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년 - 여자로 태어나 미친년으로 진화하다
이명희 지음 / 열림원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책 제목을 볼 때나 누가 나에게 무슨 책을 읽냐고 물었을 때 대답을 듣고는 깜짝깜짝 놀라게 되는 책 "미친년". 볼 때마다 왜 이리 적응이 안되는 것인지. 이 말이 욕이라는 인식과 함께 내뱉어서는 안되는 금기어라는 생각 때문일 것이다. 거리에서 머리쥐어 뜯으며 싸우는 사람이나 머리에 꽃 꽂고 먼 곳을 응시하는 여인네에게 붙이는 이름이 이것일텐데 어찌 평상시에 뱉을 수 있을까. 그런데 책에서 속시원히 부르짖는 '미친년' 나까지 뚫린 속에 시원해진다. 

"여자로 태어나 '미친년' 소리를 듣는다는 건 자신의 길을 열심히 살아왔다는 진화의 증거이다" 

나와는 다른 인생, 남들이 그어주는 세상잣대로 살지 않고 내 가슴으로 원하는 길을 간 사람들에게 뒷담화에서 말하는 '미친년'소리는 그래, 부러워서 내지르는 소리가 더 많을 것이다. 그 사람처럼 되고 싶은데 안되니까 그저 타인들과 함께 서서 손가락질을 하는 못난 용기없는 내가 지르는 함성이 '미친년'인 것이다. 책을 읽으면서 곰곰히 생각해 보니 그렇다. 화가 나서 상대방이 싫어서 내뱉는 말 이외에 이렇게 던질 수 있는 상황은 어떤 것이 있을까.  

여자의 적은 여자라지만 이것도 남성들이 만들어 놓은 덫이란다. 우뚝서기 위해 꼭 여자를 눌러야 했을까. 여성이 남성을 능가하게 될까 두려웠나 보다. 아홉 명의 아홉 가지 인생 모토는 나에게 꼭 인생수업을 들려주는 것 같다. '페미니스트' 솔직히 이 말이 무슨 뜻인지 잘 몰라서 사전을 뒤졌다. 남성, 여성이 아닌 그냥 사람, 인류로 바뀌는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 집안 말아 먹을 년, 왜 태어났는지도 모르게 학대받는 여성들이 일어섰으니 모두들 '미친년'이라고 한번씩 들어본 사람들의 이야기들이다. 불행한 삶을 떨쳐내고 인류를 이야기 하는 그들의 세상을 듣고 있노라면 '미친년'이라는 말은 욕이 아님을 나도 한번쯤 들어봐야 인생을 알 수 있음을 느끼게 된다. 뭐 솔직히 듣는다면 아마 바로 달려들거나 마음에 상처을 받을지도 모르지만. 

'이브 엔슬러'의 말처럼 가슴을 압박하는 브라를 벗어던지고 당당하게 거리에 나설 수 있을까. 못한다. 바로 정신나간 여자, 미친년 소리를 들을 것이다. 답답하지만 가슴을 이쁘게 모아주는 브라를 하지 않는다면 아마 여자를 포기하는 행동이라고 생각하겠지. 내 몸은 무엇인가? 그냥 왔다가는 인생이 아닌 오로지 나 자신만을 위한 인생을 살아간다면 과감하게 벗어던져야 할 일이건만 남성을 기쁘게 하기 위해 그리고 인생을 풍요롭게 하기 위해 잘난 남자를 잡아야 한다는 말들로 인해 나의 존재를 부정하고 그저 남자를 위한 인생을 살아왔음을 정말 뼈져리게 느끼게 한다. 그러나 난 이들처럼 살지 못한다. 세상이 그어준 길대로 가기 때문이다. 

완경에 이르렀을때 나무껍질처럼 주름이 한가득한 내 몸을 당당하게 보여 줄 수 있었음 한다. 세월이 흐름에 따라 하나씩 늘어나는 주름을 타인에게도 보여 줄 수 있는 삶을 살기 위해 노력하고자 한다. 늙어감으로 생기는 우울증은 세상이 만든 기준일 뿐이니까. 이쁘고 날씬한 여자들이 사랑받는 사회에서 쭈글쭈글한 주름을 가지고 살아간다는 것은 참 힘든 일일게다. 하지만 그녀들이 아름답다. 멋지게 늙어가는 그들이 아름다운 것이다. 원죄를 가지고 태어났다는 여성들. 나도 그중 한명이지만 이제는 어깨 구부리지 않고 당당하게 내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 같다. 여성, 남성이라는 성별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지만 부당한 대우를 받을 이유는 없으니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