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세상 문고판으로 <나의 개인주의>를 먼저 구입했는데 <문명론>에도 '나의 개인주의'가 실려 있었다. 일본에는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의 자제가 들어가는 '학습원'이라는 곳이 있는 모양이다. '나의 개인주의'는 이 학습원에서 소세키가 행한 강연의 제목이었다. '자기본위'라는 말이 어떤 맥락에서 생겨났는지 쉽게 설명되어 있다.

     
 

 내가 직업으로 삼고 있는 교사라는 것에 대해서 조금도 흥미를 가질 수 없었습니다. 교육자로서의 자질이 나에게 결여되어 있다는 사실은 처음부터 잘 알고 있었습니다. 단순히 교실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일이 이미 귀찮고 따분한 것이었기 때문에 방법이 없었습니다. 나는 시종일관 엉거주춤한 자세로 틈만 나면 나의 본령으로 날아가겠지, 날아가겠지 하는 생각만 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본령이라는 것이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해서 어디를 향해서도 결단을 하고 날아갈 수가 없었습니다.

 
     

 

     
  비로소 문학이란 무엇인가 하는 개념을 근본적으로, 그리고 자력으로 만들어내는 방법 외에는 나를 구할 길이 없다고 자각하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는 완전히 타인본위여서 근본이 없는 부평초와 같이 그 근처를 되는 대로 표류하고 있었기 때문에 소용이 없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나는 그때부터 문예에 대한 나의 입각점을 확실히 하기위해서, 확실히 하기보다는 새롭게 건설하기 위해서 문예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서적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한마디로 말하면 자기본위(自己本位)라는 네 글자를 간신히 생각해 내어 이 '자기본위'를 입증하기 위해서 과학적인 연구라든가 철학적인 사색에 탐닉하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내가 저술한 <문학론>은 그 기념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실패의 유해에 지나지 않습니다. 게다가 기형아의 시체일 뿐이었습니다. 혹은 멋지게 건설되지 않은 채 지진으로 무너져버린 미완성 시가의 폐허와 같은 것이었습니다.

 
     

 

     
 

 저작은 실패로 끝났을지 모르지만 그때 확실히 포착했던 자기 자신이 주인이고, 다른 사람은 손님이라는 신념은 오늘날의 나에게조차 특별한 자신감과 안정감을 부여해 주고 있습니다. 나는 그러한 신념의 연속으로 오늘까지 계속 살아올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진행된 논지를 간추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로 자기 개성의 발전을 완수하려고 생각한다면, 동시에 타인의 개성도 존중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 두 번째로 자기가 소유하고 있는 권력을 사용하려고 한다면 그것에 부수되는 의무라는 것을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 세 번째로 자기의 금력을 나타내려고 한다면 그것에 동반되는 책임을 중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점. 요컨대 이러한 3개의 조항으로 귀결될 것입니다.

 
     

 

     
 

 좀더 이해하기 쉽게 말하면 당파심이 없고 옳고 그름이 분명한 그런 주의입니다. 붕당을 만들고, 단체를 조직해서 권력과 금력을 위해서 맹목적으로 활동하지 않는다는 의미로서의 개인주의입니다.

 
     

 

     
 

 나는 의견의 차이는 아무리 친밀한 사이라 할지라도 어떻게 할 도리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내 집에 출입하는 젊은 사람들에게 조언은 할지언정, 그 사람들 각자의 의견을 발표하는 데에 억압을 가하는 듯한 일은 다른 중대한 이유가 없는 한, 결코 한 적이 없습니다.  

 
     

 

     
 

 국가적 도덕이라는 것은 개인적 도덕에 비해서 훨씬 단계가 낮은 것처럼 보인다는 사실입니다. 원래 국가와 국가 사이에서 외교적 수사는 대단히 찬란합니다만, 도덕심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사기를 치고, 속임수를 쓰고 계략을 사용하는 등 엉망진창인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를 표준으로 삼는 이상, 국가를 하나의 단체로 보는 이상, 상당히 저급한 도덕을 감수하며 태평스럽게 견디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개인주의의 기초를 생각해 보면 이것이 대단히 우월한 위상으로 부각되어 오는 것을 어찌할 수 없는 것처럼 생각됩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고세운닥나무 2010-05-10 1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쿠슈인(學習院)은 천황 일가와 귀족이 다니는 학교랍니다. 미시마 유키오도 이 학교 출신인데 <일본 정신의 풍경>을 보면 그가 이 학교에서 천황과 천황 일가를 만난 얘기가 나옵니다. <로마인 이야기>의 작가 시오노 나나미도 이 학교 출신이구요.

반딧불이 2010-05-10 10:36   좋아요 0 | URL
햐~ 고맙습니다. 미시마 유키오도 이 학교 출신이었군요. 거기다 시오노 나나미까지. 학습원에서 정신교육이나 도덕교육같은걸 어떻게 했나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뭐 참고할 만한 책이 있을까요? 그런곳에 가서 소세키는 국가, 국가 하지말라고 했던거군요.

파고세운닥나무 2010-05-10 11:44   좋아요 0 | URL
일문학사에서 시라카바파(白樺派) 얘기할 때 주워 들은 게 저도 전붑니다. 이 사람들이 다들 가쿠슈인 출신인데 문학 동인을 결성했다고 하죠. 가쿠슈인의 국가주의에 반발했던 게 결성의 한 이유라고 하는데 지극히 개인주의적인 작품들이 주류라고 합니다. 아리시마 다케오와 시가 나오야가 대표적이구요. 두 사람의 소설을 보면 세간의 평이 맞는 것도 같구요. 아리시마의 후반생은 좀 다르다는 생각도 해보지만요.
이 곳에서 한 나쓰메의 행동을 보니 도쿄대에서 한 미시마 유키오의 강연이 생각나네요. 둘의 강연은 퍽 대조적입니다.

반딧불이 2010-05-10 17: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파고세운 닥나무님, 여러가지 정보 고맙습니다. 미시마 유키오의 전공투 관련은 들은바 있지만 백화파는 처음 들어요. 미시마유키오와 나쓰메 소세키를 국가주의와 개인주의 라는 주제로 읽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아요.

파고세운닥나무 2010-05-10 21:52   좋아요 0 | URL
네,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좌익 작가들을 제한다면 두 사람은 극단에 서 있다고 볼 수도 있겠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