처를 입게 되어서 악마의 식물이라고도 불렀어. 모스바나는 더스트 시대에 새로 생겨났다가 한창 번식을 한 후에 지금은 거의 사라진 덩굴식물인데 그것이 다시 증식했다고 해서 조사를 간 것이었어. 모스바나가 생각보다 넓은 곳에 증식되었고, 가끔 푸른 빛을 보인다고 했어.

푸른 빛이라는 말에 아영은 어린 시절 이웃에 살던 이희수라는 할머니의 정원이 떠올랐어. 그 때도 어떤 식물에서 푸른 빛이 보였거든. 아영은 푸른 빛을 내는 모스바나에 대한 조사를 했어. 인터넷에서 에티오피아에 살고 있는 어떤 사람이 푸른 빛을 내는 모스바나를 알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줬어. 때마침 에티오피아에서 더스트 시대 재건 60주년 기념 학회가 있었는데, 그때 만나면 되겠다고 생각했단다. 아영은 에티오피아에서 연락을 남긴 나오미를 만나고, 모스바나의 숨겨진 비밀을 듣게 된단다.


2.

더스트 시대. 더스트에 내성을 갖고 있어 죽지 않는 내성종이라 부르는 사람들이 있다고 했잖아. 그런데 그들은 신변에 위협을 받곤 했어. 그들의 피가 더스트에 내성을 갖게 한다는 잘못된 믿음 때문이야. 그래서 그런 내성종들을 쫓는 사냥꾼들도 있었어. 아마라와 나오미는 자매인데 그들도 내성종이었어. 그들은 내성종들이 모여 살고 있는 마을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무작정 그 마을 찾아 떠났단다. 그 마을의 이름은 프림 빌리지라고 했어. 그 마을은 말레이지아의 케퐁 지역에 있었고, 간신히 그 마을 찾은 아마라와 나오미는 그 마을의 일원이 되었단다.

프림 빌리지는 지수라는 사람이 리더였어. 동네 사람들은 지수에게 지수 씨라고 불렀단다. 그는 드론과 기계를 다룰 줄 알았고, 고장 난 것도 잘 고쳤어. 그래서 그것들을 이용해서 외부 침입자들이 오면 공격해서 막아내기도 했단다. 내성종들을 찾아 공격해온 사냥꾼들이었지. 나오미는 하루라는 아이와 마을을 정찰하는 일을 하게 되었어. 그리고 우연히 지수 씨와도 친해졌는데, 지수 씨는 온실을 갖고 있었고, 그 온실은 레이첼이라는 사람이 관리를 했단다.

어느날 더스트 폭풍에 예보 되었어. 그들이 아무리 내성종들이었지만, 더스트 폭풍은 강한 바람과 함께 엄청난 먼지를 몰고 오기 때문에 마을이 폐허가 될 수도 있거든이 더스트 폭풍은 돔시티까지 망가뜨려 돔시티 안의 사람들도 죽일 정도로 강력했어. 그러면 이걸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온실에서 식물만 가꾸던 레이첼은 마을 사람들에게 자신이 직접 개량한 식물을 심으라고 했어. 그 식물은 번식력이 엄청 강해서 그 식물을 심었더니 그 식물은 곧바로 마을 주변에 무성해졌단다. 그 식물이 바로 모스바나였어.. 동네를 감싸 안았던 모스바나 덕에 더스트 폭풍을 이겨낼 수 있었단다. 이 모스바나는 더스트를 제거하는 그런 특징을 가지고 있었거든. 모스바나는 지수 씨와 레이첼이 처음부터 이걸 목적으로 개량한 식물이었던 거야.

모스바나의 효과를 본 프림 빌리지 사람들은 이제 이 식물이 지구를 살릴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했어. 그냥 이곳을 지키자는 사람들도 있어 내분도 있었지만, 그들은 각자 자신의 나라로 돌아가면서 모스바나를 전파하기로 했단다. 그들은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면서 모스바나를 퍼뜨렸고, 번식력 좋은 모스바나는 금방 온 세상을 뒤덮었단다. 그러니까 더스트 시대를 종식시키는데 가장 큰 역할은 한 것은, 앞서 이야기한 디스어셈블러가 아닌 모스바나였던 거란다. 물론 디스어셈블러도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부정할 수 없지만 말이야. 아마라와 나오미도 자신의 모국인 에피오피아를 가는 길마다 모스바나를 퍼뜨리기도 했단다. 그것뿐만 아니라 지수 씨가 더스트에 중독된 사람을 치료하는 분해제를 만들었는데 그것도 같이 가지고 가서 더스트에 중독된 사람들을 치료해 주었어.


3.

이야기를 듣는 아영은 이야기 속 지수가 자신의 어린 시절 이웃에 살고 계시던 이희수 할머니를 것을 깨닫게 된단다. 온실에서 모스바나를 키우고, 기계를 잘 다루고, 이름도 비슷하고 말이야. 그래서 어린 시절 살던 마을을 찾아가서 이희수 할머니의 발자취를 쫓았어. 이희수 할머니는 해월 근처 요양소에서 몇 년 전까지 머무르다가 돌아가셨다고 하더구나. 그 요양원에는 이희수 할머니가 남긴 회고기록이 있다고 했어. 아영은 그 회고기록을 봤어. 거기에는 지수 씨가 레이첼이 했던 일들이 기록되어 있었단다. 그리고 레이첼이 사람이 아닌 사이보그 로봇이라는 사실도 알게 돼. 그래서 아영은 수소문 끝에 레이첼을 만나게 되고, 지수 씨와 추억이 깃들어 있는 회고기록이 담긴 칩을 전해주게 된단다.

…..

아빠가 중간중간 이야기들을 빼먹고 이야기를 해서 다소 앞뒤가 안 맞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겠지만, 이해해주렴. 핑계일 수 있지만, 너무 지나친 스포일러는 그렇잖니…^^ 미세먼지가 극성인 우리나라에 모스바나 같은 식물이 있으면 좋겠구나. Shon은 이 책을 읽기에는 아직 어려울 것 같고, Jiny는 이 책을 읽어볼 수 있을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 그리고 책표지가 너무 예뻐서 딱 너 스타일일 것 같기도 하고 말이야.

김초엽 님의 <지구 끝의 온실> 식물을 주제로 한 SF라서, 읽으면서 천선란 님의 <나인>이라는 SF도 살짝 생각났단다. 그 소설에도 식물이 중요한 역할을 했잖아. 아빠가 천선란 님의 <나인>을 웹툰으로 만들어도 좋을 것 같다고 이야기했는데, 김초엽 님의 <지구 끝의 온실>도 웹툰이나 영화로 만들어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

다음 작품이 무척 기대되는구나.


PS:

책의 첫 문장: 낡은 차가 덜컹거리며 오르막 흙길 앞에 멈춰 섰다.

책의 끝 문장: 그리고 그곳에서 밤이 깊도록 유리벽 사이를 오갔을 어떤 온기 어린 이야기들을.


당신은 재건의 역사를 식물들의 관점에서 재구성해보겠다고 했습니다. 아직도 그 작업이 수행되지 않았다는 점이 놀라울 정도입니다. 인류는 그간 얼마나 인간 중심적인 역사만을 써온 것일까요. 식물 인지 편향은 동물로서의 인간이 가진 오래된 습성입니다. 우리는 동물을 과대평가하고 식물을 과소평가합니다. 동물들의 개별성에 비해 식물들의 집단적 고유성을 폄하합니다. 식물들의 삶에 가득한 경쟁과 분투를 보지 않습니다. 문질러 지운 듯 흐릿한 식물 풍경을 바라볼 뿐입니다. 우리는 피라미드형 생물관에 종속되어 있습니다. 식물과 미생물, 곤충들은 피라미드를 떠받치는 바닥일 뿐이고, 비인간 동물들이 그 위에 있고, 인간은 피라미드의 꼭대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완전히 반대로 알고 있는 셈이지요. 식물들은 동물이 없어도 얼마든지 종의 번영을 추구할 수 있으니까요. 인간은 언제나 지구라는 생태에 잠시 초대된 손님에 불과했습니다. 그마저도 언제든 쫓겨날 수 있는 위태로운 지위였지요. - P364

마음도 감정도 물질적인 것이고, 시간의 물줄기를 맞다보면 그 표면이 점차 깎여나가지만, 그래도 마지막에는 어떤 핵심이 남잖아요. 그렇게 남은 건 정말로 당신이 가졌던 마음이라고요. 시간조차 그 마음을 지우지 못한 거예요. - P379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물선 2022-04-08 01:3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드라마인가 영화인가 나온대!

bookholic 2022-04-08 21:12   좋아요 0 | URL
오호, 그렇군요~~ 기대됩니다~~^^
야옹이와 즐거운 주말 보내시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