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
박현찬, 설흔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글쓰기 관련 책을 읽고 있는 중이다. 『유혹하는 글쓰기』『글쓰기 생각쓰기』『예술가여, 무엇이 두려운가』『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를 읽었다. 『글쓰기의 공중부양』을 읽는 중이고『디지털 시대의 글쓰기』는 아직 남아있다. 책들은 각각의 특징이 있고 한결같은 공통점도 있다.7권의 책 중에서『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는 형식이 매우 신선하고 독특하다.
이 책은 소설의 형식을 빌려 연암 박지원의 글쓰기 방법론을 서술했다. 스승으로는 실제 인물인 연암을, 그에게 글쓰기를 배우러 들어간 김지문은 가공인물로 설정했다. 때문에 연암을 중심으로 보면 가르치는 방법을, 김지문의 입장에서 보면 배우는 사람의 태도와 자세를 살필 수 있다. 물론 나는 배우는 자의 입장에서 보았다.『비슷한 것은 가짜다』『그렇다면 도로 눈을 감고 가시오』등에서 읽었던 연암의 문장론을 소설 속 주인공 김지문이 깨달아 가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되새김질했다. 되새김은 즐겁고 유익했지만 두 주인공의 갈등 때문에 안타까웠고 스승과 제자라는 관계는 종내 부러웠다.
자신의 문하생으로 지문을 받아들인 연암의 첫 주문은 ‘하나를 알더라도 제대로 음미하고 자세히 생각하는 것’이었다. 한 달여 동안 논어를 찬찬히 다시 읽고 느리게 읽는 것이 왜 좋은지를 깨달은 지문에게 연암은 글 솜씨를 보기위해 ‘붉은 까마귀’에 대해 글을 써오라고 한다. 세상에 없는 붉은 까마귀에 대해 궁리에 궁리를 거듭해 해결한 지문에게 연암은 약(約)과 오(悟)의 이치를 깨달았음을 설명해준다. 이런 식으로 지문이 연암에게서 배운 글자는 변(變)과 간(間)을 합하여 단 네 글자였다. 지문이 연암에게서 받은 마지막 과제는 사마천이 『사기』를 지었을 때의 심정이 어땠을까를 알아내는 것이다. 그러나 두 사람의 갈등은 절정으로 치닫고 지문은 끝내 연암에게 숙제를 제출할 기회를 잃게 된다.
연암이 지문에게 가르친 것은 단지 約, 悟, 變, 間의 네 글자와 사마천의 심정을 짐작하는 일 뿐이었지만 이 속에 독서와 글쓰기의 모든 방법이 들어있었다. 제자의 눈높이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알맞은 과제를 내주는 연암은 이론을 앞세우지 않는다. 그의 방법은 꼼꼼한 독서가 우선하였지만 문자로 된 것만이 책이 아님을 몸으로 부딪쳐 깨달아야 하는 것이다. 문장이 벼슬을 하거나 이름을 날리는데 쓰는 도구로 쓰여서는 안 된다는 것 또한 연암의 커다란 가르침이었다. 연암에게서 쫓겨나고 난 후에야 자신의 잘못을 크게 깨달은 지문은 스승을 그리워하며 스승이 읊었던 시를 읊고 또 읊었다.
저자들은 ‘연암의 문장론을 다루는 본격 소설이면서 동시에 실용적인 글쓰기 방법을 배울 수 있다는 차원에서 인문실용소설’이라고 이름 붙였다. 나는 소설적 감동으로 글쓰기의 방법을 배우고 연암의 글을 되새김하는 호사를 누렸다. 그러나 연암 같은 스승에 대한 갈증으로 창자가 다 녹아내린 것처럼 뱃속이 헛헛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