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리 깊은 나무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어려움에 명의 눈치를 살피는 작은 나라 조선이 목숨까지 걸어야 했는지 몰랐다. 그저 학교 다니기전에 "가나다라"를 배웠고 모국어이기에 어려움 없이 글을 쓰고 책을 읽었을 뿐이었는데 훈민정음을 만들고 널리 반포하기 위해 피를 흘려야 했음을 이제야 알았다. 이 책을 읽어가면서 왜이리 어려운지 한장 한장 책장을 넘기는 것이 힘들었는데 어느새 나는 명을 대함에 있어 조선의 위치가 어떠했는지 고개를 끄덕이며 읽고 있었다.

 

첫번째 장성수가 죽고 범인을 쫓아가는 강채윤은 그가 죽으면서 움켜쥐고 있었던 옥단추의 주인인 윤필을 의심했었으나 그마저 두번째 살인 대상이 되고 말았다. 살인사건은 계속 일어나고 첫날 숙직이던 겸사복 강채윤이 이 사건을 계속 파헤치게 된다. 강채윤은 반인 가리온의 검시와 살인사건이 일어난 장소에 뿌려진 증거들로 범인의 가까이에 다가가게 되는데 장성수가 죽은 자리에 있던 그림, 그것이 마방진이란 것을 알게 되고 장성수와 윤필이 마방진의 해답을 잘 풀어낼 수 있는 궁녀 소이와 관계가 있음을 알기에 이른다. 솔직히 살인사건이 일어날때마다 산학이니 마방진이니 집현전 학자들에게 물어서 범인을 쫓는 강채윤을 나의 짦은 식견으로는 도저히 따라갈 수가 없다. 그가 이순지나 성삼문에게 묻는 물음들조차 이해 불가다.

 

이렇듯 독자가 이해하기 힘든 살인사건을 파헤치는 일에 어느새 지쳐버린다. 계속 살인이 일어나고 살인의 배후는 찾아질길 없는 증거를 찾는 건지 집현전 학자들에게 학문을 배우는 것인지 알 수 없게 되 어 버렸을때 도저히 난해하여 책을 놓고 싶어질때 불현듯 적의 얼굴이 드러나니 그 사람은 대제학 최만리였다. 이제 좀 흥미가 생긴다. 끝까지 가도 범인의 얼굴을 볼 수나 있을지 의문이었는데 이렇게 나서주다니 팔에 문신이 있는 사람들이 하나둘 죽어갈때 성삼문이나 이순지는 그 다음 희생자가 누가 될지 누가 적인지 모두 알고 있는 듯 했으나 우직한 강채윤이 이 일에 관련되어 희생될까보아 함구한다. 그러나 강채윤은 점점 진실에 다가가는데....

 

세종의 훈민정음을 창제하려는 뜻은 알겟다. 우리의 땅에서 우리의 말과 혼을 가지고 살게 하고 싶은 열망, 이것이 목숨도 버리고 임금을 따르게 하는 구심점이 되겠지. 그러나 "고군통서"의 존재는 기이하다. 이 책에 명에 대한 사대주의 사상을 버리고 주체적인 마음을 드러냈다고 해도 이것을 신하들이 돌려가며 숨기고 지켜야 할 이유가 있었을까. 훈민정음속에 숨겨진 놀라운 사실들과 동떨어진 일이 아닌지. 훈민정음을 만들고 반포하기까지 반대파들이 모르게 숨겼다면 이해할 수 있으나 "고군통서"를 둘러싸고 임금까지 없애려 드는 사람들을 이해할 수 있는가. 이 책이 명나라에 들어가면 훈민정음 창제를 막을 수 있다는 말이겠는데 솔직히 이 두가지 사건의 연결점을 찾지 못해 혼란스럽다.

 

임금을 대신해 죽은 무휼, 20년전에도 임금을 대신해 다른 사람이 죽지 않았던가. 백성들을 사랑하는 군왕의 마음이 이 땅의 백성들이 쓸 수 있는 언어를 만들었다는 것은 그 시대에 참으로 대단했다는 것을 알지만 세종이 세자빈의 몸종이던 벙어리 소이와 세자빈과 궁인들을 모아놓고 훈민정음에 대한 가르침을 주고 말 못하던 소이가 말이 트일때는 사실 너무 억지스럽다고 느꼈다. 훈민정음이 말못하는 벙어리도 말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인냥 보여주는 것 같아 내 나라 내가 쓰는 언어가 대단하다 자부심을 가지고 있긴 하지만 전혀 실감이 나지 않는 것이다. 임금이 이 땅의 백성들을 위해 지켜야 할 것은 무엇이었는가. 채윤을 통해 지키고자 했던 "고군통서"는 그렇게 가치가 있었는가 잘 모를 일이다.   

 

범인을 일찍부터 드러내어 이상하다 했었지만 이것이 반전일줄이야. 하지만 윤필의 옥단추를 왜 장성수가 지니고 있었는지 죽은 사람들이 어떻게 죽었는지에 대한 내용은 자세한 설명이 없기에 그저 큰 문제들에 대해 범인만 가려낼 뿐이라 좀 부족한 듯 보인다. 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었다면 좋았을텐데 참으로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