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추구 1
더글라스 케네디 지음, 공경희 옮김 / 밝은세상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내가 처음 이 책을 통해 새러가 사랑하는 남자 잭을 만났을 땐 이미 그는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다. 첫 장면은 한 여인의 장례식 장면이었다. 이는 현재에서 과거의 이야기로 거슬러 올라갈 것이라 짐작할 수 있었기에 이 장면이 그다지 놀라운 일은 아니었다. 그러나 존 조지프 말론, 잭 말론으로 불리운 사람이 이미 1956년 4월 14일에 세상을 떠났다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었다. 그에 관한 모든 것을 타인의 기억속에 의존해서 그려내야 한다는 의미였기에 더 그러했을 것이다. "케이트가 엄마의 장례식에 왔다고 했는데 그럼 새러의 장례식인가?" 이것이 내가 처음 가졌던 의문이지만 지금부터 내가 듣게 될 이야기는 내가 무엇을 상상했든 지금보다 더 엄청난 이야기가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케이트와 새러의 이야기를 씨줄과 날줄로 하나의 거대한 이야기를 완성해 나가고 있는 '행복의 추구'는 두 여인의 삶을 통해 아주 오랜 세월 그들과 함께 했던 이들의 삶까지 보여준다. 새러의 이야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1권에서는 새러와 잭이 나눈 하룻밤의 사랑 후 잭 말론이 새러를 떠나 유럽으로 간 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사랑에 대한 열정이 뜻하지 않게 거절당해야 했던 아픔과 사랑과 열정 없는 불행한 결혼 생활을 했던 새러에 대한 이야기는 독자들의 가슴이 죄어올 정도로 그녀의 깊은 상실감을 느낄 수 있었다. 여기에서 빠진 것이 있다면 도로시와 잭 말론의 이야기를 직접 듣지 못한 것인데 아쉽게도 케이트와 새러의 기억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새러는 그녀가 갖지 못한 것들을 모두 가진 도로시를 부러워했다. 미혼모가 되어 모든 것을 잃고 살아갈 자신이 없었던 새러가 선택한 결혼은 불행했다. 케이트의 고모 메그는 케이트에게 아이를 갖고 싶었으나 용기가 없었다고 털어놨다. 1950, 60년대는 사회적으로 미혼모를 용납하지 않던 시절이었기에 사회적 비난을 감수할 만한 용기가 없었다고. 그런 시절을 보낸 새러 역시 자신이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길을 걸어갔고 그녀가 불행한 길로 걸어가는 것을 알면서도 오빠 에릭조차 그녀를 잡을 수가 없었다. 

 

새러가 케이트에게 보낸 물건은 그녀를 당장 새러의 집으로 뛰어오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새러가 보낸 사진에는 자신의 모습은 물론 아들 에단까지 있었다. 분명 새러는 케이트가 모르는 진실을 알고 있었다. 케이트의 오빠 찰리의 모습은 보이지 않고 왜 케이트의 어린 시절의 사진부터 현재까지의 모든 것이 담겨져 있는 것일까. 궁금했다. 새러가 들려줄 이야기는 무엇인지. 나는 오직 그녀에게 매달릴 수 밖에 없었다. 케이트 또한 그러했을 것이다. 케이트에겐 그녀가 태어난 지 18개월 만에 세상을 떠난 아버지에 대한 기억이 전혀 없었다. 

 

지금까지는 이 책의 제목이 왜 '행복의 추구'일까 짐작도 할 수 없다. 자신을 위해, 자신만의 삶을 위해 앞으로 나아간 새러의 이야기를 통해 '행복'을 느끼기엔 그녀의 삶이 불행했으므로 케이트와 새러의 이야기를 좀 더 들어봐야 한다. 사랑을 잃은 후 삶의 의미조차 희미해져 간 새러가 나에게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까. 케이트는 새러가 들려주는 과거의 이야기를 통해 무엇을 얻을까.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든 아마도 나는 그들을 통해 '행복'의 의미를 알게 될 것이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