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의 자질은 삶 속에 숨어 있다.

내가 인터뷰한 리더들은 자신의 삶을 이해하면서 진정한 삶의 지표발견했다. 그들의 삶은 다양한 경험의 스펙트럼으로 가득 차 있었다. 부모님과 선생님의 영향력, 봉사 활동 혹은 스포츠 활동, 동아리 활동 그리고 첫 직장생활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공통적인 것은 따로 있었다. 이들은 모두 자기만의 독특한 경험에서 자신의 열정을 찾았다.

자신을 타고난 리더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었다. 리더에게 어떤 자질이나 특징, 혹은 스타일이 있다고 믿지도 않았다. 위대한 리더들을 모방하려고도 하지 않았다. 단지 시련 속에서 자신의 진정성을 찾아내고 그럼으로써 위대한 리더가 되었으며 자신의 성공을 다른 이들을 돕기 위해 썼다. 이들은 대우받기보다 다른 사람과 차별화되는 것을 바라며, 공동의 목표를 추구할 수 있도록 다른 사람에게 영감을 주길 원한다. 이런 자세가 그들을 최고의 자리에 오를 수 있게 한 원동력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지막으로 4가지 원칙 실행에 실패할 수 있는 3가지 요인을 경계하라. 이 세 요인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4가지 원칙 실행을 연기하는 게 좋다.

• 정말 중요한 목표가 없을 때, 4가지 원칙은 가장 중요한 목표를 달성하는 훌륭한 과정이지만, 어디까지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지목표 그 자체는 아니다. 조직 전체의 가중목이 중요할수록 조직과리더들은 목표 달성에 더욱 몰입하고, 그 결과 4가지 원칙을 더욱빨리 받아들일 것이다. 집중하고 몰입하지 않는다면 4가지 원칙은효과를 내기 어렵다.

• 고위 리더가 적극 몰입하지 않을 때. 최고위 리더가 4가지 원칙에 적극적으로 몰입하지 않는다면 조직도 결코 적극적으로 몰입하지 않을것이다. 최고위 리더란 꼭 최고경영자가 아니더라도 4가지 원칙 실행에 책임이 있는 가장 높은 리더를 말한다. 4가지 원칙을 실행하려면 조직의 어느 부분이 참여했든 간에 전적으로 몰입해야 한다.
관심 있는 리더만 알아서 참여하는 프로그램처럼 보인다면 시작하기도 전에 실패할 것이다.

• 적절치 않은 지위의 사람을 리더로 인증할 때, 4가지 원칙을 가르치고 추진할 실질적 책임이 있는 사람을 리더로 인증하는 게 대단히 중요하다. 그런 리더가 없으면 4가지 원칙 경기에서 승리할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칙 1의 규칙

한 사람당 가중목은 한 번에 한두 개만 정한다.
전투는 전쟁을 승리로 이끌어야 한다.
리더는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지만 명령은 하지 않는다.
가중목에는 결승선(특정 일까지 X에서 Y로)이 있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4가지 원칙 자동화 시스템은 리더가 4가지 원칙에 따라 정해놓은 경기를 완벽하게 파악해야 한다. 이번 장에서는 4가지 원칙 경기를 뒷받침하는 시스템이 반드시 갖춰야 할 5가지 주요 요소를 설명하겠다.

1. 팀의 조직 체계, 팀원.
2. 가중목, ‘특정 일까지 X에서 Y로‘로 표시된 후행지표, 주간 업무 목표치.
3. 선행지표, 일간 또는 주간 성과 기준.
4. 팀의 지난주 공약, 진행 상황, 다음 주 공약.
5. 가중복, 선행지표, 가중목 회의, 공약의 진행 상황을 한눈에 보여주는 요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칙 4에 따르면, 팀은 자주 그리고 정기적으로 가중목 회의를 열어,
선행지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기만의 공약을 정해야 한다.

가중목 회의는 흔히 보는 짧은 회의와 언뜻 비슷해 보여서, 다른 회의와 차이를 못 느낄 수 있다. 하지만 팀이 최고의 성과를 올리려면, 책무공유에 진정한 기술과 엄격함‘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이제 곧 알게 될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