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의 딸, 총을 들다 - 대갓집 마님에서 신여성까지, 일제와 맞서 싸운 24인의 여성 독립운동가 이야기
정운현 지음 / 인문서원 / 2016년 3월
평점 :
사랑하는 딸과 아들에게 보내는 독서편지
0.
이번에 읽은 책은 예전부터 관심을 두고
있던 책이란다. <조선의 딸, 총을 들다>. 딸과 총은 그리 썩 잘 어울리는 조합은 아니란다. 하지만
그 어울리지 않는 조합이 만났을 때는 무척 멋있게 보인단다. 영화
<암살>에서도 보면 전지현이 분한 독립운동가가 멋지게 나왔지… 물론 그렇다고 그들이 총을 들고 싶어서 든 것은 아니야. 시대가
그들을 그렇게 만들었단다. 그런 암울한 시대가 고작 100년
전 이 땅에 있었단다.
얼마 전에 너희들에게 일제시대 이야기를
하게 되었는데, 35년 동안 나라 없이 살았다고 하니까 너희들도 놀랐잖아.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은 얼마나 가슴 아팠겠니. 그냥 순응하면서
힘들지만 한 목숨 살아갈 수도 있었지만, 불의를 참지 못하고 나라 잃은 설움을 설움으로 그치지 않고
행동으로 옮긴 이들이 있단다. 그 수가 적지 않아… 그 중에
적은 분들만 위인전이나 교과서에 나와서 우리들이 알고 있단다. 이름도 알려지지 않은 분들은 엄청 많단다. 그런데 유명한 독립운동가 중에 대부분은 남자들이란다. 유명한 독립운동가들
중에 여자들은 거의 없었어. 떠오르는 사람이라고는 유관순 열사뿐이고,
그 이후는 잘 떠오르지 않는단다.
하지만 여자 독립운동가들도 꽤 많단다. 그런 분들 중에 스물 네 분을 이 책에서 소개해 주었단다. 한 책에
스물 네 분을 소개해주다 보니 한 분에 대한 양이 너무 적었단다. 아예 한 사람에 한 책씩 시리즈로
출간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어. 물론 출판사에서는 판매부수도 신경을 써야 하니까 위험한 도전일
수도 있었겠지만 부수를 줄여서라도 기획해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을 했단다.
1.
이 책에서 소개해준 스물 네 분들은
아래와 같았단다.
김락,
이화림, 남자현, 정정화, 동풍신, 김마리아, 박자혜, 박차정, 조마리아, 안경신, 권기옥, 부춘화, 김향화, 강주룡, 윤희순, 이병희, 조신성, 김알렉산드라, 오광심, 김명시, 정칠성, 방순희, 이희경, 주세죽.
몇몇 분들 낯익은 분들도 있었단다. 남자현이라는 분은 영화 <암살>의 주인공의 모델로 했다고 해서 들어봤단다. 그런데 그 분이
독립 운동을 나섰던 것이 예순 살이 넘어서였고, 자신의 의지를 굳게 하기 위해 무명지까지 잘랐다고 하니
정말 대단하신 분이구나.
정정화라는 분은 오래 전에 아빠가 읽은 <장강 일기>의 지은이이기도 해. 임시정부의 자금 조달을 위해 목숨을 걸고 국경을 넘기도 하고, 임시정부의
살림도 도맡아 하신 분인데, <장강 일기>에 정정화의
뜨거운 삶이 고스란히 담겨 있던 기억이 있단다.
박차정이라는 분은 의열단 단장 김원봉의
아내로 유명하지만 그 전에 이미 독립운동을 했던 분이었단다. 국내에서 시위 투쟁을 하다가 감옥에 들어갔다가
석방 후 중국으로 와서 김원봉과 만나게 되었어. 박차정님은 조선의용대로 전투에 참여했다가 총상을 입고
서른 네 살데 죽고 말았단다.
조마리아님은 안중근의 어머니이신데, 안중근이 하얼빈 의거 후 사형 선고를 받았을 때 보내신 편지가 유명하단다. 아들
안중근에게 대의에 따라 죽으라는 편지. 쉽게 할 수 없는 말일 텐데… 그 편지를 쓸 때 심정이 어땠을까...
강주룡이라는 분은 아빠가 작년에 읽은 <체공녀 강주룡>의 주인공이란다. 일제 시대 노동운동을 이끌었고 평양의 을밀대라는 곳에서 일인시위로 노동자들의 권리를 지켜 주셨던 분.
그리고 마지막으로 주세죽이라는 분은… 아빠가 너무 재미있게 본 소설 <세 여자>의 주인공이란다. 비록 소설의 형식을 띠었지만, 그 소설 속의 인물들도 모두 실제 살았던 분들이었어. 부잣집 딸로
편하게 살 수 있었지만, 소신대로 공산주의를 접하고 독립운동을 했던 분. 파란만장한 삶 속에 러시아까지 가게 되었다가 유배되어 비극적인 삶을 마감한 분… 아빠가 <세 여자>라는
소설을 너무 재미있게 봐서 두어 명한테 선물로도 주고, 누군가 책을 추천해 달라고 하면 빼놓지 않은
책 중에 하나란다.
…
나머지 분들 중에 김알렉산드라라는 분은
최근에 그 분에 관한 책이 출간되어 이름은 들어보았단다. 하지만 나머지 분들은 정말이지 이름조차 처음
들어보았단다. 그래서 분들은 이름조차 처음 들어보는 분들이란다. 각각
짧은 소개로 그 훌륭한 분들에 대한 이야기를 읽어보았지만, 그 짧은 소개로 또 금방 잊혀질 것 같구나. 잊지 말아야지 생각을 해봐도 아빠의 기억력으로 어려운 일이야. 이
분들에 대한 분들이 단행본으로 나와 있는지 모르겠지만, 몇몇 분들은 찾아봐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단다. 그래서 지금 검색을 해봤더니, <독립운동가 100인 만화 프로젝트>가 최근에 진행되고 있더구나. 기회 되면 이 프로젝트에 소개된 분들의 책을 읽어봐야겠구나.
PS:
책의 첫 문장 : 근래 들어 여성 독립운동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기 시작했다.
책의 끝 문장 : 박헌영은 아직도 북한에서 복권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