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버드 로스쿨 협상 수업 - 복잡한 심리전에서 무조건 이기는 설득의 프레임
조슈아 와이스 지음, 김용준 옮김 / 현익출판 / 2025년 10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
우리는 다양한 협상을 한다. 그것이 꼭 협상가가 아니더라도
회사에서도 다른 팀과 협업을 하던 다양한 이유로 협상을 하는데
이 책은 특이하게 협상을 성공하는 것이 아닌 실패했을때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있다. 많은 책들은 성공에 초점을 맞추지만 이 책은 특이하게
실패에 초점을 맞추고 그럴경우 우리가 어떻게 해야할지 이야기를 한다
누구나 협상에 실패를 할 수도있다. 그렇지만 이 실패를 했을때
우리는 그것이 왜 실패했는지에 대한 배움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럴때 어떻게 하는가? 나 역시도 생각을 해보니
책임전가. 부장님이 그렇게 하라고 했는데요 이런것과
손실회피 성찰하지 않는 경험 등으로 우리는 그 협상을 실패한것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지 않는다. 그저 실패의 기억으로 그것을 생각하지 않고
넘어가버린 다는 것이다
그래서 저자는 5단계로 협상에 실패했을때 해야하는 것을 말하는데
1단계가 바로 수용이다. 이것이 참으로 어렵지만 우리는 협상에 실패했다는 것을
수용해야한다 .그것이 나의 커리에어 누가되더라도 그것은 인정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바로 2단계가 분석하기 이다. 왜 실패했을까? 큰 방향에서 그리고 작은방향에서도
생각을 해야한다. 단순히 부장이 하라고 해서라기보다는 내가 어떻게 했으면 달라졌을까?
그들이 원하는 무엇인가를 했으면 다를가? 그리고 3단계가 바로 올바른 인사이트 얻기이다
무조건적으로 우리가 잘 못했다가 아닌 정말로 그 속에 잇는 인사이트를 얻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4단계 약점 버리기이다. 그저 협상에 성공하기 위해 모든것을 다 수용하는 것이
좋은것인가? 또 그건 아니다 내가 사업을 들어갈때도 보면 무조건적인 수용으로 인해
일을 하는 사람들이 너무나 힘들게 일을 하는 것을 본적이 있다
그렇기에 우리들에게 있는 약점을 하나씩 버려가면서 협상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다시 협상 테이블로 돌아가기 이다.
내가 준비가 부족한것인지 아니면 내가 너무 감정적으로 했는지를 깨닫고
다시 협상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물론 쉽지 않는 것이지만
항상 즐비하는 협상을 위해 우리는 실패를 준비해야하는 것이다.
이것이 어떻게 보면 실패를 준비하는 것이지만 성공을 위한 또 다른 길이 아닐까?
여러분들은 협상이 실패했을때 어떻게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