튤슈를 사랑한다는 것은 - 사랑의 여섯 가지 이름
아지즈 네신 지음, 이난아 옮김 / 푸른숲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사랑'이라는 단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이 단어를 들으면 왜 가슴이 아릿하게 저려오는 것일까.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사랑'이라는 단어를 뺀다면 아마 모두들 입을 꾹 닫은채 침묵하게 될지도 모른다. 형체도 없어 손안에 잡아지지 않는 이것에 왜 그렇게 평생을 목말라 하는 것인지. '사랑'이 부족하다고 외치며 살아가고 있는지 모를 일이다. 하지만 이 '사랑'만이 살아갈 이유가 있음을 세상이 눈이 부시게 아름답다는 것을 알려주기에 손과 손이, 마음과 마음이, 사랑과 사랑이 닿지 않는 불가능한 사랑을 한다고 해도 그 찰나의 사랑에 목말라 하는 가 보다.  

나는 이 책속 사랑의 여섯가지 이름중에 익투스와 독수리의 사랑이 가슴에 남는다. 만나기 전에는 그저 '나'였으나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고 나서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는 '우리'가 되었기 때문이다. 사랑을 하게 되면 그를 알기전의 '나'는 존재하지도 기억나지도 않고 늘 똑같은 세상이었지만 이제는 전혀 다른 세상으로 빛이 나고 아름답게 보이는 것이다. 서로 사랑하지만 함께 할 수 없는 그들은 보는 이로 하여금 고통스럽게 만든다. 어쩌면 독수리와 물고기의 사랑이라니 있을 수도 없는 일이라고 세상의 잣대에 맞춰서 그만 둬라고 이야기 할지도 모른다. 사랑이란 비슷한 사람들이 만나 하는 것만이 평탄하고 오래 갈 수 있다고 이야기하면서 말이다.    

전혀 다른 존재의 만남이지만 그 마음이 아름답기에 서로를 생각하는 마음이 따뜻해서 이질적인 만남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게 된다. 드라마를 보면 주인공들은 너무나 사랑하지만 헤어지고 죽음으로 갈라서서 가슴이 터질지라도 우리들은 그런 이야기에 목말라하고 눈물을 흘리며 오래도록 기억하는 것처럼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이라고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임을 알면서도 함께 하려고 노력하는 그들에게 감히 손가락질 할 수 없는 것이다. "잘 먹고 오래오래 행복하게 잘 살았다더라"로 끝을 맺는 동화책의 공주님 왕자님 이야기만이 사랑은 아니니까. 그 순간에 충실하는 모든 행위들이 '사랑'이니 그 모습이 숭고해 보여서 숨을 멈추고 책을 읽게 된다.  

부모와 자식간의 사랑, 친구와의 우정, 이성간의 사랑 등 모두다 이 사랑의 여섯가지 이름에 포함되지 않을까. 천권의 소설을 쓸 수 있는 모든 참나무의 삶처럼 각자가 안고 있는 사랑의 이름들은 모두 하나의 형태일 것이고 천권은 아니지만 한권의 책으로도 남길 수 있는 소중한 이야기일 것이다. 아름답지 않아서 비틀려 있어서 혼자 한 짝사랑이라 부끄러워서 지우고 싶은 사랑이라도 지나고 보면 참 소중한 추억의 한 페이지일 테니 꼭 이 여섯가지 이름에 들어가지 않는다고 해도 모두 '사랑'이라고 이야기 해 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