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이솝우화 호시 신이치의 플라시보 시리즈 1
호시 신이치 지음, 윤성규 옮김 / 지식여행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어렸을적 부모님께서 많은 책들을 읽어주셨는지 사실 기억이 나지 않는다. 하지만 집에 손님이 오실때면 부모님께서 추억담을 하나씩 풀어놓으실때 책 위의 신발 그림에 내가 올라서서 신으려고 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책을 많이 사 주셨나보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그때 보다는 조금 자란후 신데렐라, 백설공주 등 왕자와 공주가 나오는 행복한 동화책을 본 기억이 더 생생하다. 어른들이 말씀하시길 잘 먹고 잘사는게 제일 좋다고 말하시니 아마 동화책을 보면 권선징악, 행복한 결말의 장치들은 다 가지고 있어 아이들에게 알게 모르게 악을 행하지 못하게 하거나 백마탄 왕자님 내지는 아리따운 공주에 대한 환상을 품게 하는 것 같다.
 
그래서인가. 이 책은 좀 황당하다. 제목이 미래의 이솝우화라고 되어 있어 나름 추리소설인가? 어떤 이솝우화가 있으려나 고민을 좀 하고 펼쳤는데 흔히 알고 있는 이솝우화를 현대판에 맞게 각색하여 보여주거나 사회문제를 우스개 소리로 녹여낸 그런 책인것 같아 조금 놀랬다. 신데렐라가 그냥 왕자님과 행복하게 잘 살았다로 끝이 맺어졌다면 좋았을텐데 이 책에 있는 그 뒷이야기는 흔히 드라마에 등장하는 자기 자식을 너무 귀애한 나머지 며느리를 들이는 일에 음모를 꾸미는 그런 인물로 그려진다. 이웃나라가 전쟁을 준비한다는 거짓말을 하여 왕의 사랑을 계속 받으려 노력한다거나 역시 아들이 신분이 평민이 여자를 좋아하니 둘 사이를 갈라놓는 행위는 드라마를 통해 자주 접하는 인물인 것이다. 겉으로 보면 행복하게 잘 살았다로 보여질 신데렐라. 그러나 그녀도 현실과 적당히 타협하며 아주 인간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개미와 베짱이 이야기는 또 어떤가. 먹고 살기 막막한 베짱이가 개미들의 신세를 지게 되는데 발효된 술을 발견하여 개미에게 권하니 술 문화로 인해 일하는 것을 잊고 살게 된 개미라. 참 작가의 상상력의 끝은 어디까지인지. 그러나 현대판 유머를 읽는 듯 조금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하지만 부정도 못하는 현실. 그래, 있을법한 일이기에 긍정하면서 읽게 되는 것이다. 정말 핑크빛 사랑이야기나 행복만이 존재하는 세상은 없지 않을까. 희노애락이 버무려진 힘든 현실이 우리가 겪고 있는 지극히 정상적인 세상일테니까. 인간들이 해야할 일이 점점 줄어들고 기계로 대체되고 있는 상황. 기억력이 떨어지는 N씨가 로봇비서를 제조하는 것은 참 웃고 넘기기에는 많은 의미로 다가온다. 세상이 그렇게 바뀌어가고 있으니 말이다. 여기 자주 등장하는 N씨. 동일인물인가. 또 다른 인물인가 잠시 고민 해 봤다. 아마 나의 모습일수도 있고 내 가까이 있는 사람들의 모습일수도 있을 것이다. 
 
속시원히 터트려주는 기폭제 역할을 하는 책. 아마 이것이 이 책의 매력이 아닐까. 바보 같지만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늘 부산스러운 N씨의 모습이 책을 덮은 지금 내 머릿속에 오래도록 남아있다. 왜? 미래의 내 모습인 것 같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