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릿LIT, 완전한 몰입 - 성공의 불을 밝히는 하버드 몰입 혁명
제프 카프 지음, 김미정 옮김 / 비즈니스북스 / 2025년 3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우리가 공부를 하면서 제일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바로 몰입이다. 많은 사람들이 몰입을 하지 못해 산만하게 공부를 하게 되는것이다
그로인해 앉아있는 시간만큼 효과를 내지 못하고 그저 시간만 쓰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
저자 역시도 어릴적에는 산만한 아이였고 다른 친구를 알려줘도 선생님마져도
놀리는 학생이였지만 지금은 하버드 그리고 MIT의 교수로 재직중이다
어릴적 산만했던 아이가 이렇게 되기 위해서 어떻게 집중을 했을까?
저자는 12가지 몰입도구로 뇌를 최적화하여 잠재력을 발휘하는 방법을 이야기 한다
그 중에서 하나가 바로 질문에서 의미 찾기 이다
사실 우리가 공부를 할때 많은 질문을 하지 않는다. 그냥 해야하니까 하는것인데
예전에 TV에서 볼때 영재가 공부하는 모습을 본적이 있다.
그 학생은 수학을 할떄 계속해서 다양한 방법으로 고민을 하는것을 보았다.
이렇게 할수 없을까? 이렇게 하면 더 쉽지 않을까? 자신과 끊임없이 대화를 하면서
많은 공부를 하는것이었다. 만약 나라면 그저 정답을 맞았더라면 넘어 갔을것인데
영재는 그렇게 하지 않고 자신이 아는 모든 방법을 쓰고 더 좋은방법을 위해
계속해서 공부를 하는 것이다. 누가 본다면 시간 낭비라고 이야기 할 수 있지만
원래 자기가 답을 내었던 방법을 쓸 수가 없다면 그문제는 알아도 풀수가 없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우리는 질문을 통해 계속해서 나의 공부를 누적시켜갈수 있다는 것이다.
나 역시도 이것을 느낀것이 내가 하는 업무 자체도 알아야 할게 많다.
그래서 남이 알려주는 방식을 하다가도 다양한 방법을 찾고 다음에는 다른 방식으로
할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하니 남들보다 조금더 많이 알게 되는 것이 있다.
이렇게 하다보면 나도 모르게 그 문제에 푹 빠지게 되고 순식간에 몰입에 빠지게 된다
이것이야 말로 저자가 말하는 완전한 몰입이 아닐까?
저자의 다양한 도구로 나의 뇌가 최적화 된다면 조금은 더 몰입을 할 수 있는 시간을 늘릴수 있지 않을까? 그저 많이 앉아있다가 답이 아니라 얼마나 몰입하느냐가 공부의 질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인터넷에서 10시간 11시간 공부를 한다고 인증하는 사람들이 많았지만
그 시간 100% 몰입이 아니라면 적은 시간을 해도 완전한 몰입을 한다면 그것이
최고의 방법이 아닐까? 모든 것을 다 따라 할수는 있지 않겠지만
저자 역시도 놀림받던 학생에서 이제는 누구나 우러러 보는 학교의 교수가 된것이다
이제 우리도 완전한 몰입을 할수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