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그는 2000년 멕시코에서 열린 ‘국제
지권-생물권 프로그램(IGBP)’ 회의에서 처음 인류세 개념을
제안했다. 당시 회의에서 자꾸 홀로세가 언급되는 것에 굉장히 언짢아하던 파울 크뤼천이 말했다. “우리는 더 이상 홀로세를 살고 있지 않아요.” 놀란 동료들이 그럼
무슨 시대냐고 물어보자 크뤼천은 알맞은 단어를 찾으려 했다. 그리고 잠시 뒤 그의 입에서 ‘Anthropocene’, 즉 ‘인류세’가 튀어나왔다. 인류세가 공식 석상에서 처음 쓰이는 순간이었다.
(30)
인류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공식 지질시대인 홀로세(Holocene)를
우선 알아야 한다. 홀로세는 빙하기 이후 지금까지의 비교적 따뜻한 시기를 말하며, 약 1만 년 가량의 시간에 해당한다. 홀로세는 ‘전부’를 뜻하는
그리스어 ‘Holos’에서 유래했다.
(51)
1. 인류세가 지질학, 층서학적으로
실재하는가?
2. 1950년대를 인류세의 시작점으로 볼 수 있는가?
두 안건 모두 위원 34명 중 29명의
찬성으로 통과됐다. 인류세가 정식 지질시대에 한발 더 가까워졌다는 소식이었다.
인류세실무그룹은 인류세를 정식 지질시대로 인정하자는 내용의 제안서를 2021년까지
국제층서위원회에 전달하기로 결의했다. 이 제안서가 국제층서위원회와 국제지질학연합에서 통과되면 인류세가
공식화된다. 우리의 이름 ‘인류’가 지질연대표에 새겨지는 것이다.
(74)
고생대의 대표적 화석은 삼엽충, 중생대는 암모나이트다. 멀지 않은 미래에 우주의 외계인이 지구에 온다면 지금 시대의 어떤 화석을 발견할까?
현재로서는 ‘닭 뼈’가
유력한 후보다. 동 시간대에 77억 인구가 약 230억 마리의 닭과 함께 살아간다. 사람 한 명당 닭 세 마리꼴이다. 2008년에는 한국에서 조류독감으로 인해 약 1000만 마리의 식용
닭이 살처분돼 매립되기도 했다. 그럼 그 뼈들은 어떻게 될까? 썩거나
화석이 된다. 닭 뼈는 산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보통은 잘 썩지만,
매립지 환경은 산소가 별로 없기 때문에 화석이 될 가능성이 크다.
(116-117)
인간과 가장 가까운 존재는 유인원이다. 유인원은 인간을 제외하면 다섯
종이 있는데, 침팬지, 보노보, 고릴라, 기번(긴팔원숭이라고도
불린다) 그리고 오랑우탄이다.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는 유인원인
오랑우탄은 100년 전 23만여 마리에서 현재는 11만여 마리로 줄였다. 그중 보르네오 오랑우탄은 심각한 멸종위기
종으로 사바주의 키나바탕안강에는 2002년에 1100여 마리가
살다가 지금은 700마리 정도로 줄었다. 팜유 농장이 늘고
벌목 등의 이류로 숲이 황폐화되면서 오랑우탄들은 인간의 압박을 이겨내지 못하고 죽거나, 조각난 숲에서
살아가야만 한다.
(146-147)
인류의 운명을 바꾼 돌, 청동, 철처럼
플라스틱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대량 생산되며 현대 문명을 접수했다.
현 시대는 지질학의 관점으로 보면 인류세, 문명사적으로는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를 이은 플라스틱기(器) 시대다. 심지어 지금
이 글을 쓰며 누르는 자판, 노트북 본체, 마우스, 전원선, 스탠드 조명, 의자
바퀴까지 모두 플라스틱 소재가 포함돼 있다. 현대인이라면 하루 최소 한 번 이상은 플라스틱을 쓰게 되고, 둘러보면 어디에나 하나쯤은 보일 정도로 생활 반경 안에 널려 있다. 플라스틱은
공기 같은 존재가 됐다.
(167)
가장 섬뜩한 점은 미세플라스틱이 어류, 야생동물, 그리고 인체에 머물면서 해당 종에 미치는 유해성이 제대로 밝혀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리처드 톰슨 교수가 미세플라스틱의 존재를 밝혀낸 지 겨우 15년
정도. 플라스틱을 먹으면 건강에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알아내기에는 부족한 시간이다. 따져보면 플라스틱이 발명된 지 대략 150년, 본격적으로 사용된 지는 60~70년 남짓이다. 우리는 플라스틱을 아직 잘 모른다.
(230)
인류세는 생물권, 수권, 암석권, 대기권 등 지구를 구성하는 여러 권역에서 인간의 활동이 한계치를 넘어서고 있음을 의미하는 용어다. 그중 대기오염처럼 도시인들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끼치는 경우는 드물다. 대도시에
살면 생물다양성이 감소해도 잘 모르고, 정수된 물을 사용하며, 여름
휴가 기간에나 산성화된 바다로 놀러 간다. 변하고 있는 지구 현장을 외면하기 쉬운 생활 방식 속에서
어떻게 해도 차단되지 않는 것이 공기다. 지금의 국가 정책과 생활 방식을 포기하지 않는 한 우리가 미세먼지
재앙 앞에서 할 수 있는 것은 기껏해야 마스크를 쓰거나, 창문을 닫고 공기청정기를 틀어놓는 정도다. 금성에 간 우주인도 비슷할 것이다. 선체 안에서만 편하게 숨 쉴
뿐 밖으로 나갈 때는 기능성 헬멧을 착용해야만 한다. 더 나아질 길이 있음에도 우리는 점점 금성 같아지고
있다.
(287)
이 질문은 2020년의 현대 문명을 살아가는 77억 지구촌 사회에도 적용된다. 다이아몬드 교수는 이야기를 이어갔다.
“우리는 의도적으로 기후 변화를 일으키거나 해수면 상승을 초래하는
건 아니에요. 그저 우리는 어떤 일들을 합니다. 그런데 그것들이
우리가 예상하지 못한 결과를 불러와요. 우리는 의도하지 않았어요. 우리가
지구를 더 바꾸고 싶어서 그런 건 아닙니다. 그런데 우리가 강력하고 우리의 행동이 큰 영향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의도치 않은 결과들을 낳는 것이죠. 인간은 오늘날
지구에서 가장 강력한 종이에요. 역사상 존재했던 그 어떤 종보다 강력한 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