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그곳은 아름다울지도
야콥 하인 지음, 배수아 옮김 / 영림카디널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세상의 어머니들을 향한 '아들로서의 삶'을 이야기 하지만 '부모님을 향한 자식의 마음'이라고 덧붙이고 싶다. 이 책은 현재와 과거를 왔다갔다 하면서 회상하는 장면이 주를 이룬다. 나의 어린시절 꿈을 가지고 있는 어머니의 젊은 모습을 그려봄으로써 현재 어머니가 내 곁에 안 계시다는 것이 절제된 슬픔으로 더 간절한 아픔이 되어 다가온다. 두서없이 연결되는 이야기로 인해 완벽하게 빨려드는 느낌은 없으나 어차피 삶이란 것은 내가 비록 몸은 현재에 있으나 생각은 늘 과거 언저리에 맴돌고 있을 때가 많으므로 오히려 더 사람 냄새가 나는지도 모른다. 요즘은 누가 아프다고 하면 '암'인 경우가 많다. 무시무시한 죽음의 선언같은 느낌. 지금보다 더 오래된 그 시절에 '암'이라는 것은 내 가족을 데려가는 죽음의 사자 같은 느낌이었을 것이다. 

죽어가는 사람에게 "어쩌면 그곳은 아름다울지도 모르잖아여. 아직 돌아온 사람이 없는 것을 보면"이라고 이야기 하는 어머니의 모습은 죽음을 그저 끝이 아닌 그 상태 그대로 보며 담담하게 이야기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누구나 알고 있을 것이다. 죽어서 다시 돌아오지 않는 것은 그 곳이 아름다워서가 아니라 돌아오고 싶어도 돌아오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이다. 죽음은 내가 아는 세상 이 곳에서는 마지막임을 그러나 다른 세상이 있을 것이라고 믿고 싶기에 어떤 곳인지 모르기에 그 생이 이어져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 한구석에 내재 되어 있을 것이다.  

치료중인 어머니가 행여 잘못 될까, 거기에 집착하는 마음을 버리는 그. 오로지 아무일 없는 듯이 담담하게 뱉어내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은 평소와 다름을 인정하고 싶지 않은 마음일 것이고 내가 집착함으로써 어머니를 잃게 되지 않을까 두려운 마음일 것이다. 평범한 가족이야기 같지만 어머니의 어머니 외할머니의 유대인으로 살기 위한 모습, 남편을 기다리는 모습은 그 시대의 독일 모습을 보여준다. 음지에서의 모습이지만 그 곳에도 생명이 있고 '삶'이 있다. 

어머니를 생각하게 되면 보통은 현재의 어머니를 생각하게 된다. 어머니도 과거의 시절이 있고 세상이 빛나던 시절이 있었을 터인데 내가 기억하는 모습만 떠오를 뿐. 그래서 화자가 되어 이야기하는 '아들'의 눈을 통해 본 어머니의 모습은 나 또한 내 어머니의 젊은 시절을 그리게 만들고 자식들에게 헌신하는 모습이 아닌 '나'로서의 인생도 있음을 인정하게 된다. 자식으로서 어머니에 대해 추억함은 아름다워 보인다. 소중한 사람이 떠나가도 세상은 그대로여서 그래서 더 슬프지만 언제까지나 어머니는 그 모습 그대로 내 안에 남아있으므로 괜찮다.  

정말 아쉬운게 있다면 슬픔을 밖으로 내뿜을 수 있는 책이길 기대했는데 그렇게 되지 않는다. 그 속에서 공감하는 것이 아닌 완전 타인의 입장에서 가족사를 보는 듯 하다. 책 내용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결 되었다면 오히려 공감하고 다가오는 것이 많았을까. 이렇게 너무 뒤죽박죽이 아니었다면 더 좋았을 것이란 생각이 들게 하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