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신 치바 이사카 코타로 사신 시리즈
이사카 고타로 지음, 김소영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내 주위에는 이런 사람이 없다. 아니, 이런 사신이 없다. 있는데도 알아 보지 못하는 것 아니냐고 하면 할말은 없지만 아무리 사신이라도 한 사람의 인생을 삶이냐, 죽음이냐를 결정하기 위해 조사를 하면서 일주일간의 기간동안 그들의 삶에 관여하는 것은 말이 안되는 것 아닌가. 죽기 전 행복을 느끼게 해주는 사신도 있다고? 그러나 결국은 그들의 죽음에 "보류"가 아닌 "가"라고 정해두고 스스로 만족할 시간을 보내고 있지는 않은가. 반성이 필요하다.

 

아주 오래전부터 인간 세상에 내려와 인간들의 죽음에 대한 조사를 하면서도 인간의 삶에 익숙해지지 않는 사신 '치바'의 이야기는 그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해 내뱉는 두서없는 말들로 인해 '죽음'이라는 어두운 면이 평범한 일상이 되어 버린다. 사신은 절대 자살이나 병사에 대해서는 관여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사고사로 인한 죽음이라는 점에서 이를 막을 수도 있었을텐데, 사신이 "보류"라고 결정해 주면 삶을 연장할 수 있었을 텐데 하는 안타까움을 느끼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의 삶은 죽음에 이르러 삶에 대한 애착을 보이지 않음으로써 사신에게는 그들의 죽음에 "보류"라는 결정보다 "가"라는 결정을 쉽게 내릴 수 있게 한다. 이는 "죽고 싶다"는 말을 함부로, 쉽게 내뱉지 말아야겠다 결심하게 했다. 의미 없는 시간은 없는 것이다.

 

눈 내리는 산장에서의 연쇄살인사건은 사신이라면 한 번쯤 겪을 만한 일이었다. 오호 이제야 내가 좋아하는 장르의 이야기가 나오는군, 하며 읽었지만 사신들이 개입된 사건은 미묘하게 무언가가 어긋난 느낌이라 기분이 이상하다. 한 곳에서 몇 명의 사람들이 죽어갈 때 보게 되는 사신들이라니 그들을 바라보는 것은 그리 썩 유쾌한 느낌이 아닌데 이 상황을 어떤 감정으로 봐야하는지 갈피를 잡을 수가 없어 곤혹스럽다. 이런식으로 인간의 삶에 또 한 번 관여하는 것이 옳은 일인가를 따지기 전에 자신이 조사한 인간이 죽을 때 꼭  그 죽음을 확인해야 하는지 그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겠다 여겨진다. 인간들의 입장에서 보면 증인 내지는 목격자가 될 수도 있는 존재가 사신이라는 것은 좀. 이러니 어떤 감정을 느껴야 하는지 갈피를 잡을 수가 없다는 것이다.

 

사신 치바는 인간에게 딱 한 번 기회를 줬다. "가"가 아닌 "보류"를 결정한 것이다. 한 여자의 음울했던 삶이 이대로 끝나길 원하지 않았던 치바는 그녀가 자신의 삶을 다시 한 번 살아낼 기회를 주게 된다. 삶을 허락받은 이 사람은 그 뒤로 어떻게 살아갔을까. 그 궁금증은 치바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나오지만 세상이 "기적"이라고 부르는 삶을 살아갔으리라 짐작할 수 있다. 죽음이 중첩되는 안타까운 상황도 보았다. 끝까지 자신의 삶을 포기하지 않고 사랑을 이루기 위해 노력했다면 다른 결과가 기다리고 있었을 것이라 여겨지는 안타까운 삶이었다. 사랑이 시작되려는 연인에게는 고통스러운 결과만 기다리고 있을 뿐이라도 남아 있는 사람은 살아갈 힘을 얻었을 것이다. 

 

사신 치바는 인간 세상에서 인간의 삶과 죽음을 가장 가까이에서 경험하지만 그들을 완전하게 이해하지는 못한다.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 그를 보면서 역시 그는 인간이 아닌 '사신'이라고 깨닫는다. 인간의 삶을 알게 되면 사신의 일을 더이상 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사신들이 우리들 삶에 조금만 더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 죽어야 할 사람들이 좌절감에 내뱉는 말보다 그들이 지금까지 살아온 삶을, 그들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의 말을 들어주길 바란다. 분명 그들에게도 행복했던 시간이 있었을 것이다. 행복했던 한 때의 시간으로 인해 살아갈 힘을 얻는다는 것을 그는 아니 사신들은 왜 이해하지 못하는 걸까. 몇 천년이 지나도 치바는 결코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