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바꾼 전염병들
브린 바너드 지음, 김율희 옮김 / 다른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암이 가장 무서운 질병이었던 시대는 끝나가고 있는 것 같다.
요즈음은 인체 면역 결핍 바이러스인 HIV가 더 무서운 질병으로 떠오르고 있다.
HIV는 후천성 면역 결핍증AIDS를 유발하는 바이러스로 인간의 면역체계를 파괴하고 결핵처럼
다른 기생충들에게 감염의 문을 열어버린다.
에이즈로 사망한 사람의 수가 1981년 에이즈의 정체가 밝혀진 이후 2억가량에 달한다고 한다.

세계적으로 이처럼 질병이 역사를 바꿀만큼 인명을 살상한 경우들은 많다.
흑사병 혹은 페스트라고 불리는 병은 1346년 유럽에서 발병하여 4년도 채 안된 기간동안 당시의
유럽인구의 3분의 1을 죽음으로 내몰았다.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하고 유럽 식민지가 시작될무렵 천연두는 원주민들을 몰살시키면서
침략자들이 차지할 땅을 비워놓았다. 때문에 정복자와 피정복자들 모두 신이 유럽인들 편이라는데
동의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반면 황열병(오늘날의 풍토병)은 노동력을 찾아 몰려든 식민지 개척자들과 탐험가들을 공격했다.
모기에 의해 감염되는 황열병은 플라비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된다. 이 플라비바이러스는 나무에 사는 원숭이들과 이들에게 붙어사는 기생충이 살아가는 신세계 열대지방이 거주지이다. 인간들보다 훨씬 높은  천공에서 바이러스는 곤충과 동물들 사이에서 순회하고 있는 것이다. 숲이 방해받지 않는 한 황열병은 수년 혹은 수 십년까지도 조용히 지낸다. 그러나 거주지나 농지를 위해 땅을 개간하려고 나무가 베어질 때마다 황열병은 인간의 사슬 속에 다시 들어갈 준비를 하고 땅으로 돌진해 내려오는 것이다. 백인들에겐 치명적이었지만 아프리카인들에겐 동맹자였던 바이러스였다.
아프리카 학교 아이들 사이에는 "모기만이 아프리카를 구할 수 있네. 말라리아 만이 아프리카를 구할수 있네. 황열병만이 아프리카를 구할 수 있네."라는 노랫말이 있단다.

 
문학에서 결핵은 아름다운 병, 한번쯤 걸려보고 싶은 병으로 읽히는 경향이 많다.
핏기 없는 피부, 홍조 띤 뺨, 하얀 손수건에 묻어나는 각혈의 흔적. 등이 비련의 주인공을 만드는 표시로 사용되기 때문일 것이다. 결핵에 걸린 낭만주의적 수척함이 상류층의 표상이 된적도 있고, 일본에서는 상사병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질병이 이처럼 아름답게 묘사되는 경우는 드문 듯 하다. 결핵에 대한 글은 롤랑바르트에게서도, 가라타니 고진의 글 <일본 근대 문학의 기원>중 <병이라는 의미>에서 심도있게 다루어진다.

 
스페인 숙녀라고 불리는 독감은 독감이 스페인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이 아니라 처음에 스페인 신문에서보도되었기 때문이다. 스페인 독감으로 인해 사망한 사람은 500만명에 이른다. 스페인 독감에 대한 과학적인 조사로 인해 의학계에서는 최초의 항생물질 '페니실린'이 발견되었다. 

 
지구상에 존재해야하는 생명체의 최대량은 얼마나 되는걸까?
자연 - 스스로 그러함 - 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 
과학은 세균의 진화를 따라잡지 못하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