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나는 학교에 간다
오토다케 히로타다 지음, 전경빈 옮김 / 창해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몇년전 "오체불만족"을 읽었었는데 어느새 세월이 흘러 초등학교 선생님이 되었다니. 나는 그 사람을 잊고 살았는데 그동안 얼마나 삶을 알차게 살고 있었을까. 이 책을 보면 알게 된다. '장애'가 있다고 특별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이 정말 싫었을 오토다케. 그저 똑같은 사람일뿐이라고 외치고 싶었을 것이다. 이것은 '개성'이 아닌 키 작은 사람, 키 큰 사람과 같이 그저 표현되는 모습일뿐이라는 것을 말이다. 아마 남보다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긴 한다. 하지만 꿈을 이루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면 누구나 안될일이 없다는 것을 오토다케의 모습을 통해 알게 된다.  

어떻게 살아왔는지 책을 읽으면서 '난 왜이렇게 사나?'하는 푸념과 반성은 하지 않으련다. 그건 그가 원하는 일이 아닐 것이다. 동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일테니 말이다. 이 책에서는 초등학교 선생님이 되기까지 자기 인생의 밑그림을 어떻게 그릴것인가를 고민하고 방향을 잡기까지의 과정이 그려지고 그가 바라보는 일본의 교육현실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살아가면서 내가 해야할 일이 무엇인가 고민을 많이 한다. "아~이것이다"라고 생각되어도 많은 시행착오와 좌절을 겪게 되는데 정말 내 길임을 알고 한계단씩 밟아 올라가게 되는 사람은 행운아라고 말해주고 싶다. 자신이 원하고 해야만 하는 끌림이 있는 일을 찾기란 하늘에 별따기만큼 힘들테니까. 그래서 이 책의 저자가 부럽다. 

일본의 교육현실을 보면 우리나라와 많이 흡사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정책적으로 아이들을 배려하는 모습은 우리나라가 아직 따라가기에 버겁지 않은가 하여 부럽기까지 하다. 등교를 거부 하는 아이에게 '슈레'와 '쇠뜨기 교실'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제일 부럽다. 규칙에 얽매이는 학교란 곳은 모든 학생들에게 맞는 이상적인 곳은 아닐테니 그 곳에 맞지 않은 아이가 학교에 가기 싫을 때 자유롭게 다닐 수 있는 '슈레'와 '쇠뜨기 교실'은 강요만 하는 사회에서 숨을 쉴 수있는 아이들만의 공간이라는 생각이 든다. 나 또한 학교가 가고 싶다하여 다닌 기억은 초등학교 뿐이었으니. 학교를 생각만 해도 숨이 막히는 일부 학생들의 감정에 대해 동감할 수 있다.  

질문을 던졌을때 손을 들고 발표하기가 꺼려지는 곳, 있는 듯 없는 듯 그림자처럼 지내길 바라는 아이들의 공간인 교실에서 아이들 하나 하나의 개성은 물론 자존감마저 죽어가는게 아닐까. 수업종이 땡~울리자 '하하호호' 시끌시끌 떠들며 인사하는 아이들을 바라보는 오토다케의 마음이 혼란스러웠을 것이다. 그곳에 있는 학생들에게  "오토다케 선생님께 배울 수 있어서 참 행복하다"는 말을 듣고 싶은 마음 또한 진하게 와 닿으니 나도 멀리서나마 "힘내라"고 응원하고 싶어진다. 턱, 왼팔에 분필 끼워 아이들 가르치겠다는 그 열의라면 아이들에게 분명 인생을 가르쳐 줄 수 있을 것이다. 

학창시절 훌륭한 선생님께 공부를 배우고 인생 또한 가르침을 받았지만 오토다케 선생님과 함께 하지 못해서 너무 아쉬운 생각이 든다. 오토다케 선생님과 함께 하는 아이들은 자신의 인생을 좀 더 풍요롭고 멋지게 꾸려 나갈 수 있는 자신감을 갖게 될 것임을 오토다케 선생님의 글을 통해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나라의 기둥이 될 아이들에게 꿈과 용기와 희망을 주는 오토다케 선생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