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에서 내리지 않는 무사 1
허영만 지음 / 월드김영사 / 201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책 표지를 보고 '엇, 칭기즈칸의 이야기인가?' 짐작했다. 최근에 읽은 김형수의 '조드'에서는 테무진의 삶을 영웅이 될 이야기에 촛점을 맞춘 것이 아니라 12~13세기 몽골에서 일어난 일들과 함께 그 속에서 살아내야 했던 테무진의 이야기를 담고 있었다. 어떻게 보면 영웅으로 태어난 것이 아니라 영웅으로 만들어졌다 할 수 있는 삶들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나 허영만의 '말에서 내리지 않는 무사'는 예언에 의해 이미 테무진이 어떤 인물이 되는지 이야기하고 있다. 물론 결론은 같을 것이다. 영웅이 될 것이다 예언이 되어 있든, 그렇지 않든 테무진의 삶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결말을 맞을 것이고 그 과정 또한 변하는 것이 없을 것이나 지금까지 읽어왔던 당연하게 생각했던 영웅들의 이야기보다 사랑하는 사람을 그리워하고 가족을 위해 목숨을 바쳐 싸우는 테무진이 대몽골을 정복할 텡그리 신의 아들이 되기까지 어떤 삶을 살아가는지 알게 되는 즐거움이 더 클 것이다.

 

부르테를 좋아하는 자다란족 수장의 아들 자무카의 모습은 테무진의 모습보다 더 멋져 보인다. 이들이 순정만화 속의 등장인물들이었다면 독자들은 자무카와 부르테의 사랑에 더 큰 기대를 하며 지켜보겠지만 냉혹한 세상은 자무카에게 자신이 사랑하는 부르테의 마음을 얻을 기회를 주진 않는다. 세상을 통치하는 능력을 가진 자무카의 당당함은 사랑하는 여인 부르테 앞에서 작아지지만 부르테의 사랑을 받는 테무진을 시기하여 질투하기 보다는 부르테의 바람대로 테무진과 의형제를 맺어 세상을 함께 바라본다. 허나 대몽골을 정복할 텡그리 신의 아들이라는 예언을 받은 테무진과 몽골 제국을 통치할 욕심을 가진 자무카가 오랜 세월 함께 같은 곳을 바라보지는 못할 것이다. 태생부터 선택되어질 수 밖에 없는 테무진과 그렇지 못했던 자무카는 이미 그 싸움의 승패가 어떻게 될지 예정된 수순을 밟게 되겠지만 자무카는 현재 테무진에게 초원에서 살아가는 데 도움을 주는 없어서는 안될 조력자가 된다.

 

아버지 예수게이가 죽고 난 후 테무진은 그의 배다른 형 벡테르의 견제를 받는데 테무진을 증오하는 벡테르가 그에게 어떤 존재가 될지 눈 앞에 그려볼 수 있을 정도로 그 증오심은 대단하다. 벡테르가 증오심을 가질 정도로 테무진은 예수게이에 의해 철저하게 그 정통성을 인정받으며 자랐고, 아버지의 사랑을 듬뿍 받을 수 있었다. 꼭 그렇게까지 해야할까 싶을 정도로 벡테르를 대하는 예수게이의 행동에는 애정을 느낄 수가 없었다. 테무진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벡테르를 왜 그리 대했는지 모를 일이다. 테무진보다 먼저 낳은 벡테르를 인정하지 않고 테무진이 그의 후계자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겠지만 한 명의 적만 키운 셈이다. 그러나 벡테르는 그리 큰 위협은 되지 않을 것이다. 테무진보다 나이가 많은 것으로 어린 시절 힘으로 제압하려 했을 뿐 영웅을 알아보는 눈이 없었던 탓에 자신의 감정을 다스리지 못할 게 뻔하기 때문이다.

 

예수게이가 더 오래 살았다면 테무진의 삶은 지금과 많이 달랐을 것이다. 많은 역경들을 딛고 부족에 의해 칭기즈칸에 추대되었던 일이 지금보다 더 빨라졌을지도 모르나 훗날 사람들이 그에 대해 기억하는 많은 것들은 다르게 평가 되었을 것이다. 우리들은 사랑도, 권력도 쉽게 얻는 사람보다는 수많은 역경들을 딛고 영웅이 되는 모습을 기대한다. 라이벌인 자무카와의 싸움, 그리고 부르테의 사랑을 얻기까지 테무진에게 어떤 일이 있을 것인지 지켜보는 즐거움은 누구에게도 빼앗기고 싶지 않을 정도로 흥미진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