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심 - 상 - 파리의 조선 궁녀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파리에 있어도 혼자 감내하며 외로움을 겪어야 했고 고국에 돌아왔어도 그녀는 홀로 외로움을 삼켜야했다. 김탁환님의 "리심"을 사 놓고도 손을 대지 못한지 거의 1년이 다 된 것 같다. 신경숙님의 "리진"이 나오고서야 아~내가 이제야 그녀를 만나야할 시간을 더 늦추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바쁘다는 핑계로 프랑스, 일본, 탕헤르 그리고 고국에서조차 냉대를 받았던 그녀를 나 또한 외롭게 해 버렸으니 미안한 마음으로 책장을 넘겼다.   

"파리의 조선궁녀 리심" 이 제목만으로도 충분히 호기심을 느끼게 한다. 호기심. 이렇게 표현한 것을 만약 리심 그녀가 들었다면 파리에서 '노란원숭이'라며 부랑자 취급을 받을때보다 더 슬프다고 말하겠지. 조선에서 최초로 유럽 땅을 밟은 여인, 아마 궁녀의 신분으로 프랑스 외교관 빅토르 콜랭과 동행하여 먼 곳으로 간 궁안의 궁녀들이나 뭇 여성들이 얼마나 질시하고 부러워했을까. 하지만 지금 시대에도 동양인이라는 멸시를 받는데 그때야 홀로 맞서야 할 벽을 아무리 깨려고 해도 자신의 몸만 부서졌을 것이다.  

궁안의 여인들은 모두 임금의 여자다. 하물며 성은을 입은 궁인이야 말해 무엇할까. 어린 시절 야소교를 믿는 어미에게 버림 받고 궁안에 들어간 그녀에게 닥쳐오는 것은 늘 죽음의 그림자였다. 어미의 끼를 물려받아 춤이며 노래에 재주를 지녔으되 춤만 추며 살고 싶다는 그녀의 바램을 이루기엔 많은 역경이 도사리고 있고 언제나 리심을 살려준것은 중전이었다. 내명부를 관장하는 그녀의 손짓 하나에 목숨이 왔다갔다 하는 바 임금의 성은을 입고 어둑한 골방에서 임금을 맞아들였을때 오로지 임만 생각하며 죽음도 두렵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연유도 모른채 궁에서 내쳐질때 자신은 그저 임금이 버리면 버려지고 취하면 취해지는 그런 존재라는 것이 얼마나 가슴 아팠을까. 비록 빅토르 콜랭의 사랑하는 마음으로 그에게 가게 된 것일지라도 그땐 이미 마음이 다른이에게 있었으므로 사는 것이 지옥 같았을 것이다. 

한걸음 아니 반걸음만 잘못 디뎌도 천길 낭떠러지로 떨어질 수 있는 위태위태하던 그 시절. 비록 중전의 책략으로 빅토르 콜랭에게 간 그녀이지만 그의 지극한 정성에 마음을 열고 홀홀단신 혈육 하나 없는 곳에 가게 된다. 물론 드러나지 않는 조선의 외교관 신분으로 말이다. 인정된 신분은 아니나 꺼져가는 조선의 미래를 위하여 중전이 리심의 인생을 만든 것이다. 비록 타인에 의해 주어진 삶이지만 자신의 인생을 개척해 가는 그녀. 어디에서도 자신을 드러내고 우뚝 서 보이며 그렇게 성장해 나간다. 많은 것을 보고 배우고 조선에서 아이들을 가르치길 원하는 그녀이기에 아이를 잃어 슬픔에 잠기고 타국의 문화를 더 배우지 못한 것이 후회스러울 지경이다. 

중전이 살아있었다면 리심의 인생이 또 달라졌을까. 중전이 죽고 다시 조선으로 부임한 빅토르 콜랭을 따라 조선으로 온 리심에게 기다린 것은 정치적인 희생뿐이었다. 귀신이 장난을 친 것도 아니요 그저 사람의 인정에 따라 행해진 무시무시한 정책. 그래 난 이것을 부와 명예를 쥐고 놓기 싫어하는 한 인간에 의한 희생이라고 말하고 싶다. 조선인 아내를 인정하지 않은 파리, 타인에게 아내라고 소개하지만 결코 인정받지 못해 세상에 독신으로 알려져있는 빅토르 콜랭. 그는 사랑을 위해 외교관이라는 자리를 내 놓을 정도로 열정적인 사람이 아니다. 외교관 자리를 지키고 그저 옆에 리심을 두고픈 딱 그정도의 인간인 것이다. 누굴 탓하랴. 

"첫정을 준 임에게세 자신을 뺏아 오더니 이젠 나를 버리는구나". 하지만 이미 그녀는 더이상 조선의 궁녀도 아니요 그저 리심 자신일뿐이다. 그 누구의 것도 아닌 리심 자신인 것이다. 빅토르 콜랭에게 자신을 줬다 하여 다시 거둬들이는 임금에게 "난 그누구의 것도 아니다"고 이야기 하다니. 정말 많이 변했다. 고종의 눈에는 역적으로 분류해도 부족하지 않으리라. 조선은 제국주의가 아닌 공화정이 되어야 한다고 당당하게 주장하는 그녀가 그래서 책을 읽는 동안 내내 조마조마했다. 궁녀였던 그녀가 아무리 나는 나일뿐이라고 주장한들 그땐 평등이라는 개념이 없던 시대가 아니었나. 그러나 그녀가 선택할 수 밖에 없었던 인생을 난 비난할 수가 없다. 무엇보다 치열하게 살고 조국을 생각하는 마음이 간절했으므로 서로의 이해관계에 따라 살아갔던 그 시절 사람들중에 하나였던 빅토르 콜랭도 선택을 다시 강요받는다고 해도 그녀를 잡지 않을테니까. 나 또한 그녀가 훨훨 푸른연처럼 하늘을 날아가는 모습을 그저 바라볼 수 밖에 없음을 잘 알기에 그녀의 삶이 그저 슬프게 다가올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