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라하리의 절규
델리아 오언스.마크 오언스 지음, 이경아 옮김 / 살림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칼라하리 그 아프리카 오지에 젊은 생태학자 부부가 들어간다.

돈도 많이 없이 그저 그곳에 뛰어든다. 그딜이 그곳에서 겪었던 7년간의 이야기가 담겨져 있는데

나도 모르게 계속해서 읽고 있다. 그들은 그곳에서 아무도 몰랐던 미스터리를 하나씩 푼다.

사자들도 만나고 하이에나들도 만나면서 그곳의 비밀을 하나씩 풀어가지만 때로는 그들에게 힘든 시련을 보내기도 하는 아프리카 하지만 그들은 그것을 이겨낸다. 그것을 이겨낸 이들에게 다시금 누군가의 후원이 돌아오고 다시금 

그들은 연구할 힘을 내서 연구를 한다. 하지만 항상 좋은 일이 있는것은 아니듯 자신들이 연구를 하던

본즈라고 불리던 사자가 사냥꾼들에 의해 죽임을 당한다. 처음 이 무전을 받을때 그들은 너무나 놀란다.

 

그들 역시도 사냥을 거부하지 않는다곤 하지만 자신들이 연구를 하고 자신들이 고쳐주었던 사자가

죽임을 당했다는것에 자신들도 힘이 빠졌을것이다. 과연 꼭 사냥을 했어야 했을까? 지금은 모르겠지만

옛날에는 아프리카에서 너무나 많은 밀렵등 사냥이 이루어졌는데 지금은 어떻게 되었을까?

우리들이 밝혀낼 또 다른 비밀을 못푼것이 아니었을까?

 

그들은 그래도 다시금 자신들의 연구를 이어간다.

하지만 항상 마지막은 존재한다. 자신들도 죽을때까지 칼리할리에서 있을수는 있지ㅏ만 자신들이

칼리하리에 줄수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오히려 지금까지 자신들이 연구한 결과를

사람들에게 대중들에게 알려야만 칼리할리에 도움을 줄수 있지 않을까?

그렇게 해서 나온것이 바로 이책인것이다. 그들은 살인적인 더위와 추위 그리고 위험한 야생동물들에게서

살아남아 끝이 보이지 않는 연구를 해왔다 그리고 그것이 자신들의 재미있는 일인양

계속해서 해왔고 우리들의 손에 온것이다. 나도 이 책을 읽을때는 다음이야기가 너무나 궁금했다.

그들이 겪은 그 생생한 경험담은 어느 누구도 경험할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항상 TV에서 보던 아프리카 과연 그들은 지금 어디에 있을까?

그들이 겪은 그이야기가 우리들에게는 너무나 재미있는 이야기로 돌아온다. 그들은 그곳에서 차가 망가졌을때도

아무것도 못 발견했을때도 있지만 그곳에서의 기억은 어느 누구보다 즐겁지 않았을까? 이것이

연구를 하는 이들이 힘든것도 마다하고 가는 이유가 아닐까?

내가 만약 그들이라도 이렇게 할수 있을까? 이제 그들은 또 어디로 갈까?

그들은 다시 그곳으로 돌아갔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가올 미래, 부의 흐름
곽수종 지음 / 메이트북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우리는 아주 절망적인 상황이다. 팬데믹이 오고 그나마 괜찮아질려고 할때 미국의 금리인상. 그리고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

이 모든것이 촉발이 되어 금리가 너도나도 올라가고 주위에서는 곡소리가 나기시작한다.

우리 주위에서도 심심치 않게 발견이 되는데 요번에도 라면값을 올리기 위해 농심이 발표를 하는데 오히려 삼양은 상관이 없다라는 이야기를 했다. 알고보니 수출이 잘되 오히려 흑자를 내고 있다고 나온다. 얼마나 아이러니 한가. 이렇듯 우리는 개인만의 이야기가 아니고 국가만의 이야기가 아니고 기업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모든것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현재 경유의 가격이 휘발유를 뛰어넘고 있다. 원래 휘발유가 더 비싼데. 알고 보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천연가스 등이 끊긴 유럽이 발전소를 돌리기 위해 경유를 사들이고 있어서 가격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였다. 국가의 전쟁이 전세계에 여파를 미치고 있는것이다. 그리고 미국 역시도 자국의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 노력을 하면서 우리 한국 역시 수출에 타격을 입기 시작한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어떻게 부의 흐름을 보아야 할까?  역시 미국이 좋으니 미국에 투자를 해야할까?

 

우리가 이 돈의 흐름을 알기 위해서는 많은 것을 보아야 한다. 외국인들의 주식시장에서 매수를 하는것도 확인을 해야한다. 현재 삼성전자 역시도 외국인들은 사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팔고 있다고 한다. 이렇듯 부의 흐름이 그쪽으로 갈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것이다.

그리고 세계최고 기업들의 CEO들이 말하는 투자계획을 들어야 한다. 그들 역시도 부의 흐름을 보고 그것을 뒤쫓아가기 위해 누구보다 많은 공부를 하고 준비를 한다. 이 부의 흐름을 보는것이 얼마나 중요하냐면 어떤 사람이 5억을 가지고 1000억을 넘게 번 것을 보았다. 그는 한창 한국이 인터넷 붐이 이는것을 보고 인터넷 기업에 투자를 하고 그 이후 몇백억의 차익을 내고 시간이 지나 택배가 성장하는 것을 보고 택배에 투자를 했다고 한다. 그 결과 천억이 넘는 수익을 만들었다라고 한다.

이렇게 부의 흐름을 보는것만 해도 우리에게는 부를 거머쥘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많은 공부를 해야한다. 그래서 특히나 환경 역시도 중요해서 전기차의 상승이 뛰어날것으로도 보인다

이 책에서는 저자가 부동산, 가상화폐등 몇가지 카테고리를 나눠 우리들에게 미래의 흐름을 보여주는데

이 흐름을 보고 우리는 어떻게 투자를 해야할까? 이제 자신의 인사이트가 겸비한다면

위에서 말한 수천억을 번 사람이 내가 될수 있지 않을까?

여러분들은 어떤곳에 투자를 하고 있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상부동산 투자로 현실부자 되기
백영록 지음 / 메이트북스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상부동산이 무엇일까? 요즘 한창 핫한 바로 NFT 즉 대추불가능한 토큰으로 가상의 자산을 자신을 소유주로 인정하게 하는 토큰이다. 요즘 NFT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들어보았을것이다. 젊은 층도 투자를 하기 위해 NFT를 산다고 한다.

특히나 코인과 마찬가지로 우리가 볼수 없는 재화이기에 투자를 조심해야 한다.

코인도 초반에는 많은 이들이 투자를 안하다가 갑자기 올라가는 가격을 보고 너도나도 투자에 뛰어들었지만

항상 모두가 돈을 벌수는 없는것처럼 투자를 하고 잃는 이들이 생겼다. 

 

이제는 이 NFT가 가상의 자산을 사고 팔수 있는데 이것이 꼭 게임처럼 우리에게 나온다는 것이다.

이 책에 마지막에는 투자할만한 NFT등을 알려주는데 우리 한국의 부동산을 사는것처럼 부동산을 사고팔고 그것을 임대도 줄수있는 아주 재미있는 투자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저자도 말하듯이 이 투자를 할때도 조심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이 것을 만든 회사가 하루 아침에 도망을 갈수도 있고 사기도 있으니 조심하라는 것이다.

 

자신의 돈을 투자를 할때에는 많은 검증을 거쳐야 한다.

특히나 가상부동산이라는 것을 잘 알지 못한다면 이 책을 통해 기초를 쌓는것도 중요하다. 나 역시도 가상부동산이라는 것을 들어봤지만 그것을 어떻게 돌아가는지 그리고 어떻게 사야하는지 어떤곳에서 사야하는지도 알수가 없었다.

그저 위험한 자산이라고 여겨 투자를 하지 않았지만 오히려 진주를 찾을수도 있다는 것이다.

아직도 외국에서는 NFT를 활발하게 투자를 하는것을 많이 본다.

 

물론 투자가 항상 성공한다는 말은 아니지만 자신이 정말로 잘 알아보고 NFT든 가상부동산이든 확실하게 잘 알고 투자를 해야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아직도 투자할 곳은 많지만 그것이 정말로 수익으로 귀결되는지는 우리가 알아야 한다.

투자는 항상 자신의 몫이기 때문이다.

이제 자신이 남들과는 다르게 수익을 내고 싶다면 또 다른 방법인 가상부동산은 어떨까?

4차 산업시대가 바뀐 또 다른 부동산 투자로써 우리에게는 NFT가 왔다. 그렇기에 우리들도 다시금 공부를 해야하고

그것을 따라가야한다는 것이다. 이제는 바뀐 또 다른 부동산 투자 누가 현실 부자로 바뀔수 있을까? 

여러분들은 가상부동산에 대해 들어본적이 있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롭 무어 부와 성공의 기회 - 가능성을 현실로 만드는 방법
롭 무어 지음, 이수경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누구나 성공을 원한다. 하지만 그 성공을 위해 우리는 기회라는 것을 잡아야 한다.

사실 이 기회라는것은 누구도 알지 못한다. 롭 무어 역시도  기회라는것은 불운을 가장하고 온다는 것이다.

이것을 알아보면 지금까지 성공한 이들에게는 불운한 것이 꼭찾아왔다. 물론 그것을 이겨내고 또 다른 기회로 그것을 다시금 성공으로 바꾸게 만들었던것이다. 그들은 바로 그 기회를 가질 준비가 되어 있던것이다. 아무리 우리에게 기회가 온다고 해도

우리가 그 기회를 사용할 능력이 되지 않는다면 우리도 모르게 그 기회를 놓치고 만다.

 

많은 사람들이 이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공부를 하고 사람들을 만난다. 어제 유튜브에서 실리콘밸리 출신 개발자의 이야기를 보았는데 그는 실리콘밸리에서 일하고 있을때 페이스북으로 넘어갈 기회가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는 그 기회를 놓치고 말았다. 물론 그는 그것을 후회할때도 있지만 그 다음기회를 잡고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하고 지금은 그 능력을 가지고 다른 사업을 한다고 한다.

이렇듯 우리에게는 우리도 모르게 많은 기회들이 온다. 나 역시도 그런 기회가 왔지만 나도 모르게 나는 아직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라며 그 기회를 찬적이 있다. 내가 그 기회를 차지 않고 잡았더라면 지금의 나는 또 달라지지 않았을까?

 

이제는 우리도 성공을 원한다. 오늘 실패했어도 우리는 내일의 성공을 위해 준비를 해야한다. 나는 항상 잘때 오늘 잘못한것이 항상 기억이 난다. 그로인해 나도 모르게 위축이 되지만 계속해서 그 일이 기억이 난다. 이 기억 역시도 우리가 성공하는 방해물인것을 깨달아야 한다. 그 실패를 깨닫고 다시 그 실패를 하지 않고 내일은 그실패가 아닌 성공을 위해 준비를 해야한다는 것이다.

성공을 원하지만 그 성공을 위해 준비하지 않기에 우리는 성공을 가질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우리는 지금 성공해야한다. 실패가 아닌 지금성공으로 우리의 삶을 성공으로 이끌것이다.

 

누구에게나 오는 기회 하지만 그 기회를 잡고 그 기회를 어떻게 다룰지는 우리밖에 모른다.

지금도 많은 이들이 노력하는 것이 그 기회를 성공의 길로 가게 만들기 위해서이다. 이제 여러분들도 그 성공을 위해

우리에게 오는 기회를 찾아야 할때이다.

여러분들이 가장 아쉬웠던 기회는 무엇인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아의 나라 - 문화의 경계에 놓인 한 아이에 관한 기록
앤 패디먼 지음, 이한중 옮김 / 반비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나라가 아닌 다른나라에서 산다는 것은 어떤가? 우리가 여행을 다른나라에 가도 쉽지 않은데 만약 난민으로써 다른 나라에 간다면 우리는 어떻게 할수 있을까? 리아 역시도 그런 인생을 살게 되었다.

처음 이 책을 읽기전부터 내나라가 아닌 다른나라에서 몽족으로써 살아간다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나 그것을 이해해주는 나라가 아니라면 더욱더 힘들다. 우리에게는 비정상적인 일이 그들에게는 정상적으로 보이는 일이 될 수 있으니까 말이다. 리아는 어릴적부터 뇌전증을 앓았는데 이것이 우리들에게는 치료를 해야하는 병이지만 

몽족에서는 이런 환자는 바로 샤먼이 되는 것이다. 즉 치료의 대상으로 보는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것이 다른나라에서는 과연 어떻게 보이게 되는 것일까? 아이를 치료하지 않는 부모로 보이는 것이다. 

그들은 몽족에 대해서 알수도 없고 몽족이라는 것을 알수없기에 오히려 그들의 부모에 대해 더욱더 비판을 가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리아를 돌보는 의사로써는 오히려 부모가 이상한 사람들로 보일것이다. 자신의 아이가 아픈데도 약을 먹이지도 않는 그런 이상한 부모로 보일것이다. 이것이 몽족 내에서 이루어졌다면 그들은 리아가 샤먼으로써 받아들여 지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을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다문화를 바라보아야 하는 문제가 아닐까? 저자는 이 리라의 이야기를 9년동안 지켜보고 써왔다고 한다.

리아의 부모는 난민으로써 미국으로 왔지만 몽족으로써 살아갈려고 하는 이들이고 미국은 자신들의 문화를 받아들이라고 하는것이다. 무엇이 정답인지는 모른다. 하지만 그나라에는 그나라만의 법이 있듯이 리아의 부모 역시도 미국의 문화를 받아들여야 하는것이 아닐까? 우리 한국 역시도 다문화에 대해서 많은 불화가 있었다. 하지만 그것은 여전히 고치기 어려운 난제이다.

무엇이 맞는지는 어느 누구도 알지 못하지만 우리 모두가 그것을 함께 해결해야한다는 것은 알고 있다

 

과연 리아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자신에게 몽족의 문화를 이야기하는 부모님과 미국의 문화를 말하는 미국 

그 어린 리아는 어떻게 하고 싶을까? 저자 역시도 9년동안 리아를 지켜보면서 쓴 이 책이 세계가 받아들이는 다문화에 대해서 다시금 이야기 하고 싶었던것이 아닐까? 우리는 어떻게 다문화를 받아 들여야 할까?

여러분들은 다문화를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