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을 보내고
권현옥 지음 / 쌤앤파커스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집에 커다란 박스의 나만의 공간이 있다. 그 곳에는 언제부터인지 모르지만 아주 어릴때부터 모아둔 편지들이 모여있다. 누렇고 퀴퀴한 곰팡내마저 나지만 가끔 박스를 열어볼때면 아련히 나의 기억은 추억속을 헤매이고 있었다. 멋모르고 철모르던 시절의 내 젊음이 담겨있으니 나의 보물인 셈이다. 연애할때 받은 편지도 한가득인데 아직 남편은 모른다. 혹 열어보면 "왜 열어봤냐"고 소리쳐야 할 상황이 올 것이다. 나는 그에게 첫사랑이지만 나는 아니므로 미안하니까. 버려야 하는데 그렇게 하면 나의 세월이 사라져 버릴 것 같아 아직 간직하고 있다. 

편지박스에는 군에서 보낸 편지들도 보인다. 고등학교 시절 위문편지로 보내서 받은 답장도 있고 20살 대학입학후 정 들었던 친구들이 군에 가면서 "꼭 편지 보내라"라고 이야기 하면 "알았다. 꼬박꼬박 보낼께" 대답을 했는데 몇 통 보이지 않는 것을 보니 꼬박꼬박 보내지 못했던 모양이다. 그네들은 몇 년을 군대에서 시간을 보내며 사람냄새가 그리웠을텐데 나의 세월의 흐름은 너무도 빠르기에 젊음을 불태우느라 바빠 그들을 잊고 살았나보다. 

남동생을 군에 보내면서 자식일에 냉정하기만 한 어머니의 눈물을 보았다. 그때 공휴일이라 쉬는 날임에도 나는 배웅하지 못하고 직장에서 근무를 하고 있었다. 동생의 전화에 나도 모르게 울컥 눈물이 났던 기억이 난다. 난 자리가 그렇게 클 줄이야. 막내라 어리게만 보았는데 어느새 나보다 키다 더 자라고 듬직한 장정이 되어있었나. 군대에 간다니 실감이 나질 않았다. 권현옥님의 글에서도 알 수 있지만 열달 배아파 낳은 아이를 떠나보내는 부모의 심정이란게 살을 도려내는듯 아픈가 보다. 동생의 옷을 보낸 박스를 보며 눈물을 찍어내는 어머니의 모습은 내 마음마저도 아프고 가슴 뭉클했었으니까.  

책을 읽으면서 군대에 있는 아들과 통화하기전 먼저 하는 당부의 말 "지금부터 제가 아드님을 바꿔 드릴 텐데요. 아이가 마음 약해질 수 있으니 절대로 우시면 안됩니다. 아시겠죠?" 이 대목에서 왜 나도 눈물이 나는건지. 시야가 뿌옇게 흐려진다. 집 떠나서 강제된 규범속에 얼마나 낯설어 할지 가족을 그리워 하는 마음이 느껴지기에 그랬을까. 슬펐다. 군대가 많이 편해졌다고 하지만 자유를 억압당하는 곳에서 세월이 얼마나 아깝고 서러울것인가. 이 땅의 남아라면 꼭 가야하는 곳이니 나는 여자이기에 이런 마음을 그저 짐작만 할 뿐이다.  

아들을 군에 보낸 어머니의 절절한 사랑앞에 나도 다시금 부모님의 사랑과 은혜에 감사했다. 아들과 함께 날짜를 헤아리고 거리를 나서면 죄다 군인들만 눈에 들어오는 상황. 비록 먼 곳에서 서로를 그리워 하며 연애하듯이 시간을 보내며 애틋하겠지만 두 사람다 씩씩하게 잘 해내리라 생각된다. 이야기는 중간에 맺지만 아직도 그들의 사랑은 멈추지 않고 진행중이겠지. 나도 군인을 보면 이 분 생각이 날 것 같다. 오늘은 남편에게 군대이야기를 해 달라고 해야겠다. 비록 함께 하지 못한 세월이지만 같이 추억하는 것도 나쁘지 않겠지. 근데 그쪽으로는 가기도 싫어하는 상태는 아니겠지? 그쪽으로는 오줌도 안눈다고 하던데 괜히 아픈상처 건드리는 일이 되지 않았음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