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추구 2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공경희 옮김 / 밝은세상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잭이 아내 도로시와 헤어지지 않고 새러와 만나는 이중생활을 시작했을 때 이미 잭과 새러의 사랑은 처음과 같이 순수하지 않았다. 하룻밤의 사랑 후 새러에게 아무런 변명조차 하지 않았던 잭의 행동은 비겁했고 새러와의 사랑에 여지를 주는 듯 보였다. 새러는 살아가는 동안 끊임없이 '잭과 만나지 않았다면, 잭을 다시 만나 그와의 사랑을 이어나가지 않았다면' 하고 무수히 많은 '만약에'를 그려보지만 끝내 잭을 향한 사랑을 멈출 수가 없었다. 그렇다면 새러를 향한 잭의 사랑은 어떠했을까. 새러가 자신에게 전부라고 생각했음에는 틀림이 없지만 새러와 그녀의 오빠 에릭을 가족으로 받아들였다면, 그랬다면 지금과 달리 좀 더 많은 것들이 변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 시절의 세계가 그랬다. 잭도 그 시절이 만든 희생자며 피해자였을 뿐임을 알지만 잭이 도로시와 새러를 오가는 이중생활만 하지 않았다면 새러와 가족을 이루어 살아갔다면 한번쯤 다시 생각해 봤을 것이다. 자신의 세계가 무너지는 것이 두려운 잭이 선택한 결과는 그의 모든 것을 빼앗아 갈 정도로 참혹했다.

 

자신이 선택한 결과에 대해서만이라도 책임을 졌다면 달라진 것이 많았겠지만 잭은 진실이 드러나는 그 순간까지 에릭을 걱정하고 슬퍼하며 새러를 위로하는 역할에 머문다. 새러가 떠나고 죄책감과 그녀를 향한 사랑으로 피폐한 삶을 살아가는 잭에게 그녀가 떠난 후 일어난 일들은 모두 당연한 결과라고 여겨질만큼 그의 행동은 정직하지 못했다. 잭과 새러, 두 사람의 관계가 이렇게 끝이 났다면 아, 두 사람의 사랑이 비극적으로 끝이 났구나 하고 말았을 것이다. 그러나 새러와 잭은 서로를 그리워하며 그 사랑에서 놓여나지 못했다.

 

'용서'라는 단어는 쓰기는 쉽다. 서로 사랑하면 용서하고 나머지 삶을 함께 보내면 되지 않냐고 말하는 것 또한 쉽다. 그러나 잭과 새러, 이 두 사람이 서로에게 다가가기에는 꽤 많은 이유와 조건이 필요했다. '행복의 추구'에서 저자는 행복을 얻기 위해서는 자신이 선택한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고 이것이 잭과 새러가 만나 사랑을 함으로써 발생된 무수히 많은 관계들을 내려 놓을 수 있는 길이며 그 사랑을 더이상 퇴색되지 않게 온전히 지킬 수 있는 길이라고 말한다. 사랑이라는 이유로 모든 것이 허용되는 것이 아니라 '용서'라는 말이 사랑까지도 온전히 품게 하는 것이다. 몇 세대를 거쳐 이어져 내려온 인연들때문에 자신은 물론 타인의 행복을 위해, 잠시 동안의 평온을 위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게 하는 것이다.

 

아직은 새러, 메그, 케이트, 찰리 모두가 행복하다고 느껴지진 않는다. 다만 모두가 현실과 타협하며 그 속에서 찾을 수 있는 가장 편안한 형태를 찾았다. 적당히 거리를 두고 적당히 함께 하는 시간을 가지며 도로시와 잭을 추억하며 그들을 잊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것, 이것이 여기에서 찾을 수 있는 행복이고 삶이 아닐까.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