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번째 원칙은 자주 그리고 정기적으로 지난 성과를 설명하고를 움직일 앞으로의 계획을 세우기 위해 책무를 서로 공유하는 것이다.
원칙 4는 실제로 실행이 일어나는 지점이다. 앞서 말했듯이 원칙 1,
원칙 2, 원칙 3은 경기를 준비하는 데 필요하다. 그러나 원칙 4를 적용하기 전까지는 팀이 경기에 참여한다‘고 말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ou must identify and understand what it is you or your company do or can start doing for your clients that provides them with a result or an advantage superior to the competition‘s. This is called the unique selling proposition (USP). Your unique selling proposition is that distinct, appealing idea that sets your business apart from every other "me too" competito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태도는 워낙에 다양하고 몇 가지가 섞여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카테고리를 나누면 부정적이고 좁은 태도와 긍정적이고 넓은 태도로 구분할 수 있다. 부정적 태도를 가진 사람들은 두려움이 삶에 대한 기본적 자세다. 무의식적으로 이들은 본인이 보고 경험하는 내용을 제한하고 싶어 한다. 자신에게 더 많은 통제권을 주고 싶어서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은 두려움을 훨씬 덜 가진다. 그들은 새로운 기회나 아이디어, 감정에 마음을 연다. 태도가 곧 우리가 세상을 보는 렌즈라면, 부정적 태도는 빛이 들어가는 조리개를 최대한 좁혀버리고 긍정적 태도는 조리개를 최대한 넓혀놓는다. 두 극단 사이를 옮겨 다닐 수도 있겠지만 대개 우리는 좀 더 닫히거나 열린 렌즈로 세상을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태도와 관련해 우리가 반드시 알아야 할 점이 있다. 태도는 우리의 지각에색칠을 할 뿐만 아니라 우리 생에 일어나는 일들을 직접 결정한다는 사실이다. 태도는 우리의 건강,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우리의 성공까지 결정한다. 태도는 자기실현적 특성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꼭 알아야 할 것이 있다. 우리는 누구나 각자의 렌즈를 가지고 세상을 보며, 그 렌즈가 우리의 지각에 색깔을 입히고 모양을 정한다. 이 렌즈를 ‘태도‘라고부르기로 하자. 스위스의 위대한 심리학자 칼 융은 태도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태도란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 또는 반응하려는 정신의 준비 상태다.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뭔가 확고한 것에 대해 준비되어 있다는 뜻이다. 비록 그것이 무의식적이라고 하더라도 말이다. 따라서 태도를 가지고 있다는것은 확고한 것에 대한 선험적 지향성과 같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