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루다의 우편배달부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4
안토니오 스카르메타 지음, 우석균 옮김 / 민음사 / 2004년 7월
평점 :
『네루다의 우편배달부』는 영화 <<일 포스티노>>의 원작소설이다. 영화가 좋은 기억으로 남았던 탓인지 원작에 대해서는 궁금해 하지도 않았었다. 최근 이 영화를 다시 보고 원작을 찾아 읽게 되었다. 작가 연보에 따르면 이 책의 원래 제목은 <불타는 인내> 였다. 작가 안토니오 스카르메타는 이 작품에 상당한 애정이 있었던 것 같다. 14년 만에 이 책을 탈고하면서 연극으로 라디오 극으로 다시 영화로 만들었다니 말이다. 원래의 제목은 영화로 만들어진 후 『네루다의 우편배달부』로 바뀌었다. 영화로 만들어진 이후 그러니까 제목이 바뀐 이후 20여 개국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니 네루다의 이름값을 톡톡히 한 모양이다. 물론 네루다의 이름값으로 작가의 공들임을 깎아내리자는 뜻은 아니다.
네루다는 『스무 편의 사랑의 시와 한 편의 절망의 노래』, 『지상의 거처』등의 시집으로 우리에게 시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는 반파시스트 운동, 공산당입당 및 상원의원, 정치적 탄압으로 인한 망명생활 등 정치가로서도 이름 높다. 시를 떼고 정치가 네루다를 이야기 할 수 없고 정치를 떼어놓고 네루다 시를 얘기하기도 쉽지 않다. 이러한 네루다의 면모를 이 책은 고스란히 담아 놓았다.
네루다는 19세 때 시집『스무 편의 사랑의 시와 한 편의 절망의 노래』를 냈다. 남미의 정부들은 젊은 시인들한테 영사 자리를 줌으로써 격려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한다. 네루다는 23세 때 시인으로 인정받았고 칠레 정부는 그에게 극동지방 영사자리를 주었다. 이후 그는 5년 동안 중국, 인도, 일본 등지에서 살았다. 그 후 그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스페인, 멕시코 주재 칠레 영사를 역임했다. 1944년 칠레의 질산염광지대인 안토포가스타의 노동자들이 자기네 지역 상원의원으로 출마해줄 것을 요구해 그는 출마했고 당선되었다. 네루다는 당시의 독재자 곤잘레스 비델라를 칠레의 헌법을 위반했다고 공격했고, 네루다는 반역죄로 몰려 망명길에 오른다. 비델라 정부가 무너졌을 때 칠레로 돌아온 네루다는 산티아고 인근 해안 앞바다 있는 작은 섬 이슬라 네그라에서 살았다. 이 책은 이 섬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슬라 네그라는 몇 가구 살지도 않는 아주 작은 섬이다. 네루다는 이곳에서 아내와 단 둘이 칩거하고 있다. 그에게 찾아오는 사람이라곤 마리오 히메네스라는 우편배달부뿐이다. 몇 킬로그램의 편지를 짊어지고 매일 네루다를 방문하던 마리오는 어느 날, 네루다와 몇 마디 말을 주고받고는 메타포(詩)에 발을 빠트리고 만다. 마리오가 빠진 것은 메타포만이 아니다. 그는 마을의 처녀 베아트리스와 사랑에도 빠졌다.
메타포와 사랑. 마리오는 메타포의 씨줄과 사랑의 날줄 두 가닥으로 자기 생을 짜고 있다. 늙은 아버지는 동트기 전에 일어나 고기잡이를 나가는데, 감기에 추파를 던지면서 이불속에서 뒹굴던 마리오가 네루다의 영향으로 정치적 의식을 가진 한 주체로 거듭나기까지의 씨줄은 길기고, 베아트리스를 향한 사랑을 이루기 위해 마리오가 부딪치는 난관들은 그에게는 고통이었을지 모르지만 읽는 이에게는 통쾌함과 아름다움으로 빛나는 날줄이다. 그러나 민주선거에 의해 사회주의 정부가 세계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던 칠레의 대통령 살바도르 아옌데가 피노체트 정권에 의해 축출되고 네루다마저 산타마리아 병원에서 최후를 맞게 되는 역사적 배경이나, 욕 마저도 모두 메타포가 되는 이슬라 네그라 주민들의 대화를 놓친다면 이 책의 가치는 반감될 것이다.
詩
그러니까 그 나이였어…시가
나를 찾아왔어, 몰라, 그게 어디서 왔는지,
모르겠어, 겨울에서인지 강에서인지,
언제 어떻게 왔는지 모르겠어,
아냐, 그건 목소리가 아니었고, 말도
아니었으며, 침묵도 아니었어,
하여간 어떤 길거리에서 나를 부르더군,
밤의 가지에서,
갑자기 다른 것들로부터,
격렬한 불 속에서 불렀어,
또는 혼자 돌아오는데 말야
그렇게 얼굴 없이 있는 나를
그건 건드리더군
'詩'라는 제목을 가진 네루다의 시 첫 연이지만 이 시를 읽을때면 마리오가 떠오를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