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의 노래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래 미루어두었던 김훈의 『칼의 노래』를 해치우듯 읽었다. 이상하게 나는 김훈의 글은 비껴갈 수만 있다면 어떻게든 비껴가려고 했던 것 같다. 자료를 찾다가 우연히 세계일보 신춘문예 평론부문 당선작의 제목을 보게 되었다. “아름답고 끔찍한 예언-김훈론”이라는 제목의 글이었다. 나는 내가 생각하고 있던 김훈에 대한 수식어를 똑같이 사용하는 그의 글이 궁금했다. 어떤 대상에 대한 김훈의 묘사는 끔찍하고도 아름다웠다. 그의 글은 너무 아름다워서 끔찍했고 혹은 너무 끔찍해서 아름다웠다. 그런 그의 글은 대상을 낱낱이 분해하고 사라지게 만들어 버리는 느낌을 주었다. 아마도 나는 이런 느낌들을 경험하고 싶지 않아 외면했는지도 모르겠다.

『칼의 노래』도 이런 느낌에서 크게 다르지 않았다. 군더더기 없이 정제된 단문으로 일관하는 그의 글은 잘 벼린 단도 같다. 그가 이순신을 위해 포획한 모든 언어들은 이순신의 칼처럼 날이 섰다. 책을 읽는 내내 이 칼에 베일 것만 같아 긴장했어야했다.

이 책은 임진왜란 중 이순신이 쓴 <난중일기>에 기초하고 있다. 이순신을 1인칭 화자로 내세운 이 소설은 소설 같지 않고 소설의 형식을 빌린 전기 같다. 그러나 무수히 많은 대립항들이 이것이 김훈의 소설임을 증명해준다.  삶과 죽음, 공격과 수비, 이동과 정지, 집중과 분산, 개인과 전체 등은 김훈의 글쓰기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확인해보지 못했지만 극과 극의 극명한 대립이 난중일기의 특징은 아닐 것이다.

 

 

감각적인 특히 후각에 대한 끔직한 묘사 역시 김훈의 글쓰기 특징이다. 『화장』에서 암으로 죽어가는 아내에게서 풍겨오는 냄새에 대한 그의 끔찍한 묘사를 접한 바 있다. 『칼의 노래』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그는 모든 냄새를 비린내로 환원시킨다. 어린 아들 ‘면’에게서 나는 젖 냄새, 안개의 냄새, 바다의 냄새, 피 냄새, 심지어 보리 삶는 냄새에서 마저도 그는 비린내를 맡는다. 난 중에 두어 번 품게 되는 여자에게서조차 ‘오랫동안 뒷물하지 않은 더러운 여자의 날비린내’를 맡고, ‘다리 사이에서 지독한 젓국냄새’를 맡는다. 이런 냄새에 대한 천착들은 이것이 이순신의 전기가 아니라 김훈의 소설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다.

임진왜란은 1592년 시작되어 1598년까지 7년을 끌었으나 이 책에서는 전쟁이 시작된 임진년이 아닌 끝나기 직전의 정유년과 무술년을 다루고 있다. 지원군으로 온 명나라 수군은 강화도에 들어가 나오지 않고 육군 역시 적군의 뒤만 따를 뿐 싸움다운 싸움 한번 하지 않는다. 그들은 천자한테 바칠 죽은 시체의 머리 챙기기에만 급급하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죽음으로 인해 회군을 결정한 왜는 명나라 지원군들과 책략을 꾸민다. 전쟁은 끝나고 적은 돌아가지만 이순신에게 적의 철수는 삶의 무의미로 남는다. 이순신이 두려워한 것은 죽음이 아니라 그 죽음의 무의미함이다. 전장에서의 그의 죽음이 무의미하지 않으려면 적의 적으로써 자신의 죽음을 완성하는 길 뿐이다. 이순신의 남도에서의 삶은 죽음으로써 삶을 완성하려는 여정이었고 김훈의 언어와 더불어 끔찍하고 또 아름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