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교과서 - 아이랑 엄마랑 함께 행복해지는 육아
박경순 지음 / 비룡소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의 정상 발달과정에 심리학까지 더해지니 무너뜨릴 수 없는 벽이 완성된다. 그동안 아이를 키우면서 사랑으로 감싸줬다는 변명 아래 아이에게 얼마나 많은 상처를 줬을까. 그동안 부모에게 받았던 상처로 아이의 마음 속에 어떤 이야기가 만들어져 있을까. '엄마 교과서'를 읽으면서 내내 나를 괴롭힌 이 의문들은 마지막 책장을 덮는 순간까지도 나를 놓아주지 않았다. 내가 죽을 때까지 이 의문에 대한 답을 찾을 순 없을 것이다. 좋은 부모가 되는 것? 부모는 만들어지는 것이다? 아니, 내가 이 책을 통해 얻을 수 있었던 것이라면 아이의 마음에 불안한 감정이 깃들어 있다면 그 어떤 이유도 나 자신을 위한 변명 밖에 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무조건적인 사랑만으로도 아이를 잘 키울 순 없는 것이다. 

 

'엄마 교과서'는 나에게 좋은 부모가 되는 해답을 제시하지 않는다. 요즘 아이의 배변훈련이 되지 않아 처음에 그 부분부터 펼쳐 보았는데 "이렇게 해야 한다"와 같은 답은 없었다. 아이의 정상 발달과정을 설명하며 거기에 아이의 마음까지 보여주고 있지만 육아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만 그려줄 뿐 개개인에 대한, 아이의 발달에 대한 것은 오롯이 우리들의 몫으로 남겨 두었다.

 

이 책의 목차를 들여다보면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로 나누어 설명하는 부분을 볼 수 있다. 공부할 때나 들어봤던 말이다. 육아에 대한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들어보았을 말이지만 이렇게 체계적으로 설명하니 그동안 속 끓였던 것이 모두 아이가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는 과정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무례함?' '공격성?' '부모는 유아로 하여금 보복에 대한 두려움 없이 부모를 공격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니 처음에 이 문장을 보았을 때 나도 이런 생각을 했다. '버릇 나빠지면 어쩌려고?' 같은 질문을 들은 남편도 똑같은 대답을 했다. "그럼 아이가 때리면 계속 맞고 있으란 말인가?"라고. 정말 작가가 말하는 것 처럼 부모 마음이 얼마나 살가워야 무례한 짓을 해도 아이가 예뻐 보일까. 나는 아이의 무례함이나 공격성을 그냥 두고볼 수 있는 성격이 아니기에 이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쉽지 않았다. 작가에게도 이것은 오랫동안 화두로 삼을만큼 큰 깨달음을 주었던 문구라고 하니 누구나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말은 아니다.

 

"내 아이가 최고"라고 느끼게 해주는 것이 아이에게 꼭 필요한 과정이라는 것을 알지만 이렇게 구체적으로 과정과 결과까지 제시한 육아서를 보진 못했다. 요즘들어 아이에게 예쁘다, 귀엽다라는 말을 자주 하긴 하지만 내 아이가 최고라는 느낌을 전해주진 못했다. 어떻게 하면 아이가 "내가 세상에서 제일 잘났다"고 생각하게 될까. '내가 세상에서 제일 잘났다'고 믿는 산의 정상에 오른 후 나르시시즘의 정상인 이 산에서 내려갈 일만 남은 아이가 앞으로 어떤 상태에 놓이게 되는지, 이것이 아이에게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에 대해 코헛은 이것을 아이가 견딜 수 있을 만큼의 좌절인 '적절한 좌절의 과정'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육아가 어렵긴 하지만 이렇게 자세한 설명까지 곁들이니 가슴이 떨릴 정도로 아이의 미래에 대한 걱정이 앞선다. 

 

끊임없이 남편에게 아이를 이렇게 대했는데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을 정도로 그동안의 육아에 대해 자신할 수 없다. 나는 아이에게 '착한 아이 증후군'을 심어준 것이 아닌가 반성했다. 타인에게 내 아이가 착해 보였으면 좋겠다는 생각은, 아이를 버릇없이 키우지 않고 잘 키웠다는 말을 들으며 안도했던 나의 마음은, 아이의 마음까지 살피지 못했다는 자괴감에 빠져 오랜시간 나를 괴롭힌다. 지금부터 잘 하면 될거야.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면 돼, 라고 위로해 보지만 똑같은 상황에 놓였을 때 다른 선택을 할 수 있을지 자신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한 답은 어른보다 감정 조절이 불완전한 아이를 배려해야 한다는 것 밖에 답하지 못하겠다. 이것으로 되었는가. 

 

이 책을 읽고 조금 달라진 것이 있다면 아이가 무례한 행동을 할 경우 어떻게 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남편에게 "아이가 때리면 아프다는 표현을 해야 하고 혼내고 때리는 것이 아니라 아프다고 울고 찡그리고 몸으로 아이에게 표현을 해야 한다고 되어 있다"라고 말해줄 수 있었다는 것이다. 겨우 한발짝 정도 떼긴 했지만 '엄마 교과서'를 읽은 후 나의 마음이 조금 달라진 것을 느낀다. 이렇게 말해도 아이가 어른을 때리고 버릇없이 구는 상황이 오면 또 혼내고 때리기부터 하겠지만 적어도 그렇게 하지 않으려고 한번쯤 생각하지 않겠는가. 지금은 그것으로도 충분하다. 처음부터 잘할 순 없으니까. 이러다 아이가 다 커버리면 무슨 소용이 있나. 금방 바꿔져야지, 라는 생각도 나지만 나의 마음속에 존재하는 방에도 아직 성숙되지 못한 자아가 있고, 어린 시절 겪었던 일들이 잊혀지지 않으니 쉽게 되진 않을 것이다. 다만, 내 아이는 행복한 삶을 살아갔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가지고 아이를 대한다면 조금씩 나아질 것이라고 믿는다.

 

아이가 행복했으면 한다. 아이의 마음이 어떠한지, 지금의 감정이 어떠한지 잘 살펴서 아이가 행복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한다면 지금과 다른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은, 참으로 고맙게도 불완전한 부모를 생각하여 부모를 위한 교과서가 지금 출간되었다는 것이다. 또 여기에서 나를 위한 변명을 찾고 있지만 '엄마 교과서'는 모든 부모들이 완벽하고 완전한 존재일 수 없다는 전제를 가지고 출발하고 있기에 누구에게나 기회가 있음을 말하고 있다. 아이도, 나도 온 가족이 행복할 수 있는 길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