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
위화 지음, 백원담 옮김 / 푸른숲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얼마
전 강남역을 지나다가 ‘허삼관’이라는
영화 포스터를 보았다.
위화의
소설 <허삼관
매혈기>가
떠올랐고,
원작의
재미를 살렸을까하는 의문이 생겼다.
1960년대
중국의 문화대혁명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것을 한국적 상황으로 그려내는 것이 쉽지 않아보였다.
‘허삼관’이
결혼자금을 위해 또 돈이 필요할 때마다 자신의 피를 팔아야하는 상황은 비참한 내용과는 달리 많은 웃음을 주었었다.
<허삼관
매혈기>는
‘매혈기’에
강조점을 둔 책이었는데 ‘매혈기’라는
뒷말은 떼어버리고 ‘허삼관’이라는
제목을 붙였다면 내용이 어떻게 각색 되었을까?
격변기를
자신의 피로 살아내는 허삼관이 영화 속에서 살아 움직이고 있을까?
<인생>은
내가 읽은 위화의 두 번째 작품이다.
주인공
나는 민요를 수집하러 다니다가 푸구이라는 한 노인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구전되어
내려오는 민요를 채록하기 위해서는 만나는 사람이 대부분 노인이었을 것이다.
그가
만난 대부분의 노인은 ‘자기가
살아온 날들에 별다른 애정이 없는 듯,
마치
길에서 주워들은 것처럼 몇 가지 사소한 일들만 드문드문 기억할 뿐’이었고
‘이
사소한 기억마저도 자기가 아니라 남에 대한 것이었고,
한두
마디 말로 자기가 생각하는 모든 것을 표현해버렸다.’
그러나
푸구이 노인은 달랐다.
‘자기가
살아온 날들을 그처럼 또렷하게,
또
그처럼 멋들어지게 묘사할 수 있는 사람은 그 말고는 또 없었던 것이다.
그는
과거의 자신을 제대로 볼 수 있는 사람이었고,
자기가
젊었을 때 살았던 방식뿐만 아니라 어떻게 늙어 가는지도 정확하게 꿰뚫어 볼 수 있는 사람이었다.’
소설을
읽는 내내 푸구이라는 노인의 이야기를 내가 듣고 있는 것 같았다.
이
작품 역시 중국의 정치적 혼란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굶주림에서
비롯한 삶의 처절함은 <허삼관
매혈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처절함을 부각하거나 부조리에 반항하기보다 그것을 견디며 또 수용하는 한 인물을 그렸다.
피와
관련된 이야기가 나오는 것도 비슷하다.
위독한
산모에게 헌혈을 하다가 죽는 푸구이 노인의 하나밖에 없는 아들 이야기를 읽을 때면 무지가 가장 큰 폭력이 되기도 한다는 것을 절감하게
된다.
한
사람을 살리기 위해 다른 한 사람이 죽을 때까지 피를 뽑다니!
그것도
어린아이의 피를.
소설이긴
하지만 중국에서라면 왠지 가능한 일일 것 같기도 하다.
이런
생각을 하다가,
중국에
대한 나의 선입견이 있는 것을 깨닫고 섬짓했다.
한권
책으로 요약된 푸구이 노인의 인생을 통해 내 삶을 요약해보면서 소설의 아니 문학의 기능을 되새겨본 기회였다.
장예모
감독이 이 작품을 영화로 만들어 칸 영화제에서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했다고 한다.
영화를
본 것 같기도 한데 도무지 기억이 없다.
원작을
읽고 영화를 보게 되면 대부분 실망하게 되지만 장예모의 영화에 한 번도 나는 실망한 적이 없었다.
원작은
원작대로 영화는 영화대로,
어떤
때는 영화가 원작을 더 빛나게 하기도 했던 것 같다.
오래 된 탓인지 영화를 구하기가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