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산사 순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하는 딸과 아들에게 보내는 독서편지

 

0. 

오랜만에 유홍준님의 책을 읽었단다. 아빠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그의 유명한 시리즈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를 통해서 처음 알게 되었고, 그 이후 그가 쓴 책들을 읽곤 했단다. 이번에는 오랜만에 읽었어. 이 책에 아빠가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는 절에 관한 이야기이기 때문이란다.

언젠가부터 절이 좋아졌단다. 절이 주로 한적한 산 속에 있고, 절에 가면 평온함과 고요함을 느낄 수 있어서 그런가아무튼 절이 좋아졌어. 그래서 너희들과 여행을 가게 되면, 주변에 괜찮은 절이 있나 알아보고, 절을 찾게 된단다. 요즘에는 가끔씩 108배도 하곤 하는데, 그러면 몸과 마음에 잠시 안정을 찾는 것 같았어. 예전에 심인보님의 <곱게 늙은 절집>이라는 책도 괜찮게 읽은 적이 있었는데, 유홍준님은 절 여행기를 어떻게 맛깔나게 쓰셨나? 궁금하더구나. 그래서 주문을 해서 읽었단다.

이번에 읽은 유홍준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산사순례>는 작년에 우리나라 산사 일곱 곳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선정된 것을 기념하여 출간한 책이란다. 기존에 출간되었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시리즈에서 절에 관한 부분을 따로 떼어내고 일부 내용들을 수정해서 출간한 것이라고 했어. 이런 것을 사실 아빠가 책을 사기 전에는 몰랐어. 책에 대한 내용이나 차례 같은 안보고 그냥 샀거든대부분 예전에 읽었던 내용들일 텐데, 처음 읽는 것처럼 읽었단다. 아빠의 기억력이 그렇지 뭐아주 간혹, ‘맞다, 이런 내용이 있었지…”하면서  예전에 읽었던 기억이 떠오르는 적도 있긴 했었지만, 대부분은 기억이 안 났어. ㅠㅠ.

그래도 조금은 돈이 아깝다는 생각이 살짝 들었단다. 집에 모셔둔 책들을 뒤져보면 다 있는 내용일 텐데 말이야. 예전의 책들을 짜깁기하고 일부 내용 편집해서 엮은 책이란 걸 진작 알았다면, 책 사는 것을 고민했을 거야. 뭐 이미 산 것, 어쩌겠니. 즐겁게 다시 읽어야겠다며 책을 읽었단다.

아참, 우리나라 산사 일곱 곳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선정되었다고 했잖아. 그 일곱 곳이 절은양산 통도사, 영주 부석사, 안동 봉정사,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순천 선암사, 해남 대흥사. 이렇게 일곱 곳이라고 하는구나. 그렇다고 이 책에 위 일곱 곳이 모두 소개된 것은 아니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선정된 절들만 소개된 것은 아니야. 북한 묘향산 보현사와 금강산 표훈사에 있는 절까지 포함해서 모두 스무 개의 절을 소개하고 있단다.

1.

<나의 문화유산답사기>가 처음으로 나왔던 것이 1993년이었다고 하니, 어느덧 시간이 25년이나 흘렀구나. 그때 답사했던 그곳들이 지금은 어떻게 변했을까. 이 책에서도 이야기했지만, 우리나라 절이나 문화유산은 장소를 정하는 곳도 신중히 하고, 주변 환경과도 잘 어울리게 지은 것이 장점인데, 최근에 증축이다 복원이다 하면서 지은 건물들은 조화와 균형을 깨뜨리고 있어 안타깝다고 했어. 공감 가더구나.

아빠도 어떤 절의 경우는 십여 년 만에 가는 경우도 있어. 그럴 때 예전에 기억하고 있는 모습과 다른 모습을 만나는 경우가 있는데, 그럴 때는 변한 모습이 썩 마음에 드는 경우가 거의 없었어. 왠지 어색하게 변해서 기분을 살짝 상하게 했어. 증축이나 복원을 할 때 어떤 것을 고려하고 할까? 아빠 같은 보통 사람들도 어색함을 느낀다면, 그들도 알고 있을 텐데 말이야. 알고도 다른 이유가 있어서 그냥 지은 것일까? 안타깝더구나. 문화유산을 보존하겠다 마음을 먹었다면, 처음 만들거나 지은 사람들의 마음을 잘 헤아렸으면 좋겠구나.

==============================

(248)

그러나 좋은 자리를 잡았다고 해서 그것이 건축적으로 성공한다는 보장은 없다. 여기에서 건축적으로 더욱 중요한 것은 자연과 인공의 행복한 조화이다. 조용한 산세에는 소박하게, 화려한 산세에는 다채롭게, 호방한 산세에는 기세 좋게 건물을 세운 것이 우리 산사 건축의 미학이다. 전국 각 산사의 건축이 비슷한 것 같지만 자연과의 어울림은 모두가 저마다의 여건에 따라 이런 원칙을 지키고 있다.

==============================

2.

아빠가 여행을 하면서 주변의 절을 간다고 했는데, 이 책에 소개된 절들 중에 많은 절들을 아직 가보질 못했구나. 배흘림기둥의 무량수전으로 유명한 부석사, 차 밭으로도 유명한 순천 선암사 등등 벌써 점 찍어 놓은 절들이 있구나. 아빠가 가 본 절들도 많이 소개가 되었어. 절이 좋다고 하지만, 그 절에 대한 많은 느낌은 없었는데, 유홍준님은 절을 다녀오면서도 참 많이 느끼고, 많이 생각하고 많이 배우시는 것 같구나. 미학 전공이니까 그렇기도 하지만,  문화유산을 대하는 자세가 보통 사람들과 다른 것 같아.

아빠도 여행을 다녀오면 여행기를 써야겠다는 마음을 먹는데, 실천이 참 어렵더구나. 누군가에게 보여주겠다는 것은 아니고 여행을 하는 순간의 아빠의 느낌이 사라지기 전에 글로 남기고 나중에 보면 좋겠다는 생각은 늘 하는데, 바쁘다는 핑계로 그냥 추억의 아주 작은 조각으로만 남겨두게 되는구나. 아빠가 제대로 여행기를 안 쓰면서, 너희들에게 한번 써보라고 권유하는 게 옳지 않다고 알지만, 그래도 여행기는 짧게라도 써보는 게 어떨까 하는 게 아빠의 생각이란다.

,,

이 책을 읽는 내내 이 책에 나오는 절들을 모두 가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 소위 도장깨기라고 했던가. 물론 북한에 있는 절들은 어렵겠지우리나라에 있는 절들이라도 우리 같이 한번 가볼까?

PS:

책의 첫 문장 : 우리나라의 산사(山寺) 7곳이 마침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책의 끝 문장 : 금강의 맥박은 지금도 그렇게 울리고 있는 것이다.


비탈길은 사람의 발길을 느긋하게 잡아놓는다. 제아무리 잰걸음의 성급한 현대인이라도 이 비탈길에 와서는 발목이 잡힌다. 사람은 걸어다닐 때 머릿속이 가장 맑다고 한다. 여러분 생각해봐라. 직장에서 집까지, 학교에서 집까지 가는 한 시간 남짓한 시간에 머릿속에서 무엇을 했나. 돌아오는 길은 어떠했나. 최소 하루 두 시간 자기만의 명상 시간을 갖고 있는 셈인데 대부분은 그 시간을 소비해버리고 있다.
그러나 비탈길은 그런 경박과 멍청함을 용서하지 않는다. 아무리 완만해도 비탈인지라 하체는 긴장하고 있다. 꾹꾹 누르는 발걸음의 무게가 순례자의 마음속에 기여하는 바는 결코 적은 것이 아니다. 그래서 사람의 생각은 걷는 발뒤꿈치에서 시작한다는 말도 있는 것이다. - P28

부석사의 절정인 무량수전은 그 건축의 아름다움보다도 무량수전이 내려다보고 있는 경관이 장관이다. 바로 이 장쾌한 경관이 한눈에 들어오기에 무량수전을 여기에 건립한 것이며, 앞마당 끝에 안양류를 세운 것도 이 경관을 바라보기 위함이다. 안양루에 오르면 발아래는 부석사 당우들이 낮게 내려앉아 마치도 저마다 독경을 하고 있는 듯한 자세인데, 저 멀리 산은 멀어지면서 소백산맥 연봉들이 남쪽으로 치달리는 산세가 일망무제로 펼쳐진다. 이 웅대한 스케일, 소백산맥 전체를 무량수전의 앞마당인 것처럼 끌어안은 것이다. 이것은 현세에서 감지할 수 있는 극락의 장엄인지도 모른다. 9품 계단의 정연한 질서를 관통하여 오른 때문일까. 안양루의 전망은 홀연히 심신 모두가 해방의 기쁨을 느끼게 한다. 지루한 장마 끝의 햇살인들 이처럼 밝고 맑을 수 있겠는가. - P35

수덕사 대웅전 건축은 그 구조와 외형이 아주 단순하다. 화려하고 장식이 많아야 눈이 휘둥그레지는 현대인에게 이 단순성이 보여주는 간결한 것의 아름다움, 꼭 필요한 것 이외에는 아무런 수식이 가해지지 않은 필요미(必要美)는 얼른 다가오지 않는다. 그러나 안정된 정서를 갖고 있는 사람이라면 수덕사 대웅전의 저 간결미와 필요미가 연출한 정숙한 아름다움에 깊은 마음의 감동을 받게 될 것이다. 그것은 마치도 가벼운 밑화장만 한 중년의 미인을 만났을 때 느끼는 감정 같은 것이다. - P179

조선의 소나무는 그래도 죽지 않고 여기 이렇게 사철 푸르게 살아 있지 않은가. 웬만한 소나무는 그 칼부림, 도끼날에 생명을 다했을 거이련만 조선의 소나무는 그 아픔의 상처를 드러내놓고도 아리따운 자태로 늠름히 살아 있지 않은가. 저 푸른 소나무에 박힌 상처는 우리가 극복해낸 역사적 시련의 상처일 뿐이다. 아무리 모진 시련도 우리는 그렇게 꿋꿋이 이겨왔다. - P2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