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찾아 떠난 소년
마티외 리카르 지음, 권명희 옮김 / 샘터사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읽는 내내 파울로 코엘료의 "연금술사"가 생각났다. 양치기 소년 산티아고가 보물을 찾기 위해 떠나는 여정이 힘든 현실을 견딜 수 있는 힘이 되어 주듯 부탄의 작은 시골 마을에서 태어난 데첸이 속세를 떠나 향하는 곳 "눈의 왕국"은 마음의 보물을 간직 한 곳으로 생각된다. 신비로운 느낌을 가진 하얀 눈이 쌓인 곳. 눈에 그리는 것 만으로도 눈 속에 파 묻혀 나 자신을 숨길 수 있을 듯 하다. 번민을 벗어버리고 자연과 하나가 될 수 있는,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곳일지도 모른다. 영혼이 맑은 사람만 보이는 곳이랄까. 그런 느낌이다.

아직 어린시절에는 불행이란 것이 무엇인지, 그저 내가 하고 싶고 갖고 싶은 것을 못가지게 되면 기분이 우울해져서 땅이 꺼져라 한숨을 쉬는게 제일 큰 불행인 줄 알았다. 현대의 풍부한 물질과 갖가지 색색가지의 진귀한 것들이 눈에 보이는 이곳을 떠나 수양을 하거나 은거한다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았는데 지금은 각박한 현실을 벗어나 훌쩍 떠나고 싶은 생각이 드니 나이가 많이 들었는 모양이다. 아직도 왜 내가 이 세상에 내려왔는지 그 해답을 찾지 못하고 그저 주어진 생명대로 앞으로 나아갈 뿐인데 이 곳으로 가면 그 해답을 받을 수 있을까.  

내가 움켜진 것들을 버리지 않고서는 무엇도 담을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데첸을 따라 험난한 여정을 가다보면 피부에 들러붙는 징그런 거머리도 상대해야 하고 위험한 통나무도 건너야하는데 잠자는 것도 하늘을 이불 삼아 자야하거늘 편리한 문명을 뒤로 하고 따라가는 것 또한 쉽지 않은 일이다. 아마 한 발 내딛자마자 못하겠다고 돌아가 버릴 것이다. 이처럼 나약한 나의 모습. 그나마 데첸의 눈과 마음을 통해 삶의 본질에 조금 가까이 다가간 듯 하니 고마운 일이다. 

사물 하나도 그냥 바라보지 않고 깨우침을 받고자 하는 사람들의 영혼은 참으로 맑다. 내가 감히 범접할 수 없는 광채를 품은 그들을 통해 나의 영혼도 아주 조금이라도 맑아지길 소원한다. 데첸의 끝없는 수양의 길로 그리고 그의 스승 독덴 린포체의 가르침을 통해서 삶은 "무지개" 같은 것임을 알아간다. 공간속에서 빛나고 있으나 그 자체로 존재하고 있는 듯 하나 어느 순간 흔적도 남기지 않고 사라져 버리는 것. 삶이든 사람의 마음이든 조석으로 변하기에 견고하지 않아 무지개 같다는 말이 왜이리 가슴에 남는 것일까. 시시각각 변하는 내 마음을 나도 모르겠으니까. 기댈 곳이 필요해서 그런 모양이다. 오랫만에 가슴이 따뜻해지는 책을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