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와 철인정치의 시대 1 - 정조 시대를 읽는 18가지 시선
이덕일 지음 / 고즈윈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드라마 <이산>을 보고 있으면 노론집단과 혼자 싸우다시피하는 정조의 모습, 사생활은 거의 없는 인간 정조의 모습이 안타깝게 그려지고 있다. 드라마라는 속성상 극적긴장을 위한 장치로 치부해버릴까 하다가도 역사서 속에 나오는 정조의 모습 역시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아 드라마를 자꾸만 챙겨보면서 연민을 갖게 된다. 

먼저 읽은『사도세자의 고백』에서 이덕일은 편향된 입장을 버리고 당대의 정치적 승자와 패자의 간극을 메우려는 남다른 시도를 해 신뢰감을 주었었다. 『정조와 철인정치의 시대』역시 다양한 역사 사료들을 토대로 하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사료인 『정조실록』을 비롯해 정조 때의 일일 국정기록인 『일성록』, 규장각에서 펴낸 정조의 문집인 『홍재전서』, 채재공 문집 『번암집』, 서얼로서 규장각 사검서였던 이덕무의 『청장관 전서』, 박제가의 『정유집』, 유득공의 『고운당필기』, 정조시대 천주교 관련 자료를 살펴볼 수 있는 「황사영백서」등 많은 사료들을 참조했다. 이것들은 각각 그것을 집필한 자의 사상과 개인적 입장을 고려할때 일정정도의 문제점을 지닌다. 작가는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정조시대 굵직 굵직한 18가지 사건들을 들어 다양한 시각으로 정조를 조명하고 있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비명에 간 아버지의 3년상을 마치고 이복 백부 효장세자의 아들로 입적되어야 했다. '죄인의 아들은 임금이 될 수 없다'는 흉언을 유포한 노론 벽파에게 빌미를 제공하지 않기 위한 영조의 계획이었다. 이런 정조가 '과인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다'를 즉위일성으로 강조하면서 왕좌에 올랐다. 즉위일성은 노론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지만, 정조는 아버지의 원수를 갚는 사도세자의 아들이 되기보다는 한 나라의 임금의 길을 택했다. 

1권에서의 대부분은 노론과 정조와의 대립에 할애된다.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뿐만 아니라 외할아버지까지 노론 일색이었던 외척과의 전쟁, 임금의 침실 지붕위에까지 자객이 드는 상황, 규장각 사검서에 서얼들을 등용하여 노론의 세력을 견제하고 온갖 차별에 대항한 정조의 정치적 역량을 살펴볼 수 있다. 1권의 마지막 장에 할애된 남인과 천주교와의 관계는 우리나라에 천주교가 어떻게 유입되고 어떤 과정을 거치게 되는지 소상하게 살펴볼 수 있게 되어있다. 선교사가 우리나라에 먼저 파견되어 포교활동이 시작된줄 알았었는데 그것이 아니라 스스로 신부를 찾아 영세를 자청한 최초의 인물 '이승훈'이 있다는걸 알았다. 조선의 천주교인들에게는 신앙과 제사는 대립적 관계가 아니었다는것, 정조는 천주교를 서양의 선진 학문을 받아들이는 과정에 부수된 부작용으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 등은 새로 알게된 사실이었다. 그렇다면 천주교 박해 역시 남인을 탄압하려는 노론의 정치 술수의 하나였던 걸까? 천주교 문제로 공격받는 남인들을 옹호하기 위해 문체반정을 들고 나온 정조의 다음 이야기들은 2권에서 시작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