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재미있는 드라마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Easy 고전 27
이정우 지음 / 삼성출판사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중세까지만 해도 인간은 신의 피조물이었다. 탄생과 죽음, 고통과 행복 모두 신의 뜻이었다. 근대가 시작되면서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 한다’는 말은 그러므로 신에 대항하는 가장 불경스러운 말이 아닐 수 없었다. 나의 주인이 이제 더 이상 신이 아니라 나라고 외쳤으니 말이다. 그런데 여기 또 하나 불경을 저지르는 이가 있다. 바로 동물 행동학을 연구하는 생물학자인 리처드 도킨스다. 그는 나의 주인이 내가 아니라, 나의 주인은 유전자라고 외친다. 나는 다만 유전자를 후대에 전달하는 ‘로봇’에 지나지 않으며 유전자를 몸에 간직하고 있는 ‘생존 기계’일 뿐이라고 한다. 덧붙여 이 유전자는 이기적이기까지 하다. 이타적으로 보이는 행동까지도 그 내면은 이기적이라는 것이다.

종교를 갖지 못한 나는 한번도 신에게 용서를 구한 적 없고, 감사의 기도를 올린 적도 없다. 나라는 개체가 엄마 아버지의 사랑의 행위의 결과물이라는 것은 중학교를 다닐 때쯤 알았던 것 같고 한참 반항기 때에는 뭣 때문에 나를 낳았냐고 부모 가슴에 못 깨나 박았었다. 철이 든 후에는 부실하긴 하지만 그나마 사지가 멀쩡하게 낳아 사람구실 하고 살게 해 준 부모님께 내놓고는 아니더라도 마음속으로 고마워하기도 했다. 그런데 도킨스를 읽고 나니 모든 것이 허무해져 버렸다. 내가 고마워해야할 대상이 있다면 그것은 부모가 아니라 만질 수도, 볼 수도 없이 내 몸속에 있는 유전자이니 말이다. 유전자는 내 부모의 몸을 빌려 내게 어떤 유전자를 전달했을까? 또 내 안의 유전자는 내 몸을 빌려 어떤 형질을 내 자식에게 전하려고 하는 걸까?

이 세계가 어떤 절대자에 의해 프로그램화 되어있고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그 프로그램대로 살아간다는 내용의 영화를 볼 때만 해도 그 발상의 기발함에 찬탄하기만 했다. 마이클 폴란이 그의 책 <욕망하는 식물>에서 사과, 튤립, 대마초, 감자 등의 식물이 지구상에 번성하기 위해 인간으로 하여금 달콤함, 아름다움, 도취, 지배의 욕망을 가지도록 유도했다고 했을때도 인간과 식물이 뒤바뀐 관점의 차이때문에 신선하기까지 했다. 그런데 도킨스가 진화의 기준을 개체나 종이 아니라 유전자라고 하니까 갑자기 안팎으로 나의 존재 자체가 위협받는 느낌이다. 빨리 어른이 되고 싶어 했으나 어른이 된 이후 인간의 유한성을 인식하게되고 갑자기 나라는 생명의 존재 이유는 무얼까 궁금해진것도 잠깐, 찰나 간에 스러지는 존재의 통증이 밀려와 눈이 흐릴 때도 있었다.  유전자가 자기생명을 복제하기 위해 잠시 '나'라는 개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라 생각하니 나는 자동판매기의 일회용 종이컵과 다를바 없이 여겨진다.

동물행동학연구자인 도킨스가 윤리학의 용어와 생물학 용어를 접목시킨 “이기적인 유전자”는 상당한 설득력을 지니고 읽는 사람을 매료시킨다. 도대체 인간이 파헤칠 수 있는 생물의 비밀이 더 있을까 싶기도 하고 식자우환이라는 말도 떠오르고 차라리 몰랐으면 더 좋았을걸 하는 생각도 든다. 도킨스의 『이기적인 유전자』를 저자의 의도를 따라 요약하고 도킨스에게 이의를 제기하는 철학자 이정우가 덧붙인 글이 없었다면 아마 도킨스의 이야기에 빠져 오래 헤어나지 못했을 것이다. 이정우의 이의제기가 있어 책읽기는 균형을 잡을 수 있었다.

 

 

도킨스가 자신의 논지를 펴기 위해 예로 든 많은 동물행동에 관한 에피소드들이 <이기적인 유전자>에는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그러나 이 책은 그런 흥미보다는 400여쪽에 달하는 도킨스의 책을 100여쪽으로 의미의 변질 없이 요약하고 이의제기 까지 덧붙여 짧은 시간 내에 내용파악을 그것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다. <이기적인 유전자>를 읽기 전에 읽어도 좋고 읽고 난 후에 읽어도 큰 도움이 되는 책이라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