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라는 단어는 말을 내뱉기가 무섭게 그 그리움에 묻혀버려 속울음을 울게 만드는 힘을 가진다. 결혼을 한 후 나에게도 새로운 가족이 생겼지만 피를 나눈이들과 떨어져 생활한다는 외로움에 얼마나 서러웠던지 목놓아 울었던 적이 있었다. 그 땐 결혼식 날짜가 정해지고부터 늘 어머니에게 고마움과 미안함을 느꼈던 시간이라 행여 눈물이 날까 "엄마"라는 단어조차 뱉는 것이 힘들었었다. 그래서일까. 신경숙님의 "엄마를 부탁해" 책 제목을 가만히 들여다 보고 있으면 어김없이 내 어머니의 모습도 함께 떠오른다. "엄마"라는 말은 그렇게 모든이들에게 그리움을 느끼게 하나 보다.

 

서울로 오는 지하철을 탈 때 아버지를 놓친 엄마는 그 때부터 실종이 된다. 어디에 계신지 가실만한 곳을 알 수 없어 더 힘들어했던 가족들, 이제 그 가족들이 엄마와 함께 했던 기억들을 더듬으며 당신의 부재를 못견뎌하며 서로의 가슴을 할퀴고 독자들과 함께 눈물짓고 애타게 '박소녀'라는 이름을 가진 한 여인을 찾아 다닌다. 내가 읽은 대부분의 소설들은 주인공이 화자가 되어 이야기를 하거나 '나', '그', '그녀'로 이야기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책의 화자는 가족들을 '당신', '너'로 지칭하며 그들을 바라보는 입장에서 서술하고 있어 조금 생소하게 다가온다. 가끔 누구를 가리키는지 알 수 없어 혼란스러울때가 있었지만 오히려 엄마의 시각으로 이야기가 진행되고 있는 것 같아 더 애달프고 슬프게 느껴지기도 했다.

 

솔직히 나는 나의 '엄마'에 대해 이야기 할 것들이 많지 않다. 지금 생존해 계신데 어린시절 돈을 벌러 나가셔서 외할머니의 손에서 자란 동생들과 나는 남동생을 귀히 여기는 외할머니의 차별을 심하게 받았고 대부분의 '엄마'에 대한 기억은 집 안에서 자주 볼 수 없었다는 것과 '엄마'로 다가오기 보다는 늘 예쁘게 꾸미고 다니며 '여자'로 사시길 원했던 모습이 내 기억속에 각인되어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글속에 '엄마'를 그리워하는 가족들의 '엄마'에 대한 기억에 나는 시기심을 느끼고 그저 부럽기만 하다.

 

'박소녀', 이름처럼 소녀처럼 살고 싶었던 그녀, 문풍지를 다시 붙일때면 단풍잎을 아이들에게 가져오라 하여 예쁘게 문풍지에 바르던 낭만을 가졌던 '엄마'. 그녀에게도 마음을 주고 기댔던 남자가 있다는 것은 그녀 자신의 독백으로 알게 되어 조금 놀라게 되지만 오히려 살아오면서 남편의 무심함을 이은규, 그가 대신했었다는 생각에 두 사람이 함께 살진 못했어도 그녀가 평생을 외롭게 헛살지는 않았구나 하고 나를 위로하게 된다.

 

그녀가 가족들의 곁으로 돌아오게 될지, 궁금하여 책장에서 손을 뗄 수 없었던 시간, 끝내 나를 울려버린 가족들의 고백과 박소녀, 그녀의 독백들. 결말을 명확하게 "이렇다"고 말하진 않지만 충분히 짐작해 볼 수 있어 눈물이 나고 가슴이 더 아프다.

 

가족들과 함께 한 소중한 기억들을 잊어가는 '엄마'의 이야기는 드라마나 영화 등 어디든 등장하는 소재라 슬프고 눈물이 흐르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혹자는 주제의 참신함과는 거리가 멀다고 말할지 모르지만 이런 모습들이야말로 내가 살고 있고 많은이들이 살고 있는 현실이라는 점에서 공감하며 책장을 넘기게 한다. 이렇게 '엄마'를 그립게 하고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가슴 아프게 만들 수 있는 책들은 이때껏 만나지 못했다. 평범한 일상을 소중하게 바꿔 버리는 작가의 글에 가슴이 먹먹해지는 아픔을 느끼며 눈물이 앞을 가려 문장들이 보이지 않는 시간들을 보낼 수 있어 행복했다. 오랫동안 이 감정이 사라지지 않고 남아 있기를, 그래서 나의 '엄마'에 대한 기억들을 이제라도 하나씩 쌓아나갈 수 있는 시간들을 많이 가질 수 있기를 희망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